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처음 이 나라에 왔을 때에는, 새로운 친구를 사귈 것이라는 기대감보다는, 말이 잘 통하지 않는 아이들과 잘 지낼 수 있을까 하는 불안함이 가장 큰 자리를 차지했었다.


어머니와 아버지 이 두 분이 이 나라에서 몇 년간 일하시며 익숙해진 이 나라의 말을 나에게도 가르쳐주셔서, 어느 정도 이 나라의 말이 익숙해지긴 했어도, 우리 나라 말의 억양이 섞인 것을 감출 수는 없었다.


처음 전학을 와서 반의 아이들에게 내 소개를 할 때, 목소리가 떨리며 어눌한 말투가 섞인 내 말투가 퍽이나 우스꽝스러웠던지, 반 아이들은 선생님이 주의를 주셨음에도 킥킥거리며 은근히 웃었던 것은 참으로 부끄러웠던 경험이었고, 또 그 당시의 나에게는 첫 인상을 망쳤다는 절망감을 주었다.


하지만, 그것은 다행히도 기우였다.


반의 아이들은 내 실수를 그렇게 걸고 넘어지지 않았다. 그저 내가 살던 곳에서의 삶, 전학 이유, 자기네 나라의 말을 생각보다 잘 하는 이유 등을 물어보며 관심을 표할 뿐이었다. 간혹 짖궃은 아이들이 그걸 들추며 가끔 놀리기는 했어도, 진지하게 깔보며 조롱하는 태도는 아니었다.


거기에 내가 워낙 체육을 잘 했던지라 남자 아이들과는 곧바로 친해졌고, 그렇게 처음의 부끄러웠던 경험은 잊어버리고, 반 아이들과 꽤 친해지며 나름 즐겁게 학교를 다녔었다.



그 생활이 깨진 것은, 북조선을 멸한 우리 몽골 군대가 판문점을 넘어 북조선 주민들을 무자비하게 살해하고, 그걸 말리던 이 나라의 군인들을 일방적으로 죽인 그 사건 때부터였다.


그 사건이 일어난 이후, 점차 나를 바라보는 아이들의 시선은 싸늘해지기 시작했고, 점차 나와 친구들과의 관계는 하나 둘씩 멀어져갔다. 다만 그때까지는, 그래도 정부의 잘못이지, 너 같은 애가 무슨 잘못이겠냐고 나름 감싸주는 아이들도 많았었다.


완전히 고립된 것은, 대황제 폐하께서 보내신 칙사들이 내뱉은 말이 알려졌을 때였다.


운명의 그 날. 반에 설치된 tv에서 나오는 우리 몽골의 칙사는, 이렇게 말했다.


대몽골의 봉영원천황제는 삼한의 통령에게(이것도 순화된 것이고, 실제로는 아예 대통령의 이름을 부르며 대놓고 하대했다.) 가르침을 내리는 글을 보낸다고.


한 나라의 수장으로써, 나라의 군대를 제대로 통제하지 못하여 이 사단을 일으킨 주제에 어디서 감히 황제의 군대를 탓하냐고.


작은 나라가 먼저 잘못을 저지르고 감히 큰 나라에 잘못을 돌려 책임을 면피하고자 하냐고.


황제의 군대가 남쪽 삼한 땅을 짓밟는 꼴을 목도하고자 하냐고.


그러나 특별히 자비를 베풀겠다고.


대통령이 직접 수도인 대도(베이징)으로 와서, 무릎을 꿇고 절을 하며 황제에게 용서를 구한다면.


그리한다면 이 작은 나라의 죄를 용서하고 군대를 움직이지 않을 것이리고, 이 나라의 국민들을 죽이지 않겠다고.


칙사는, 기자들의 앞에서, 아주 당당하게 그 말을 내뱉었다.


○○○


그날부로, 나는 완전히 고립되었다.


판문점 사건까지만 해도 아무 일 없다는 듯 평범하게 대화를 나누며 웃고 떠드는 아이들이 적게나마 있었지만, 그날 칙사가 성명을 발표한 후로는, 이제 그 아이들조차 나를 외면하기 시작했다.


나를 완전히 경멸하게 된 아이들보다는, 주변의 싸늘해진 시선 탓에 어쩔 수 없이 거리를 둔 아이들이 대다수였다.


그러나, 그것이 내게 위안을 주진 않았다.


같이 급식을 먹고, 같이 웃고 떠들며, 같이 축구와 농구를 하던 아이들은, 이제 나를 피하며, 자기네와 엮이지 않아 주었으면 한다고 했다.


내가 그렇게 말한 것도 아닌데, 이런 일을 당한다고 생각하니 서러움은 배가되었지만, 차마 그 애들을 탓할 수는 없었다.


칙사가 한 말의 수위가 수위였거니와, 워낙 심각할 정도로 뻔뻔스러운 태도였던 건 사실이었으니까.


다만, 그때까지만 해도, 나는 그때가 가장 최악의 시기였다고 생각했다.


가장 최악의 시기는, 그 때가 아니었음을 알았더라면, 나는 아마 부모님을 졸라 어떻게든 이 나라를 뜨려 했으리라.


그토록 바라지 않았던 전쟁이 발발했을 때, 마침내 나를 동정하던 눈빛조차 모두 없어졌다.


부모님은 일자리에서 강제로 잘리셨고, 그로 인해 우리 집의 생계는 막막해졌다.


이전에는 부족했어도 세 끼는 그럭저럭 먹을 수 있었지만, 이젠 두 끼를 먹으면 많이 먹는 것이었고, 점심 한 끼만을 먹는 게 부지기수였다.


아니, 사실 점심도 제대로 먹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했다.


한때는 나와 가장 친했던 아이들이, 식판에 침을 뱉고, 일부러 식판을 뒤엎어 내 옷을 더럽히고, 음료 같은 것을 뿌리는 통에, 도저히 무언가를 먹을 틈이 없었다.


그리고, 이제 아이들은 물론, 선생님들까지 나를 마치 벌레를 보는 듯한 시선으로 쳐다봤다.


교과서와 책상에는 나를 욕하고 헐뜯는 낙서가 적혀져 있었고, 아이들은 무언가 기분이 나빠질 때면 나에게 화풀이를 했다.


선생님들은, 심지어 내가 바로 앞에서 발로 걷어차이는 것을 보고도 대놓고 무시하시며 지나치셨다.


그때, 나는 몽골인인 것을 더없이 저주했고, 그 때 그 소리를 한 칙사를 저주했으며, 마침내는 황제 폐하를 저주하는 지경까지 갔다.


모든 것이 미웠고, 더 이상 살 의지도 없었다.


그렇게, 우리 나라가 전쟁에서 완전하게 승리할 때까지, 그리고 내가 살던 곳을 우리 군대가 점령할 때까지, 나는 그렇게 평화로웠던 그 일상을 잃어버린 채 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