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 a decade, from 1998 to 2007, South Korea pursued a policy of engagement towards North Korea known as the “Sunshine Policy.” Initiated by the late South Korean President Kim Dae Jung and further developed by his successor the late President Roh Moo Hyun, the approach was an embrace of North Korea’s regime, with unconditional aid, direct talks, and rewards in hopes of promoting a softening of the North and political conciliation. 

As part of this strategy, in practice effectively one of all carrots and no stick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clamped down on any efforts that might cause offense to Pyongyang, particularly exposure of its abhorrent, unparalleled human rights violations.

1998년부터 2007년까지 대한민국은 북한에게 “햇볕정책”이라고 알려진 대북 관여 정책을 추구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이 시작하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더 확대시킨 이 접근법이란 북한 정권에 대한 무조건적인 지원, 직접 대화와 정치적 화해, 북한의 태도 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한 보상이였다. 

이 정책의 일환으로, 남한 정부는 북한의 끔찍하고 비할 데 없이 역겨운 인권침해를 낱낱이 공개하는 등 북한을 공격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단념했다.

From 2004 to 2008, when I served as co-founder and Executive Director of an organization called Liberty in North Korea, we worked to raise awareness of North Korea’s human rights violations and encourage other countries to help improve conditions inside. Throughout Asia, our team members ran underground shelters helping North Koreans escape, and some of the activists (including myself, in 2006) were imprisoned in China for their efforts.

2004년부터 2008년까지 리버티 인 노스 코리아(Liberty in North Korea, LiNK)라는 조직이 공동 창립자이자 경영자를 맡았을 떄 우리는 북한의 인권침해에 대한 인식들을 제고하고, 다른 국가들이 북한 내부 상황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것을 장려했다. 아시아 전역에서 우리 팀원들은 북한 주민들이 탈북할 수 있도록 비밀 보호소를 운영했으며, 그러다 나와 일부 봉사자들은 그 대가로 중국에 억류되어 수감 생활도 겪었다.

During that time, many North Korean defectors complained regularly about how the South Korean government muzzled their efforts to shed light on their experiences in the North—stories of hunger, torture, public executions, criminal acts by the regime, and concentration camps. Prominent defectors were barred from leaving South Korea to testify in the United States or Europe, even on invitation of the United States Congress, and many spoke of being blocked by the South’s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from organizing, managing newsletters and meeting with foreign media or diplomats stationed in Seoul.

그 기간 동안, 많은 탈북자들은 남한 정부가 그들이 북한에서 겪은 굶주림, 고문, 공개 처형, 정권의 범죄 행위, 강제 수용소에 관한 경험을 알리기 위한 시도들을 저지하고, 재갈을 물린다고 지속적으로 호소했다. 저명한 탈북자들은 미국이나 유럽, 심지어 미국 의회의 초청에도 증언을 위해 한국 밖으로 출국이 금지되었다. 또한 국정원이 언론을 조작하고, 관리했으며 외신이나 서울에 주재한 외교관들을 만나는 것도 막았다고 많은 사람들이 말했다.

South Korean press and the film industry began portraying North Korea more favorably. In our occasional run-ins with South Korean officials or thinly-masked intelligence agents, some made allusions to the risk we “might” face if we continued our work. Around the world, businessmen and community leaders of Korean heritage told us of heavy pressure from their local Korean consulates to not support the cause of human rights in North Korea, and certainly not contribute financially to the effort. At the time, with no small amount of irony, we faced more opposition and impediment from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than we did from that of the North.

한국의 언론사와 영화계는 북한을 점점 미화하기 시작했다. 우리와 가끔 같이 일하던 한국 공무원들이나 국정원 공개요원(백색요원)들은 만약 우리가 하던 일을 계속 한다면 직면할 수도 있는 위험을 암시해줬다.

전 세계에서 한국의 기업인들과 재단의 단체장들은 우리에게 현지의 한국 영사관들이, 북한 인권을 위한 활동에 재정적 지원이나 지지를 하지 말라고, 강하게 압력을 넣고 있다 전했다.

At the time, we faced more opposition and impediment from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than we did from that of the North.

당시, 우리는 북한보다 한국 정부로부터 더 방해와 장애물을 경험하고 있었다.

It was a dark and bewildering time—when a democracy forged in blood defended and empowered the most despicable of oppressive regimes. 

How did North Korea react to the South’s appeasement Sunshine Policy? During this same time, it clashed with the South Korean Navy (June 15, 1999) and sunk a patrol boat, killing 6 and wounding 18 South Korean Navy men (June 28, 2002). It conducted rocket tests (August 1998), a nuclear test (October 9, 2006), and a handful of missile tests (February 2003, March 2003, July 2006), and actively helped proliferate weapons systems, technology and materials to Yemen, Iran and Libya, among other countries.

그 때는 피로 일궈낸 민주주의 정권이라는 곳이 가장 압제적이고, 경멸스러운 정권을 옹호하고 지지하는 어둡고, 말도 안되는 시기였다.

북한은 한국의 햇볕정책에 어떻게 대응했는가? 같은 시기 동안(1998~2008), 그들은 한국 해군과 충돌하여 함정 하나가 침몰하고, 한국 해군 6명을 살해하고 18명을 부상입혔다. 그들은 미사일 실험과 핵실험을 강행했으며,또한 예멘, 이란과 리비아 등 국가들에게 무기 체계, 기술 및 재료를 적극적으로 확산시키는 데 도움을 주었다.

President Kim Dae Jung won a Nobel Peace Prize for his efforts to improve relations with the North, which culminated in a historic June 2000 meeting with the then-leader Kim Jong Il. The summit was later found to have been bought with an estimated $500 million dollars in illegal, secret transfers of cash, a greater amount than North Korea’s annual export earnings at the time. One can imagine what North Korea spent that cash on.

김대중은 북한과의 관계 개선 노력으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며, 2000 년 6 월 김정일과의 역사적인 만남에서 절정을 달했다. 시간이 지난 후 이 정상 회담은 북한의 연간 수출액보다 더 많은 5억 달러를 불법적인 방법으로, 몰래 송금해 "구입"한 것으로 밝혀졌다. 북한이 그 돈을 어디다 사용했을지 상상이 간다.

With the election of conservative President Lee Myung Bak in 2007, it seemed the days of such madness were finally behind us.

2007년 보수적인 이명벅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우리는 마침내 광란의 시대를 떠나보내는 것 같았다.

Letting North Korea win now will only strengthen it further. North Korea should not be allowed to continue bending the world to its whim with blackmail and extortion. It must learn that the civilized world does not work this way. 

북한이 지금 얻어가게 놔주는 것(퍼주는 것)은 오직 더 강하게 만들어 줄 뿐이다. 북한은 더 이상 그들의 변덕을 따르게 세계를 협박과 강탈로 굴복시키려 해서는 안된다. 북한은 문명화된 세계가 그런 식으로 돌아가지 않는다는 것을 배워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