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오소프 미 상원의원과 악수하는 이재명 후보.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는 12일 "한국이 일본에 합병된 것은 미국이 가쓰라-태프트 협약을 통해 승인했기 때문이다"고 언급했다.

이날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이 후보는 존 오소프 미국 상원의원을 만나 "우리나라는 미국의 지원과 협력 때문에 전쟁을 이겨서 체제를 유지했고 경제 선진국으로 인정받는 성과를 얻었다. 그런데 거대한 성과의 이면에 작은 그늘들이 있을 수 있다"고 말하면서 이 같은 예시를 들었다.

이 후보는 해방 후 분단과 한국전쟁 등과 관련해 "결국 마지막에 분단도 역시 일본이 분할된 게 아니라 전쟁 피해국인 한반도가 분할되면서 전쟁의 원인이 됐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는 객관적인 사실"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 이야기는 상원의원께서 이런 문제에까지 관심을 갖고 인지하고 있다는 생각을 전해 들었고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을 갖고 말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발언에 앞서 이 후보는 "한미 안보 동맹 관계 이상으로, 군사 경제 교류 협력을 포함한 포괄적 협력관계가 계속 확대 구축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 "미국 상원에서 이산가족 상봉과 관련한 법안을 발의해서 심의 중이라고 들었다. 인권과 인도주의에 대해 깊은 관심 가진 것으로 아는데, 이 문제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과 협조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이에 오소프 의원은 "상원대표단을 이끌고 방한한 이유는 한미 양국관계가 굉장히 중요하고 핵심적이란 확신에서 였다"며 "한국이 계속해서 인권, 민주주의 문제에 대해 강한 의지를 갖고 함께 노력하는 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성공적으로 잘 관리하는 점에 대해 저뿐 아니라 많은 연방상원의원이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많은 한국 기업들이 조지아에 전기 배터리 자동차, 태양광 모듈, 전기차 생산 등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면서 "이 모든 것이 동북아 안정과 평화를 비롯해 인권, 민주주의에 대한 우리의 의지에 굉장히 중요한 요소"라고 밝혔다.

신민경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