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은 그당시에는 매우 드문 관료들의 나라였음.

 

그당시 유럽은 절대왕정이고 대부분의 국가들에서

왕은 절대적 권한을 가진 전제군주국이었음.

 

그런데 조선은 군주국이기는 했지만 유별나게 왕의 권한이 약한

법치 왕정국가 였음. 

국가나 지방을 다스릴 권력 엘리뜨를 뽑는 것도 다른 국가들은 

대부분 세습 귀족이거나 군사적 실력자들(warlord), 지방 유력자들(봉건제) 이었지만 

조선은 철학을 전공한 학자중에 다단계 국가시험으로 뽑고 

사실상 관료들이 다스리는 나라였음

경국대전이라는 법전을 가지고 있어서 왕도 그걸 함부로 무시할수 없고 

왕의 권한행사도 그런 법을 따라야 되는 법치국가 였음.

그러니 왕도 관료들이 반대하면 힘을 쓸 수 없는 국가였음.

게다가 언관제도니 상소제도니 사관제도니 하여

왕의 전횡을 제한하기 위한 여러 겹의 견제장치를 갖추고 

또 그게 실제로 작동하는 국가였음.

 

국민들이 써올린 상소를 왕이 매일 일일이 읽고 이에

비답을 해야하는게  왕의 중요한 일상적 업무였음.

상소도 양반만 할 수 있는게 아니고 평민이나 기생같은 천민도 

글을 알면 왕에게 직접 할 수 있었고 실제 사례도 있음..

이는 왕이 직접 읽는게 의무화 되어 있다는 점에서 

지금 청와대의 국민 청원게시판 제도 보다 더 진보된 제도임.

언관은 오늘날의 언론의 정부비판 기능을 국가제도로 만든 것임.

또 사관은 왕의 언행을 낱낱히 기록하는 언론의 역사기록 기능을 했음.

왕이 왕의 도리에 맞지않는 잘못하면 수십 수백통의 상소가 들어와

왕이 골치를 앓아야 했음.

 

또 지방의 통치도 지방유력자가 하는게 아니고 

중앙에서 선발된 관료를 지방에 파견해  통치를 하는 국가였음.

 

정치적 권력투쟁도 유럽 야만인들 처럼 힘으로 창칼로 전쟁을 해서 죽고 죽이는 식이 아니라 

그당시 선진 문명국가 답게 어디까지나 말과 글을 가지고 논리적 철학적 토론 대결을 하고

명분으로 여론에 호소해서 유리한 여론을 업는 자가 승리하는

현대의 기준으로도 매우 문명적인 정치과정을 가지고 있었음.

 

정적을 제거하는 것도 국가의 재판과 공권력 절차를 거쳐서  유배보내거나  처형했음.

결코 그냥 군사력으로 쳐들어가 죽이지 않음.

군사력도 철저하게 문민통제로 무신들의 전횡을 억제해서

무신이 군대로 쿠데타를 일으킨 경우가 드물고 체제가 위협받을 문제가 된 경우도 없음.

 

물론 이런 제도들도 적지 않은 한계가 있기는 했지만 

적어도 조선시대에 이정도로 제도적으로 유능한 관료가 나라를 

다스릴 수 있고 세습제의 군주를  견제하는 정교한 정치체제를 가진 나라는 드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