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군은 사실 패전에 대해 그리 관대하지 않았음

문신들이 무신들에 대한 통제를 유지하기 위해 패전의 책임을 강하게 물은 건데


왜란 당시에는 그렇게 빡빡한 규정대로 목을 날려대면 남아날 무관이 없어서 패장들에게 다시 기회를 주게 됨


당장 경상좌병사 이각은 소산역에서 패퇴한 뒤 휘하의 병력을 돌보지 않아 흩어지게 했다는 혐의로 참형을 당했고 패퇴 후에도 편제를 잘 유지한 경상좌수사 박홍과 밀양군수 박진, 상주 전투에서 억까를 심하게 당해 패전한 순변사 이일 등도 원칙대로라면 당할에 처해져야 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