1945년 8월 15일 일본제국 무조건 항복선언,조선건국준비위원회가 조선 내의 지방치안ㆍ행정권 차지(수도는 조선총독부가 임시 관리)
1945년 8월 17일 조선국군준비대 결성(해방 직후 귀환한 징병자들 중심으로 결성-주로 좌익계열)
1945년 8월 21일 소련군이 북조선 함경남도 원산에 상륙
1945년 8월 26일 소련군이 북조선 평양에 입성
1945년 9월 6일 건국준비위원회가 조선인민공화국 수립 선포
1945년 9월 7일 미군,인천 입항
1945년 9월 9일 조선총독부 공식종료,재조선 미 육군사령부 군정청 설립-군정청장 존 리드 하지 임명
1945년 9월 16일 한국민주당 창당 대회개최
1945년 10월 7일 건국준비위원회 해산
1945년 11월 11일 조선 해방병단 결성(현재의 해군)
1946년 1월 15일 조선 국방경비대 창설(현재의 육-공군)

1946년 5월 4일 조선정판사 위조지폐 사건 발생
1946년 9월 23일 남조선 전국 총파업(9월 총파업)
1946년 10월 1일 대구 대규모 시위 발생(대구 10.1사건)
1948년 4월 3일 제주도 4.3사건 발생
1948년 5월 10일 남조선 한정 5.10 총선거
1948년 7월 17일 대한민국 제헌국회 성립
1948년 7월 29일 런던 하계 올림픽 개최-대한민국 대표 선수단 참가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제1공화국 출범-대통령 이승만,부통령 이시영
1948년 9월 22일 반민족행위처벌법 공표
1948년 10월 19일 여수ㆍ순천에서 국방경비대 반란
1948년 11월 20일 국군조직법 발표ㆍ호국군 창설 법제화
1949년 1월 5일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설립
1949년 1월 20일 호국군 창설
1949년 5월 20일 국회 프락치 사건 발생(반이승만파 의원 13명 체포)
1949년 6월 21일 농지개혁법 제정
1949년 6월 26일 김구 암살
1949년 6월 30일일 재조선 미군 대부분 철수완료
1949년 8월 6일 병역법 제정ㆍ징병제 실시
1949년 9월 28일 대통령령 대한민국학도호국단규정 제정
1949년 10월 ??일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해산
1950년 3월 10일 농지개혁법 개정안 공포
1950년 5월 30일 제헌국회 임기 종료,제2대 국회의원 선거 당일 진행,제2대 국회 출범

1950년 6월 12일 대한민국 한국은행 설립
1950년 6월 25일 북조선,대한민국 침공개시,대한해협에서 한국해군이 신원미상 선박 격침(대한해협 해전), 브라질 월드컵 개최(한국 참여x)
1950년 6월 28일 서울,북조선에게 함락(27일 대통령 피난),한강 인도교 폭파
1950년 7월 5일 오산에서 미군ㆍ북조선군 간 첫 전투 발생,미군 패주
1950년 7월 7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한국측으로 참전 결정(결의안 제84호)

1950년 7월 12일 대한민국 1차 화폐개혁 실시(조선은행 원->대한민국 원 1기로 변환)
1950년 7월 20일 대전ㆍ전주,북조선에게 점령(대전전투)
1950년 8월 낙동강 방어선 전투 개전(안동-의성전투,마산전투,다부동전투,창녕-영산전투,안강-기계-영천-신녕전투,포항전투,포항철수작전,통영상륙작전)
1950년 9월 15일 한국ㆍ유엔 연합군 인천상륙작전 개시,한국군 장사 상륙작전 개시
1950년 9월 28일 한국,서울 수복
1950년 10월 1일 한국군, 단독으로 38선 돌파
1950년 10월 20일 한국,평양 점령(평양전투)
1950년 10월 25일 중공,북조선측으로 참전,1차 공세 실시
1950년 10월 26일 한국,초산 점령,압록강 진출 성공(초산전투)
1950년 11월 26일 장진호 전투,미군 장진군에서 철수
1950년 12월 4일 북조선,평양 탈환
1950년 12월 15일 한국,유엔군이 흥남철수작전 진행
1950년 12월 31일 중공군 3차 공세 개시
1951년 1월 4일 서울,북조선에게 다시 점령
1951년 2월 거창 양민 학살 발생
1951년 3월 14일 서울,한국에게 탈환됨
1951년 5월 15일 호국군 폐지
1951년 7월 10일 미국ㆍ중공ㆍ북조선 간 휴전회담 시작
1951년 10월 1일 한국조폐공사 설립
1952년 1월 18일 이승만,평화선 공표
1952년 5월 7일 거제도 포로수용소 폭동 발생
1952년 5월 26일 부산 정치파동 발생(이승만 반대파 의원들 체포)
1952년 7월 4일 발췌개헌 공포-1차 개정헌법(대통령 직선제ㆍ양원제ㆍ국무원 불신임제 실시)
1952년 12월 17일 이승만과 이범석이 각각의 자유당 창당(둘 다 독립운동가)
1953년 1월 5일 이승만, 방일하여 일본 총리 요시다 시게루와 비공식회담 진행
1953년 2월 27일 대한민국 정부, 독도영유권 성명 발표
1953년 7월 27일 미국ㆍ중공ㆍ북조선 간 휴전협정 체결
1953년 8월 8일 대한민국-미국 간 상호방위조약 가체결
1953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서울로 환도
1953년 8월 26일 비상계엄령 전면 해제
1953년 10월 1일 한미상호방위조약 공식체결
1953년 11월 3일 한국정부에서 학생의 날 제정(1929년 광주학생독립운동 기념) 


*주로 한반도-남한 지역 내에서 일어난 일 위주로 정리했고, 한국에서 일어나지 않은 주요한 일들은 최대한 적지 않음.

예)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는 제외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