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의친왕의 망명은 성공하였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정신적 지주로 활동하나 영친왕 등 문제로 인해 임시정부내에선 공화파와 근왕파로 갈림.

2. 조선이 해방되고 여운형의 주도로 건국준비위원회가 결성되나 원 역사대로 미군정과 소련정이 들어섬.

3. 한반도는 분단이 되고 의친왕과 중도주의자들은 통일된 정부를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이어지는 세력간 다툼과 공산당으로 인해 실패함.

4. 야심많은 정치가 싱먼리는 자신이 주축이 되어 통일정부를 구성하려고 했으나 김일성의 트롤로 어렵게 되자 남한단독정부 수립을 천명함.

5. 싱먼리는 대통령이 되었지만, 제헌의회 특성상 의친왕과 김구가 많은 표를 가져가 역사와 다르게 과반수는 확보를 못한다.

6. 한국전쟁이 일어남.

7. 원역사대로 휴전선 긋고 휴전을 한다.

8. 싱먼리의 독재와 의친왕의 민주화 투신으로 왕정복고 지지율은 높아짐.

9. 싱먼리가 퇴진하고 왕정복고가 되나, 의친왕은 왕위를 거절하고 영친왕이 즉위함.

10. 장면 대통령 당선.

11. 왕제개혁으로 왕작 폐지 및 공작 부활하여 의친왕의 명칭도 의화공으로 바뀜.

12. 5.16 군사정변이 일어나고 박정희가 대통령이됨.

13. 국무총리직은 임명직이 되었지만, 부통령과 양원제는 왕실의 견제로 인해 유지됨.

14. 1996년 통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