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024년 대만 새 총통으로 민진당 당선, 독립기조 유지함. 중공 상황은 제조업 다각화와 리쇼어링으로 청년 실업률 20퍼대 유지하면서 저성장 유지중


2. 중국은 유럽에서 러시아의 공격적 행위를 지원하며 중러이간 동맹 결속, 아프리카와 남미에 접근중


3. 대만해협에서의 미일대만 함선과 중국 함선간 니어미스가 점차 증대됨, 이는 2025년 충돌사고가 일어날때까지 이어졌으며 충돌로 시진핑은 개전결심


4. 2026년 약간의 경고와 함께 중국은 대 중화권의 회복을 위한 작전 개시, 중국군이 대만 외해의 섬들과 대만 남부 3분의 1, 가오슝 항을 빠르게 점령함.


5. 타이페이의 전력 및 통신망은 물리적/사이버 공격으로 무력화되었으나 도시에 가해진 피해는 크진 않음, 대만 공군과 방공망은 제압된 상태로 중국군이 제공권을 쥐고 있음


6. 대만 정부는 비밀 시설로 분산해서 피신함, C2 기능은 제한된 상태로 외부와의 통신조차 원활하지 않음.


7. 세계 경제는 대충격, 인도태평양 무역망은 급속도로 감소했으며 미국과 타국은 국내 경제망 강화에 돌입함


8. 중국군의 탄도탄과 순항미사일 공격으로 가데나와 미자와에 주기된 미공군기가 파괴되었으며, 기지 시설은 심각한 피해를 입음, 미 5공군은 무력화되었음. 요코스카와 사세보의 미 해군기지도 심각한 피해를 입었으며 블루릿지와 조지워싱턴을 포함한 항내의 7함대 함정들도 침몰하거나 심각한 피해를 입음. 7함대사령관은 사망했으며 오키나와의 제3 해병원정군은 수송수단이 부족한 상황에 섬에 고립됨


9. 중국의 최초공격은 자위대를 직접 겨냥하진 않았으나 주일 미군기지를 공격하는 과정에서 부수적 피해가 발생하고 민간인 사상자가 발생함. 일본 내각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미국과 다음단계를 협의함. 심사숙고한 끝에 주요 도심에서 평화시위가 일어나면서 일본 정부는 미일 상호방위조약을 발동, 자위권을 발동하게되면서 해자대가 항구에서 작전준비를 마침. 일본이 참전


10. 한반도에서 긴장이 고조되고 양측군은 최고경계태세에 돌입함


11. 중국군이 C5ISR 분야 전체에 걸쳐 전면 공세에 나섬. 통신망을 공격하고 GPS 재밍, 지역 내 미국 및 동맹국의 C3 자산에 대한 물리적 공격, 저궤도 이미지 위성에 대한 고에너지 레이저, 재머, ASAT 공격이 가해짐, 지역내 미, 대만, 연합군의 통신 및 ISR 자산은 극도로 억제된 상황에서 운용됨. 군수 및 기반시설에 대한 중국의 사이버 공격이 가해짐, 전역내 미군 기지에 대한 통신, 인터넷, 전력망 공격은 하와이와 미 서부에서의 보급을 지연시킴.


12. 호주, 일본, 싱가폴, 필리핀에서 인터넷, 전력망등에 대한 공격이 발생, 대규모 반전시위 발생


13. 중국이 괌의 미군기지에 장거리 순항미사일, 탄도탄, 사이버공격을 감행. 앤더슨 공군기지와 괌 해군기지가 심각한 피해를 입음. 괌에서의 공군 및 해군 작전은 리스크를 안게됨. 패트리엇과 사드, 이지스 대탄도탄 방공함은 수많은 미사일을 격추했으나 잔탄이 모자람.


14. 중국 해군이 모항에서 출항해 루손 서부에 집결지를 마련, 대만을 포위함. 일부는 제 1 도련선을 넘어 대만으로의 접근을 막음. 중국 해군 잠수함 수척이 하와이와 미 서부로 향하는 것이 포착됨.


15. 태평양 너머에선 중국이 러시아를 독려해 유럽에 대한 위협을 강화중. 중국은 태평양 전쟁을 이용해 러시아와 이란이 흑해와 호르무즈 해협, 중동의 넓은 부분을 회색지대화 하는 것을 지원함. 이러한 위협의 결과 이 지역에 배치된 미군 대다수는 태평양으로 재배치될 수 없음


16. 중국은 대만이 중국과 하나이며, 외부(미국)의 위협을 배재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힘. 지역내 타국은 중국내 분쟁에 관여하지 말라는 경고를 받음.


17. 미국과 연합국의 전략목표는 대만 방어와 중국을 패배시켜 정치적/경제적으로 고립시키는 것임


18. 미국의 초기 작전목표는 미 서해안 방어와 해상 및 항공 양륙지점을 방어하는 것이며 괌과 하와이 또한 방어해내는 것임. 후속작전의 주 목표는 일본, 호주, 필리핀, 한국과의 항공 및 해상 통행로를 확보하는 것임.


19. 필리핀군은 최고경계태세를 발령하고 루손 방어를 최우선목표로 삼음, 마닐라의 정부는 누구 편을 들지 갈등중에 있음


20. 중국 치하의 대만영토 탈환은 당분간 지연되나 미군은 대만을 봉쇄하고서 공격하는 중국군을 최대한 공격하라는 명령을 받음


21. 해공군 일부가 유럽과 대서양에서 태평양으로 이동중, 대규모 예비군 소집이 개시됨.


22. 길고 광범위한 전쟁이 될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작계가 수정되고 있음


23. 미군과 연합군의 주 목표를 요약하자면 미국은 반드시 연합군을 지원하고, 대만이 상실한 영토를 탈환하도록 하며, 중국에 대한 해상 및 항공봉쇄를 실시하는 것임. 이와 동시에 중국이 미군과 연합군의 이동, 민간 상행, 보급품 통행을 막고 이를 통제하는 것을 막아내야함



https://www.usni.org/magazines/proceedings/2023/december/war-2026-phase-iii-scenario




번역출처: https://m.dcinside.com/board/military_anime/374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