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arca.live/b/city/103185856


수원시 장안구 율천동 제8투표소.


여기가 어디냐 하면, 성균관대 자연과학캠 기숙사 투표소였음. 성균관대 자과캠은 모종의 이유로 기숙사 입주 학생들한테 기숙사 입주 조건으로 주소지 이전을 요구했었고, 이 때문에 기숙사 수용생만으로 투표소 하나를 만들수 있었음.


당연히 자과캠이니 남초였고, 이 때문에 당시 이대남의 정치적 성향을 잘 보여주는 투표소라고도 볼수 있었음.


설치 기간은 2010년 지방선거 때부터.


1) 2012년 총선 비례대표

민주통합당 - 739(47.7%)

새누리당 - 372(24.0%)

통합진보당 - 199표(12.8%)

자유선진당 - 75(4.8%)

진보신당 - 53(3.4%)


민주통합당이 새누리당을 거의 2배 차이로 앞섰음. 또 진보신당은 전국 득표율이 1.1%였으나, 여기서는 3.4%를 득표


2) 2012년 대선

문재인 - 1431(68.2%)

박근혜 - 656(31.3%)


세대구도로 치뤄졌던 대선답게 문재인이 더블스코어 이상으로 차이를 벌리며 승리


3) 2016년 총선 비례대표


더불어민주당 - 402(40.3%)

국민의당 - 275(27.6%)

새누리당 - 171(17.2%)

정의당 - 92(9.2%)


민주당이 가볍게 1등, 새누리당은 전국 평균의 절반 수준 득표를 기록


4) 2017년 대선


문재인 - 330(33.5%)

안철수 - 229(25.6%)

유승민 - 208(23.2%)

심상정 - 106(11.8%)

홍준표 - 50(5.6%)


유승민은 전국 득표율 6.8%였으나 여기서는 무려 23.2%를 기록. 홍준표는 심상정의 절반 득표율로 최하위


5) 2020 총선 비례대표


미래한국당 - 88(27.2%)

국민의당 - 76(23.5%)

더불어시민당 - 64(19.8%)

정의당 - 49(15.1%)

열린민주당 - 10(3.1%)


전국 득표율 6.8%에 불과한 국민의당이 여기서 무려 23.5%를 기록. 이 선거에서 이대남은 지역구는 미통당 내지는 민주당을 찍으면서 비례는 국민의당을 많이 찍었었는데, 그런 결과가 그대로 나타난 셈


정의당도 전국 득표율이 9.7%였는데 여기서 15.1%를 받아서 선전.


당시 코로나 시국으로 기숙사에 입주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서 투표수가 확 떨어짐


6) 2022년 대선


윤석열 - 219(64.8%)

이재명 - 110(32.5%)

심상정 - 8(2.1%)


10년 전과는 정반대로 윤석열이 거의 더블스코어로 승리


---------------------------


코로나 이후 성균관대 자과캠 기숙사가 주소지 이전을 더 이상 강제하지 않으면서 이번 총선부터 성균관대 자과캠 기숙사 투표소는 사라지게 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