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후반 - 부트힐

2.3 초반 - 반디 


부트힐, 반디 출시 이후 - 라이브 서버에서도 격파 파티 조합 연구가 활발히 이뤄질텐데. 현재 테스트 서버 기준으론 조합이 너무 한정적인거같음. 다른 가능성이 별로 많아보이질 않는다고 해야할지. 애초에 효율을 포기하고, 컨셉에 억지로 맞춰야하는 느낌이 강함. 만약 부트힐, 반디를 뽑는다고 해도 다양한 파티를 조합하기는 어려워보임. 


다만 2.2기준 - 개별 캐릭터들 중에서 격파 캐릭터 / 조합으로 전환이 가능한 애들이 없는건 아니라서 - 그걸 정리해본 글.




1. 격파에 연관되어 설계되어있는 캐릭터들



1) 화합척자, 완매 : 격파 발사대. 격파효율 + 격파 이후에 데미지 때문에 화합척자 + 완매는 거의 고정파츠로 보임 (부트힐의 경우 화척 없이 돌아가긴함)



2) 브로냐 : 100% 재행동인 브로냐가 부트힐, 반디 가리지 않고 주요 파츠로 쓰임. (가끔 175 속도 + 댄댄댄 세팅이 나오긴 하더라)




3) 갤러거 : 현재로서는 거의 유일하게 격특 힐러인 갤러거는 격파파티 외에도 지속피해 파티에도 종종 불려다님.





4) 설의 : 일단 양자 적군이기만 하면, 강인도 하나는 끝내주게 격파하는 캐릭터. 다만 4성이라 자체 체급이 낮은게 좀 아쉬움. 





5) 소상 : 일단 소상도 설계상으론 격파가 일어나야 이득을 보는 파츠긴 함. 다만 자체 체급이 낮은 편이라, 부트힐과 같이 쓰게될지는 잘 모르겠음. 부트힐 파티에 소상을 넣느니 화척을 넣는게 낫지않을까? 좀 애매한 느낌.






6 ) 히메코 : 히메코 본인이 격파에 특화되있는건 아니지만, 격파를 트리거로 특성인 추가공격이 발생함. 따라서 화염속성 적군 + 격파파티에 조합하는게 가능하긴함. 다만 자체 체급이 낮은 편이라 스파클 없이 격파 파티에 들어가는건 효율이 떨어짐. 그렇다고 히메코 + 스파클이 들어가는 순간, 그건 이미 격파 파티가 아니라 히메코 하이퍼캐리 파티 아닌가...?







7) 어공 : 어공은 행적에 한 턴당 - 강인도 깎기 강화 특성이 있는 캐릭터임. 다만 전투스킬 사용시 - 다음 행동하는 아군 대상 강화라는 난이도 높은 문제로 인해 거의 쓰이지 않고있음. 다만 강화 일반공격 + 궁극기는 격파세팅시 슈퍼격파 데미지가 나름 괜찮은 편에 속함. 단지 아무도 그렇게 쓰지않을 뿐.



-


당장 정리를 해봐도 몇몇 캐릭터 정도를 제외하고는 격특 컨셉이 애초에 아니거나. 전환했을 때 불이익을 받는 캐릭터들이 많음. 그래도 가능성을 보기 위해 정리를 해보자면 다음과 같음.





2. 격파 파티에 조합 가능한 캐릭터들 (치확치피 세팅 그대로 or 격특 하이브리드 세팅)



1) 로빈 : 궁극기로 전체 100% 재행동 시키는 로빈. 궁극기 사용시 추가피해가 나름 괜찮아서, 체급 낮은 파티엔 자주 쓸거같음 






2) 카프카, 블랙스완 : 기존 지속피해 파티의 주요 딜러인 이 두명은 강인도 격파시 - 지속피해를 추가로 걸어주니까. 격파 파티 파츠들과 쓸 수는 있을거같긴 함. 다만 카프카 + 블랙스완 + 완매 (혹은 로빈) 이후에 딱 한자리만 남는다는게 문제.





3) 아스타, 삼포 : 바운스 판정 있는 아스타, 삼포 정도는 하이브리드 격특 빌드를 짜거나. 격특 올인해도 적당히 제 역할을 해주긴함. 다만 적군이 많아지면 특정 적군만 확실히 격파하기가 어려운 편. 따라서 반디같은 - 파멸형 격파 캐릭터가 필수적임. 





4) 웰트 : 바운스 판정이지만, 치확치피를 버리면 데미지가 찐빠나는 편. 따라서 하이브리드 격특 정도까지만 전환가능. 풀돌이면 바운스가 더 강해진다지만, 이 경우라면 치확치피 쓰는게 데미지가 더 잘나옴. 게다가 히메코와 비슷하게 자체 체급이 낮은 편이라, 스파클 같은 화합 캐릭터가 꼭 필요한 편임. 따라서 히메코와 마찬가지로 - 격파 파츠 캐릭터가 들어갈 자리가 적어지는 문제가 생김.





5) 미샤 : 궁극기가 바운스 판정이라 격파는 잘 일어나는 편. 다만 격특 올인 빌드로 가면 격파 전까지 모든 데미지가 찐빠나므로. 치확치피 빌드로 올인하거나, 하이브리도 정도로 세팅하는게 더 나음. 





6) 루카 : 자체적으로 격파를 잘 하는 캐릭터이고, 궁극기가 강인도 깎는 수치가 높은 편임. 다만 1인 타격이라는 점이 아쉬운 부분. 가끔가다 해외 영상들 중에 - 루카를 부트힐 조합에 넣는 경우를 보긴 했음. 다른 물리 캐릭터인 소상과 비교했을 때, SP는 덜 쓴다는 점이 장점이긴 할듯.


 



7) 후크 : 궁극기 이후 확산 전투스킬이 있어서 - 나름 격파가 가능한 캐릭터이긴 함. 다만 속도가 너무 느려서 속도 + 격특에 올인하는 세팅을 따로 해줘야 그나마 굴러감. 실제 격특 파티로 쓰는 영상을 확인해봤는데, 운영 난이도가 꽤 높은 편이었음.





8) 페라 : 페라는 궁극기로 잡몹 다중격파가 가능한 캐릭터. 얼음 약점 대상으로는 격파 효율도 괜찮은 편이었음. 방깎이 격파 데미지에도 영향을 주니, 자주 쓰이는 땀방울 페라 / 효명 갑옷 세팅 + 격특 하이브리드 세팅을 해주면 적당할듯.





9) 은랑 : 은랑은 태생적으로 방깎러 역할도 가능하고, 궁극기의 강인도 깎는 수치도 높은편. 단일 공격이라는 점만 제외하면 파티 속성을 2개 이하 (양자 + @) 로 맞춰서 저격하는것도 가능하긴 함. 현재에도 FULL 격특 세팅을 하더라도 데미지가 어느정도 보장되는 상태임. 다만 에충매듭을 격특매듭으로 바꾸면 궁극기 재사용이 너무 느려지는 문제가 있음.


 



10 ) 계네빈 : 계네빈은 예전부터 격특 세팅을 해서 광역 격파 + 히메코의 트리거로 쓰는 빌드가 있기도 했음. 격파 후 발생하는 지속피해는 게네빈이 건 지속피해와 개별 판정이라. 궁극기 사용시 추가적인 데미지 상승 가능. 




11 ) 어벤츄린 : 바운스 기반 추가공격이 실드를 잘 깎는 편. 또한 '반격' 탱커이기 때문에 광역공격 적군 대상으로 반격이 자주 발생함. SP도 많이 먹지 않는 편이고, 데미지도 준수한 편. 태생이 격파 캐릭터는 아니지만, 화합 척자와 이용했을 때 시너지가 상당히 괜찮은 편임.




12 ) 블레이드 : 일단 블레이드는 격파 세팅과는 궁합이 맞지 않는 캐릭터임. 다만 SP 소모가 적고, 강화 평타와 궁극기가 모두 3인이 타격이고. 추가공격은 전체공격이라 바람 약점의 잡몹 강인도는 잘 까는 편임. 다만 엘리트 ~ 보스급 강인도를 까는건 너무 오래걸려서 다른 보조 캐릭터의 도움이 꼭 필요함. 




13) 음월 : 강화 평궁평으로 잡몹, 엘리트 가리지않고 격파가능. SP가 충분하기만 하다면, 음월은 격파 파티에서 사용해도 충분히 역할을 할 수 있을듯 함. 다만 음월은 하이퍼캐리 파티로 썼을 때가 가장 강력하다는 점이 아쉬울 따름.




14) 클라라 : 일단 전투스킬이 전체공격이라 잡몹 상대로는 격파를 잘 하는 편. 다만 본래 속도가 느리고 + 방격 탱커로 설계된 캐릭터라 격특 세팅이 잘 어울리진 않음. 미친척하고 하이브리드 격특 + 극 속도 세팅을 해서 사용할 수는 있겠지만, 굳이 그래야할지는 잘 모르겠음.




15) 레이시오 : 레이시오는 단일 대상으로 잘 패는 캐릭터긴 함. 다만 디버프 3개 이상이 필요하니 - 은랑같은 추가 파티원이 강제되는 편이고, 치확치피 세팅이 훨씬 고점이 높음. 다만 하이브리드 격특 세팅을 했을때에도 자체 치확 버프가 있어서 나름대로 괜찮은 성능을 보여주긴 했음. 




16) 토파즈 : 복순이랑 따로따로 지속적으로 때리는 캐릭터라 하이브리드 격특 세팅이 나름 잘 어울리는듯. 다만 반디같이 화염 범위 격파하는 캐릭터가 있다면 굳이 토파즈를 격특 세팅으로 쓸 이유는 없을거같음. 



17) 서벌 : 일단 지식캐라 전투스킬은 3인대상, 궁극기는 전체대상 공격이 가능함. 에너지통도 작은 편이라 - 궁극기를 자주 사용할 수 있음. 잡몹 대상으로는 강인도를 잘 깎는 편이지만, 엘리트 ~ 보스급은 혼자서 격파하긴 어려움. 지속피해 연관 캐릭터지만, 치확치피 캐릭터라 - 격특 하이브리드 세팅 정도가 한계.




-


이외에 강인도 격파량이 적은편이거나, 치확치피로 몰빵해 쓰는게 훨씬 나은 캐릭터는 제외했음. (+ 방어형 풍요, 보존도 제외) 현재로서는  부트힐이나, 반디 둘 중 한명을 메인 격파러로 사용하고. 완매 + 화척을 고정 멤버로 봐야할거같음. 나머지는 위에 나열한 캐릭터들 중에 적군 약점 저격하는 정도가 한계일듯함. 


다만 정리를 해봐도 파티 조합상 반디 or 부트힐 + 완매 + 화척 + 브로냐 들어가는게 제일 나을거같은건 기분탓일까...? 해당 파티보다 고점이 더 높아지긴 쉽지 않을거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