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미국은 정말 돈을 "지나치게 찍어냈을까?" 정답은 NO다(+한국의 경우)


돈이 너무 많고 생겨 인플레가 난다는건 무슨 뜻일까?


M1이니 M2니 real gross gdp니 이런거 일단 건너뛰고


아주 쉽게 바꿔 말하자면, 느그 경제는 100원짜리인데 돈이 150원이 돌아다니면 50%만큼 시중에 더 돈이 돌아다닌다는거다


돈이 50% 더 많이 돌아다니면 시간의 흐름, 소비심리에 반영해 10원짜리 과자가 13원 15원이 되는건 당연함


이걸 쉽게 알수 있도록 시중에 돌아다니는 돈을 GDP에 비율을 %로 맞춘 Broad Money라는 지표가 있다



거두절미하고 , 한번 미국을 보자





2021년까지 밖에 자료가 없어서 아쉽긴 한데 GDP 대비 100이 조금 넘는 수준이다.

미국은 지금도 GDP가 성장중인 국가라는걸 감안하면  "갑자기 미친듯이" 찍어내서 부작용을 겪는다는거 말고는 큰 상관이 없을 정도다

그래서 연준도 긴축을 인플레 잡기에 집중하지, 화폐총량을 유의미하게 줄이려는 공격적 긴축에 시큰둥한 것임





그럼 미국말고 국가전체가 유사은행이라고 비웃음 당하고 자산,물가 인플레 존나 심한 영국을 보자





164%라니 이 미친놈들 ㅋㅋㅋㅋㅋㅋ 이러니까 실물경제가 어려움을 겪지




차트를 봐도 영국에서 집값과 물가가 급격히 오르던 시절과 똑같이 그래프가 움직이는걸 알수 있다




자 그럼 느그나라를 볼까?



????





아 문재인 씨발련아 또 너야?





P.S. 자매품 동아시아 노답 형제들





출처: Broad Money (% Of GDP) By Country (tradingeconomic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