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투씬

대회전에서는 고증은 마음에 들었으나 스케일은 다소 작았다는 언급을 하고 싶음. 거란 철기병이 돌격하는 장면은 훌륭했고, 진을 갖추고 싸우는 모습이나 방패를 펼쳐 거란군으로부터 검차를 숨기는 것 등은 고증적으로 훌륭했음.


다만, 일단 [안시성] 같은 거대 예산 사극 영화같은 스케일을 기대할 수는 없었고, 사실 고증적으로도 거란의 1차 공격은 스케일이 작게 나오는 게 맞았음. 유목민족이 농경민족과 회전을 벌일 때 구사하는 전술의 전형이 1차 기동 탐색전 -> 2차 대규모 포위 섬멸전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일단 이번에 대군이 등장하지 않은 것은 오히려 고증적으로 맞음.


그리고 알까기는 바둑으로 나왔는데 부장하고 바둑을 두면서 "아직 공세의 때가 아니다" 라고 말하는 등 작전을 논하기 위한 것으로 묘사되었고, 그때 거란군이 고려군 측방으로 산비탈을 타고 야습하는 것으로 묘사됐으며, 그 야습 한 번으로 강조를 생포하는 것으로 묘사됐는데, 30,000명이 전투로 죽었다는 기록은 무시한 건지 아니면 강조를 생포한 다음 -> 고려군이 와해되다가 포위 섬멸되는 걸로 묘사하려는 건지는 모르겠음.


일단 솔직하게 지난번 흥화진 전투에 비하면 규모가 명백히 작았고, 강조가 잡히는 것도 너무 허무했다고 해야 하나? 그런 느낌이었음.


약간 징비록에서 탄금대 전투 보는 느낌. 좀 아쉬웠음.





2. 연출

연출은 역시 세련되었지만 기존 촬영분이 고갈된 건지 역동적인 카메라워크는 대부분 사라졌고, 전반적인 분위기도 기복이 작아져 허무하다는 느낌을 주는 부분이 다소 많아짐.


일단 기존 사극에서 주로 사용하던 단순한 연출은 확실히 극복한 건 보임.




3. 총평

개인적으로 이번 화에서는 다소 실망함. 아무래도 기존 촬영분이 고갈되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데, 전투장면의 스케일이 크게 나오지 않았고, 그렇다고 연출이 그렇게 대단한 것도 아니고 그냥 고증만 좀 괜찮은 수준이었음.


귀주대첩 때문에 예산을 아끼는 건지 아니면 진짜로 흥화진 전투에서 예산을 다 쓴 건지 잘 구분이 안 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