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arca.live/b/society/105083793?category=%EC%B9%BC%EB%9F%BC&p=1

1편. 현재 금리를 올릴 수 없는 이유


 대한민국의 대학진학률은 65~75% 수준으로 2020년 54만 8,734명으로 기준을 잡으면 약 40만 명 정도의 고학력자가 고용시장에 간다고 보면 된다. 물론, 소위 말하는 지잡대같은 대학이라고 부르기조차 민망한 대학진학도 대학진학률에 포함되므로 무조건 믿으면 안 되지만, 1990년 34.3%에 비하면 75%는 굉장히 높은 편이라고 볼 수 있다. 이마저도 2008년 83.8%에 비하면 낮아진 수치다. 즉, 2030세대는 부모님에게 어마어마한 지원을 받으면서, 피터지는 경쟁을 해가면서 기초교육, 고등교육을 받아 마침내 고용시장에 뛰어들 준비를 마친 것이다. '나는 할 수 있다.'라는 기대감과 함께.


 그렇게 나온 고용시장의 상황을 보면 '괴리감'이 제일 먼저 든다. 내가 원하고자하는 대기업, 공기업...이 아니더라도 고임금 양질의 일자리의 경쟁률은 도저히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 대학까지 나온 신입사원들이 원하는 희망연봉은 대체적으로 3,000만 원 이상이다. 대기업, 공기업 등 규모가 큰 기업들은 내가 원하고자 하는 연봉보다 높아 선호도가 높다. 규모가 있는 중견기업들도 얼추 내가 원하고자하는 연봉과 비슷해 지원서를 넣는다. 

그런데 운이 안 좋았다. 하다보니 계속 탈락한다. 이유가 뭘까? 어쩔 수 없이 눈을 낮춰서 중소기업으로 들어가고자 한다.


아뿔싸. 중소기업의 임금이 이렇게나 낮았던가? 그제서야 현실을 뼈저리게 느껴진다. 내가 원하는 임금을 예상보다 크게 포기해야 된다. 심지어 평균임금이니까 중위값으로 따지면 기껏해야 2,400~2,600만 원 수준일 것이다. 학자금 대출은 갚을 수 있나? 월세는 제대로 낼 수 있을까? 고민이 생긴다.



 문제는 중소기업에 있으면 나이가 들어도 임금이 정말 쥐꼬리만큼 오른다는 단점이 생긴다. 선택지는 3가지다. 가스라이팅에 당해서 받아들이느냐,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대기업 수시채용으로 가냐, 아니면 해외로 가던가. 대체 어디가 잘못되었기에. 한국의 교육시장과 고용시장은 왜, 이렇게 큰 괴리감이 생겼을까?


 이러한 현상은 유독 한국이 강하다. 심지어 1980년 대한민국 임금격차는 1.1배밖에 되지 않았다. 40년동안 무슨 일이 있었기에 임금 격차는 이렇게 커진건가? 주 69시간을 안 해서 그런걸까? 아니야!!! 대한민국의 경제 시스템은 아주 뒤틀린 황천이라고 봐야 된다.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608573

 첫번째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불공정한 계약이 꼽히고 있다. 매출액으로 보면 오히려 중소기업이 대기업보다 앞선다. 그런데, 영업이익률로 보면 전혀 딴판이다. 7년동안 대기업은 평균적으로 13%의 영업이익률을 달성해왔지만 중소기업은 고작 4.03%의 영업이익률을 달성했다. 한국 주력산업 중 하나인 자동차 업계의 사례를 봐도 다르지 않다. 700여개의 1차 하청업체 중 43%의 기업이 오직 단 '한 개의 원청기업'과 계약을 맺고 있다. 즉, 원청기업이 가격을 결정하는 독과점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 한국의 독과점 방지법은 유명무실하고, 한국의 경제는 소수의 대기업들이 경제를 완전히 장악하고, 패악질을 부리는 셈이다.

이러다보니 하청기업들은 쥐어짜이고 있는 셈이다. 임금 인상? R&D? 외부인재영입? 자체적인 투자??? 다 불가능하다. 매출액 대비 고작 4%의 영업이익률로 뭘 할 수 있겠는가? 독과점의 무서움이 바로 이런 것이다. 단순히 소비자에게 좋지 않다는 인식이 강하지만, 다수의 중소기업들도 큰 피해를 입히는 중이다.


 두번째로 대기업들도 상황이 녹록치 않다. 규모가 클수록 수직적 문화가 더 커진다. 사실 이건 모든 조직이 겪을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지만 한국은 서열문화, 강압적인 군대문화가 심하다. 서열이 무조건 모든 것을 장한다. 그러다보니 대기업들도 정부부처마냥 관료제 문화를 채택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외부의 변화를 극도로 꺼려하며, 혁신을 하지 않고, 물갈이를 하지 않는다. 외부영입인재, 신입사원이 의견을 제시하면 '너가 뭘 알아.' '그거 그렇게하는거 아닌데.'라며 깔아뭉게고, 남을 헐뜯고 비난하기 바쁘다. 국가 경제의 미래를 책임져야할 대기업들도 이모양 이꼴이다. 더 큰 문제는, 이런 문화가 있는 대기업에서 은퇴/도태된 임원들이 중소기업에 가면 어떤 일이 생길까? 안 봐도 비디오다.


여기에 불을 지피는 것이 바로 매우, 경직된 고용유연화 상태다. 위에서 꼰대짓하면서 상사 비위 맞추는게 진급을 할 수 있는 제일 빠른 지름길이다. 무능해도 해고되지 않는다. 법적으로 보장받는다. 보신주의가 더욱 확산하게 된다. 더 신기한 상황은 오히려 비정규직 임원들이 혁신을 외치는데 정규직 하부조직, 라인들이 혁신에 반대하는 경우도 심심찮게 보인다. 내자리는 보장되어 있다. 굳이 바꿀 필요 없다. 철밥통이 되어가는 것이다. 뭐 대표적인 사례라고 하면... 어딘지 딱 알죠?


https://www.mirae-biz.com/news/articleView.html?idxno=91715

https://www.youtube.com/watch?v=EmQPrubS68A&ab_channel=%EC%82%BC%ED%94%84%EB%A1%9CTV3PROTV



 세번째로 한국의 기업들은 보상을 주는 것에 굉장히 부정적이다. 성과급에 굉장히 인색하다. 회사가 잘되면 회사가 잘나서 그런 것이고, 회사가 잘 안 되면 직원들이 일을 제대로 안 해서 생긴 것이다. 자사주 지급도 굉장히 인색하다. 그러면서 주인의식을 가지라고 가스라이팅을 건다.

더 큰 문제는, 쪼개기 상장으로 자신들의 가치를 최대한 낮추려고 한다. 그래야 자신들의 경영권에 아주 유리하기 때문이다. 직원들이 받은 자사주는 순식간에 쓰레기가 되어버린다. 뭐 어쩌라는거야.

이러한 문제는 한국이 주주의 권리가 매우 약하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다. 한국에선 주주는 권리도 없으며, 그나마 있는 권리도 침해당하면 구제당할 방법이 전혀 없다. 한국은 집단소송제도가 제일 미비한 국가다. 그렇기 때문에 기업과 개인의 싸움으로 흘러가며, 아주 쉽게 분쇄할 수 있다. 경영권 주식은 프리미엄으로 구매하는데 일반 주주는 공개된 가격으로만 거래할 수 있다. 외국은 자사주를 매입하면 소각하는 과정으로 주식을 컨트롤한다. 한국은 경영권 방어를 위해 가지고 있거나 심지어 나중에 되판다.(???) 심지어 회사의 이익만 우선시되고, 주주의 이익은 나몰라라 한다. 그러니 주식으로 투자를 하려고 해도 의미가 없다. 다 회사에 빨려들어가는데 뭐.



"부하직원의 공은 상사의 것, 상사의 실수는 부하직원의 책임." -오오와다 아키라-

 사실 가장 중요한 것은, CEO들이 하부 직원들에겐 고용유연화를 부르짖으면서 CEO 자신은 콘크리트로 남으려는 선택적 고용유연화 제도를 외치고 있다는 것이다.

차라리 미국처럼 몇백억 받고 물러나면 기사회생의 가능성이라도 있지 저렇게 철근 콘크리트마냥 절대로 자리에서 물러나지 않으면 오너리스크만 더 커지는 셈이다. 

노 읍읍 정 읍읍 정ㅁ 읍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