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 안핵사(按覈使)가 치계하기를,


"지난번 성상(聖上)께서 남원에 파견하신 어사 이몽룡의 시신을 발견하였는데, 발견되었을 당시의 시신은 나뭇가지에 시신의 목이 밧줄로 매달려 있었으나 밧줄에 나뭇가지가 쓸린 흔적이 보이지 않았사옵니다.


사람이 본디 죽으려 목을 매려 해도, 막상 목이 조이며 숨통이 조여가면 그 고통에 몸부림치느라 나뭇가지가 크게 요동쳐 껍질이 벗겨지고, 심하면 가지가 부러지기도 하는데, 이몽룡이 목매달린  나뭇가지는 그런 흔적이 남아있지 않았습니다.


무원록에 따르면, 살았을 때 스스로 목매단 시신은 목맨 흔적이 푸르거나 검푸른데, 몽룡의 목에서는 목맨 자리에 흰색 흔적이 남아있었습니다.


이에 더해 몸 곳곳에서 고신의 흔적이 발견되었고, 그것이 수상하여 변학도와 육방 관속, 변학도의 첩 성가 춘향과 그 어미, 몸종을 추궁하였으나 이들은 모두 말을 맞춘 듯 처음의 주장만을 반복하였습니다.


이들은 이몽룡이 거짓 마패를 들이대며 어사 행세를 하며 성상의 명을 사칭하여 변학도에게 이득을 얻으려 했기에 고신을 가하여 쫒아내었고, 변학도가 장계(狀啓)를 올리고자 하여 다시 잡으려 가서 뒷산을 찾았는데, 그가 이미 나뭇가지에 목을 맨 상태였었다고 하였습니다.


허나 이들의 진술이 상황에 맞지 않고 몽룡의 시신 상태와는 모순이 생겨 이를 추궁하였지만 여전히 같은 말을 반복하였고, 이에 변학도와 육방 관속, 옥졸, 성가 춘향과 그 어미, 그 몸종을 고신하였으나 그 누구도 자백하지 아니하였습니다.


그러다 4번째로 고신하였을 때 더 견디지 못한 몸종이 자백하였는데,



"부사께서 몽룡이 어사로 온다는 걸 아시고, 미리 그를 담그고자 하여 저와 아씨의 어미를 들여 어사를 묶고 마패를 가짜 마패로 빼돌리게 했습니다.


이후에 부사께서 어사에게 칼을 채우게 하였으며 그를 옥에 가두시고, 가짜 마패로 성상의 명을 사칭하였다 하여 아전들에게 목을 조르게 하고 뒷산 나뭇가지에 걸어놓아 자살한 것처럼 보이게 하였습니다,


또한 부사께서 이르기를, '너희가 이번 일을 다른 이에게 발설하고자 한다면, 나는 기필코 너희를 죽이리라.' 라고 하였습니다"



변학도와 아전, 그리고 첩과 그 어미는 이를 부정하였지만, 일곱 번 정도 고신을 하니 그제서야 시인하였습니다."



하였다. 삼사에서 아뢰기를, 



"이번에 남원 어사가 살해된 일은 매우 기괴하여 그 전례를 찾아볼 수가 없습니다. 수령이 지아비 있는 여인과 정을 통하고 여인이 지아비를 저버리게 한 것으로 이미 질서가 무너진 것인데, 그 여인은 수령과 결탁하여 수령이 자신의 지아비를 죽이는 데에 동참하였고, 수령은 그 죄를 뒤덮고자 조정에서 파견한 어사를 가짜 어사로 둔갑시켜 거짓으로 장계를 올리고 백성을 겁박하기까지 하였습니다. 신의 어리석은 생각으로 엎드려 생각하건대 만일 이들을 가볍게 여겨 낮은 처분을 내린다면 나라의 간악한 무리들이 예를 어지럽힐까 두렵습니다. 성상께서 연루된 이들을 만백성의 본보기가 되도록 일벌백계하라는 성스러운 명령을 내리신다면 더없는 다행이겠습니다.


하였다.


이후, 변학도를 대역 부도로 정법하였고, 여인은 강상죄로 율에 따라 처단하였으며, 살인을 도왔던 아전들 또한 율에 따라 정법하였으며, 남원은 전례에 따라 현으로 강등시키고, 부사를 현감으로 바꾸었다.


또한 명에 따라 이몽룡을 형조판서에 증직하였으며, 전 남원부사 이○○에게 쌀 90석을 하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