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등이나 약자보호 같은 좌파적 사상만이 복지 시스템의 기반은 아님.


현실에서는 기업들이 고용인들의 복지를 챙겨주는 프로그램이 많은데,

여기서 공통적인 부분을 범사회적 플랫폼으로 확대시켜서

중복 투자 방지 및 규모의 경제를 통한 효율성 확보, 서비스의 표준화가 가능해짐.


고용주 입장에서는 행정적 재정적 부담이 줄어서 좋고

고용인은 삶의 안정성 확보로 노동에 전념할 수 있어서

결과적으론 비용 절감과 노동 생산성 및 효율 증가로 이어짐.


여기에 자유시장논리 운운하면서 정부개입 필요없다고 할 수도 있는데

오히려 선례랑 표준이 확립되지 않으면 활성화 되기 어려운 시장이라

공공섹터가 시장을 개척하고 민간섹터가 양적 성장을 주도하는게 맞음.

(일례로, 학교라는 "시장"도 알고보면 공공섹터 기반으로 민간섹터가 개입하는 형태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