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싸움에는 전후 상황이 있는데 미디어는 전후 상황을 쏙 빼고 자기 입장에 맞는 정보만 골라 보도하고 이용하고 사람들을 선동한다.

양 측다 서로 자기가 맞을 것이다. 그러니 둘 다 그리고 제 3자와 제 4자의 시각까지도 보면서 서로 빈 공간의 정보를 끼워맞춰 결국 사건의 진실을 찾아내면 된다.

그 판단은 저마다 다를 것이고 그렇다해도 판단의 주체는 나 자신이 되어야 한다.


아랍인들은 지리적으로나 인구학적으로 유대인 인구를 압도하지만 유대인 공동체 인구수가 적어서 사상자가 적자 소모전 전술을 시작한다.(전세계 유대인 총 인구 1570만명, 전세계 무슬림 인구 18억명)



전세계 무슬림 인구 2023년 7월 기준


전세계 유대인 인구 2023년 9월 기준



테러 연대기 시작


1919년 아랍의 나하리야 급습(이스라엘 북부 도시)

1920년 유대인을 향한 아랍의 최초 폭동 시작. 아랍인들이 예루살렘에서 하루만에 유대인 215명 살해 

이 때 유대인 공동체가 영국의 보호를 기대하지 않아서 자가 방어조직 하가나를 형성.

1921년 5월까지 팔레스타인이 유대인 매일 40명씩 살해 

1929년 8월부터는 유대인 매일 80명씩 살해, 헤브론 지역에서는 최대 유대인구 12% 사망 

1930년 폭력과 죽음을 미화하는 팔레스타인 아랍당이 어린이와 청소년으로 구성된 타격 부대를 개발하고 후원.

1936-1939년 아랍 반란, 영국인 유대인 대상 폭력(영국에 의해 진압, 20년동안 영구에의해 100만명 사망, 그 중 5000명 팔레스타인)

1946년 유대인 시온주의 급진파 무장단체 이르군이 영국 위임통치정부를 대상으로 테러 감행. 급진파 시온주의자는 아랍을 함께 협력해 영국을 몰아낼 세력으로 분류했었음. 이스라엘 King David 호텔 폭탄 테러, 아랍 41명, 영국인 28인, 유대인 7명 총 91명 사망, 테러 전 영국 정부에 테러 계획을 통보, 호텔 측에 폭파 예정 사실을 알렸지만 영국정부가 이를 알리지 않음.

https://lifepastor.wordpress.com/2016/12/16/%EC%9D%B4%EC%8A%A4%EB%9D%BC%EC%97%98-%EC%97%AD%EC%82%AC-%ED%8C%A9%ED%8A%B8-%EC%B2%B4%ED%81%AC-1/




1947년 팔레스타인 내전 때문에 유대민족 보호목적으로 지역 분할 계획 제시.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선포 후 주변 아랍국의 반발로 제 1차 중동 전쟁을 시작하며 이스라엘을 선공, 이스라엘인 6000명 사망, 부상.

1849년 팔레-아랍의 이스라엘 민간인 821명 살해, 군인원 미포함,

1950년 이전에 거주하던 팔레스타인들이 자신의 집과 재산을 되찾으려할 때 폭력행위로 민간인 살해.

1951-1953년 국경을 불법으로 침입한 "침입자"가 이스라엘 보안군에 의해 매해 400명정도 사살. 이스라엘 방위군은 불법 침투한 최대 5000명의 '침입자'사살.

1954-1956년 영국이 지휘한 아랍군의 Fedayeen 공격으로 이스라엘인 400명 사망 900명 부상, 

1955년 Fedayeen에 의해 이스라엘 시민 260명 사망. 

1950년대 후반 이스라엘에 대한 무장 저항 단체 조직, 야세르 아라파트가 이끄는 파타 PLO가 정권을 잡음.

1964년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PLA)가 아랍 국가들의 지원을 받아 창설 

1967년 이후 요르단강 서안지구와 가자지구 남성 인구 약 40%가 정치 폭력 및 군사적 이유로 체포, 이스라엘 교도소에 구금

1970년 팔레스타인의 아비빔 스쿨버스 학살

1970년 '검은 9월' 

PFLP가 후세인 왕 암살 시도, 비행기 3대 납치 후 "팔레스타인 문제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기 위함"이라며 모든 인질을 제거 후 카메라 앞에서 비행기를 폭파. 10일간의 폭력 내전이 이어져 시리아, 이라크 개입. 팔레스타인 게릴라군 vs 요르단군 사이 전투로 3500명 사망 또 다른 곳에서는 20,000명이 사망했다고 함.

1971년 팔레스타인 검은 9월군이 요르단 총리 와피 암살, 요르단 주재 영국 대사 암살 시도는 실패함.

팔레스타인해방기구 및 다수의 팔레스타인들이 레바논에 도착해 내전을 일으켜 1990년까지 지속.

팔레스타인 비주류 PLO vs 레바논군 내전으로 약 130,000~250,000명 민간인 사망, 100만명 부상.

1972년 뮌헨 올림픽 이스라엘 선수 납치 폭행 살인 

1974년 팔레스타인 극단주의자가 학생 21명 학살

1970년 초까지 요르단 난민 캠프 기반의 Fedayeen이 아랍국과 동유럽에서 자금과 무기를 받고 국가법을 공개적으로 무시하면서 외에 상업용 여객기 납치, 사보이 호텔 공격, 시온광장 폭발테러, 해안도로 학살 테러.

1980년초 레바논의 팔레스타인 PLO 기지가 이스라엘 공격

1987년 1차 인티파다 발발

팔레스타인 아랍 시민 저항으로 이루어진 대규모 봉기 인티파다가 발생. 투석은 인티파다의 주요 전술.

손으로 돌을 던지거나, 강력한 투석기 도구를 사용해 이스라엘 보안 요원, 이스라엘 민간인, 민간 차량, 군용 차량을 파괴. 이스라일인 뿐만 아니라 아랍인 모두 돌팔매에 맞아 죽임 당함.

이스라엘 160명 사망, 2162명 팔레스타인 사망, 이 중 1000명의 팔레스타인 사망자는 자국 팔레인이 친이스라엘이라는 비난하에 살해. 

1987년-1988년 Abu Nidal 아랍 조직이 시리아, 레바논, 리비아 지역의 팔레스타인 추산 600명 정도 처형.

1989년 팔레스타인 최초 자살 공격 시작, 자하드 조직이 텔아비브-예루살렘 405번 버스를 계곡을 빠뜨려 16명 살해

1993년 하마스가 폭발물 실은 차 두대 사이에 버스끼워서 폭격, 일반 시민 팔레스타인 1명 사망, 21명 부상.

2000년 국가 분할 평화 회담 실패로 알아크사 인티파다 발발.

네타냐 파크 호텔 자폭테러 이스라엘 민간인 30명 사망, 분주한 교차로 자폭테러 21명 살해, 텔아비브 쇼핑몰 밖 자폭테러 디젠고프 센터 13명 학살 사건.

2000년-2005년 2차 인티파다 발발 

팔레스타인 무장세력이 어린이를 자살 폭탄 테러범으로 이용. 이스라엘 목표물을 공격하기 위해 미성년자 모집. 

휴전 중 민간인 밀집 지역 위주로 자폭테러 자행됨. 버스, 검문소, 레스토랑, 클럽, 쇼핑몰, 대학, 개인 주택가 등.

2000년 10월 팔레스타인 폭도들이 웨스트 벵크 도시 라밀라에 비전투 이스라엘 방위 예비군에 진입해 살해 후 군중들 앞에서 자랑스럽게 피 묻은 손을 흔드는 사진이 포착되 둗제적 분노를 일으킴.

2001년 6월 1일 텔아비브 해변가 나이트클럽 입구에서 자폭테러 발생, 최소 17명 사망 68명 부상

2002년 팔레스타인 사회 최초 여성 자살 폭탄 테러. 폭파범은 28세 구급대원이자 세속 정당 지지자인 Wafa Idris.

2000년 9월 - 2012년 3월 31일 까지 가자지구에서 팔레스타인이 이스라엘인 254명 살해.

2004년 5월 이집트-가자 지구 국경 무기 밀수 차단 목적의 이스라엘의 '무지개 작전' 실시. 라파에서 팔레스타인 '테러리스트 41명 사살, 가옥 56채 철거, 무기 밀수 터널 3개 파괴, 굴착 공사 관련 테러 공작권 검거. 비무장 팔레스타인 12명 살해 시인. 12명 중 7명은 탱크 부대원이 이스라엘군에 항의하던 인근 시위대를 보지 못하고 빈건물 철거를 위해 발사한 탱크 포탄에 사망으로 주장. 팔레스타인 측 주장은 45명 숨지고 100여채 가옥이 파손됐다고 주장. 팔레스타인 병원 관계자는 이스라엘 군 공세로 팔레인 최소 60명 사망, 200명 부상했다며 주장.

http://www.knnews.co.kr/news/articleView.php?idxno=410987

2005년 8월 이스라엘군의 가자지구 철수 이후에도 4000발 이상 이스라엘 남부를 공격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Palestinian_rocket_attacks_on_Israel_in_2002%E2%80%932006



2006년 이스라엘-가자 분쟁, 6월 28일 가자지구에 납치된 샬리트 상병 구출 및 대규모 보복 '여름비 작전'.

11월 1일-7일 '가을 구름 작전' 팔레스타인 56명 사살(하마스 조직원인지 민간인인지 정보 출처 미확인)

11월 26일 '여름비 작전' 종료, 총 팔레스타인 400명 사망 (정보 출처 모르겠음)

2006년 4월 29일 가자지구 인근 마을에서 하마스의 카삼 로켓 공격으로 이스라엘 어린이 2명이 숨진 것에 대한 이스라엘의 '참회의 날' 작전 실행. 팔레스타인측 무장단체 60명 포함 최소 128명 사망, 450명 부상, 이스라엘군 3명 사망, 태국출신 농장 노무자 1명 사망.(사망자 정보 출처 미확인) 이슬람 성월인 라마단 기간에 팔레스타인 주민들에 대한 규제 완화를 위해 철수. 팔레스타인이 로켓 공격을 계속하면 다시 돌아올 것이라 발표. 13세 팔레스타인 소녀 확인사살을 위해 반복적으로 총을 쏜 혐의로 이스라엘군 장교 직무 정지 조치.

https://www.hankyung.com/article/2004101610068


2006년 이스라엘 vs 헤즈볼라 레바논 전쟁(백린탄 사건 전황) 7월12일-8월14일 34일간

와 역순으로 작성중인데 너무 많다.

2000년 8월 7일부터 헤즈볼라의 이스라엘군 납치를 기점으로 2006년까지 8월 레바논 전쟁까지 매해 매달 매일 헤즈볼라와 이스라엘의 충돌 정보가 기록되어있습니다. 한국인들이 유명하게 알고 있는 백린탄에 관한 정보는 검색어로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이건 헤즈볼라와의 격돌이니까 따로 빼서 헤즈볼라 테러 연대기 정리하면서 진위 확인하겠습니다.

2006년

8월 10일 헤스볼라의 로켓이 Dir el-Asad 주택에 직격, 26살 Mariam Assadi 민간 여성 1명과 그녀의 5살난 아들 Fathi Assadi 사망. 그 외에도 Haifa, Nahariya, Safed, Acco, 골란 고원에도 로켓이 떨어짐. 하루 전체 165발 이상의 로켓이 떨어짐. 이스라엘 방위군과 헤즈볼라의 격돌로 방위군 사상자 최소 16명. 전날 레바논 남부 전역에 발생한 여러 사건으로 예비군 15명 사망, 34명 부상.

8월 11일 헤즈볼라가 갱신한 로켓 발사, Safed, Nahariya, Acco, Kiryat Shmona, Haifa, Krayot 향해 여러번 발포, 하이파에 최소 16발의 로켓이 떨어짐. 주택가 인근에 떨어져 50마리 이상의 소가 죽음.

8월 12일 헤즈볼라가 로켓 68발 이상 이스라엘 남부로 발사, Krayot, Acco, Carmiel 타격. 민간인 8명 부상

8월 13일 헤즈볼라가 발사한 230발 이상의 로켓이 이스라엘 남부 Kiryat, Shmona, Haifa, Ma'alot, safed에 강타. 이스라엘 기독교인 1명 사망 75명 부상.

8월 14일 헤즈볼라가 3790발의 로켓을 이스라엘로 발사, 901발이 주민 거주지에 떨어져 민간인 42명 사망, 총 1489명 부상

https://www.jewishvirtuallibrary.org/hezbollah-terrorist-attacks-against-israel-2000-2006



2008년 

1월 3일 팔레스타인 무장단체가 장거리 카추사 로켓을 이스라엘 북부로 발사

7월 17일 하마스가 이스라엘로 로켓 발사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안보상 국경 봉쇄

2월 4일 이스라엘 Dimona 마을에 자폭테러 시행, 이스라엘 민간인 1명 사망, 23명 부상

2월 12일 이스라엘이 다마스커스에서 헤즈볼라 수장 Imad Mugniyeh 암살

2월27일-3월 3일 하마스가 가자지구 장악 후 로켓포 공격으로 이스라엘 군 1명 사망, 이스라엘의 '뜨거운 겨울 작전' 실행, 팔레스타인 120명 사망 (정보 출처 확인 안됨)

3월 6일 동 예루살렘에 거주하는 아랍인이 Yeshiva 학생 8명을 총으로 사살

4월 9일 총기무장 팔레스타인이 가자지구에 연료를 공급하는 나할 연료 저장소에서 민간인 직원 2명 살해

4월 16일 하마스가 가자지구에서 로켓 20발 이상을 이스라엘 남부로 발사, 습격

4월 19일 Kerem Shalom 교차로에서 하마스에 의한 차량 자폭테러로 이스라엘 군 13명 부상. 이스라엘의 세 차례의 공습으로 보복하여 하마스 7명 사살

5월 14일 이스라엘 60주년 기념으로 부시 대통령 방문날 Ashkelon 쇼핑몰에 로켓 폭격으로 30명 부상.

8월 25일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대통령에 대한 선의의 표시로 팔레스타인 보안 수감자 199명 석방

12월 18일 이집트 중재,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평화 협정' 이 공식적으로 종료

12월 27일 이스라엘 방위군이 이스라엘을 향한 가자지구 하마스의 로켓 발사를 막기 위해 캐스트 리드 작전 개시

https://www.jewishvirtuallibrary.org/timeline-of-jewish-history-2008



2009년 1월 3일 이스라엘 지상군 투입, 17일 휴전 선언

2001년-2009년 1월 사이에 이스라엘을 겨냥한 팔레스타인의 로켓이 8,600발 이상 발사 되었고 4,800발이 이스라엘 남부를 강타, 28명 사망, 수백명 부상.

2011년 봄 Iron Dome 배치, 팔레스타인의 그라드 로켓 요격. 이 공격은 가자 봉쇄, 가자 전쟁 및 가자지구에서의 이스라엘 군사 작전에 대한 보복성 공격.

10월 샬리트 상병과 팔레스타인 재소자 1027명과 교환 후 석방.

팔레스타인 내부 폭력

2000년 9월-2012년 3월 말 사이에 669명의 팔레스타인이 팔레스타인에 의해 살해. 그 중 134명은 이스라엘 협력 혐의. 이 기간동안 이스알과 팔레스타인 보안군에 의해 살해된 팔레스타인의 민간인 총 수 중 16%가 팔레스타인 보안군에 의한 희생. -이스라엘인으로 이루어진 팔레스타인 인권 단체 B'Tselem 발표

https://news.imaeil.com/page/view/2001060200144605288




2002년 3월 '유월절 대학살' 이스라엘 북부 도시 네타냐 파크 호텔에 유대 축제기간 유월절 첫날에 전통 음식을 먹으러 호텔에 모인 유대인 민간인을 대상으로 자폭테러 이스라엘 민간인 130명 사망, 이스라엘의 '방버 방패 작전' 실행. 이 작전 중 팔레스타인 497명 이스라엘인 30명 사망.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europe/376983.html



2004년 이집트 관광지에서 테러 공격으로 이집트인 15명, 이스라일인 12명, 이탈리아인 2명, 러시아인 1명, 이스라엘계 미국긴 1명 총31명 사망, 159명 부상. 이스라엘 공격의도로 입국을 시도하다 실패한 팔레스타인이 범인.

2006년 3월 27일 네타냐 호텔 로비 식당에서 팔레스타인 자폭테러로 이스라엘 민간인 16명 사망, 80명 부상. 4월 초 해안도시에서 팔레스타인이 이스라엘 여성 1명, 아랍계 이스라엘인 1명 사살.

https://www.hankyung.com/article/2002032860838

2007년 하마스 가자지구 장악 후 1300톤 첨단 로켓 기타 무기를 밀반입 후, 이스라엘 남부에 대한 카삼 로켓, 박격포, 그라드 미사일 발사량을 늘림.

2008-2009년 가자 전쟁 동안 팔레스타인은 Ashdod, Beersheba, Gedera 도시의 민간인을 향해 로켓 발사, 팔레스타인의 이스라엘 도시 공격 빈도수는 평균 하루 44발, 하루 302발 로켓 발사. 파타당에 의하면 이스라엘이 102개와 35개의 박격포를 발사했다고 함. 750개 이상 로켓과 박격포가 이스라엘로 발사되어 이스라엘 민간인 182명 부상, 3명 사망, 학교에 충돌, 유치원 근처 폭발 

요르단강 서안지구에서 이스라엘에 대한 테러공격 증가, 주로 돌, 화염병, 화기 및 폭발물 사용.

2011년 팔레스타인의 이스라엘 테러 320건 

2012년 팔레스타인의 이스라엘 테러 578건, 3월 9일-12일 가자지구에서 이스라엘로 250 넘는 로켓 발사. 이스라엘 가자지구 공습, 팔레스타인 무장대원 14명 포함 25명 사망, 

6월 18일-23일 가자지구서 120발 넘는 로켓포 이스라엘로 발사, 이스라엘 반경으로 팔레스타인 15명 사망.

11월 14일-21일 이스라엘 가자지구 대규모 공습 이스라엘의 '방어 기둥 작전' 실행. 팔레스타인 177명 사망 이스라엘인 6명 사망(민간인인지 무장단체나 군인인지 정보 확인 불가 )

2013년 하마스 "이스라엘 군인 납치는 팔레스타인 문화의 중심" 이라고 말함.

12월 24일 팔레스타인이 이스라엘 1명 국경에서 살해. 이스라엘군 공습으로 팔레스타인 어린이 1명 포함 총 7명 사망

2014년 3월 11일 이스라엘군이 이슬람 지하디스트 무장대원 3명 사살

6월 11일 이스라엘 공습으로 어린이 포함 팔레스타인 2명 사망





블로그 출처: 네이버 블로그 쁘띠 랑스.



https://m.blog.naver.com/lepetitlynx/223236883928


저곳은 그야말로 피에 물든 땅이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