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상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구독, 시청 부탁 드립니다.

고먐미 뉴스레터

24년 3월 21일

• 엔비디아, 삼전을 멀티 벤더로 편입할 의도를 내비치고 있습니다.

• 회계처리 변경으로 인식 매출액이 줄어든 카카오 모빌리티, 과징금을 납부해야하는 두산 에너빌리티. 감사보고서의 계절입니다.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올해에 금리를 세 번 인하할 것이라는 예상을 계속해서 유지하고 있으며, 제롬 파월 의장은 대차대조표 축소의 속도를 조만간 느려질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  이와 함께, S&P 500 지수가 사상 처음으로 5,200 포인트를 돌파했으며, 금 가격도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금, 금, 금.

• 중국, 1조 위안 규모의 초장기 특별 국채가 시장 방식을 통해 발행될 예정이라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 텐센트는 자사주 매입을 위한 대규모 계획을 공개하여 주목을 받았는데요, 이 역시 중국판 밸류업의 영향이겠죠.

Letter Must Go On.

한 눈 세계 시황

뉴욕증시, 3/20(현지시간) Fed 올해 3회 금리 인하 전망 유지 등에 상승, 사상 최고치 경신… 다우 +401.37(+1.03%) 39,512.13, 나스닥 +202.62(+1.25%) 16,369.41, S&P500 5,224.62(+0.89%), 필라델피아반도체 4,788.18(+1.60%)

국제유가($,배럴), FOMC 소화 속 차익실현 매물 출회 등에 하락... WTI -1.79(-2.14%) 81.68, 브렌트유 -1.43(-1.64%) 85.95

국제금($,온스), 연준 금리 동결 속 상승... Gold +1.30(+0.06%) 2,161.00

달러 index, 연준, 올해 3회 금리 인하 전망 유지 속 하락... -0.03(-0.03%) 103.40

역외환율(원/달러), -8.48(-0.63%) 1,330.50

유럽증시, 영국(-0.01%), 독일(+0.15%), 프랑스(-0.48%)


아니 아니 아니 그저 그런 뉴스 물어다주는 뉴스레터랑은 달라. 우리는 다르게 읽고 다르게 쓸 겁니다. 알고 싶으시잖아요. 아니 아니 아니 세계에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그런 거 좋지 좋은데. 그것 보다는. 이 뉴스들 밑의 그 역학을. 그래서 가격을 움직이는 그 원리를. 알고 싶으신 거 아닙니까? 네 저도 그렇습니다.

우리는 다르게 갈 겁니다. 심원한 지혜를 위하여바로 구독하십쇼.

고먐미의 buy or die

Seven Headlines

투자의 렌즈로 보는 뉴스

"엔비디아, 삼성전자의 고성능 메모리 HBM 테스트 중"

왜 중요하냐면: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가 삼성전자의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현재 테스트 중이라고 밝혔어요. 이는 데이터 처리 속도를 극대화하는 기술로, 생성형 AI 운영에 필수적인 고성능 메모리입니다.

조금만 더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 황 CEO는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 'GTC 24'에서 삼성의 HBM에 대한 현재 상황을 공개했습니다.
  • HBM은 D램을 수직으로 연결해 속도를 높인 메모리 기술로, 세대가 진화할수록 더 높은 성능을 제공합니다.
  • 엔비디아는 특히 HBM의 최신 세대인 HBM3E에 대한 기대를 표하면서, 이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그래서 이제 어떻게 되는데?

  • 엔비디아는 삼성전자의 HBM 기술을 집중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차세대 AI 칩의 성능 향상을 도모할 계획입니다.
  • HBM 기술의 선두주자인 SK하이닉스도 5세대 HBM3E D램을 엔비디아에 납품한다고 발표했습니다.

고먐미 코멘트🐾:

투자의 해자에 관해 적겠습니다. 가치 있는 것일 수록 오히려 지키기 어렵습니다. 사업에서 가치 있는 것이란 고마진을 내는 상품 및 서비스를 뜻합니다.

예를 들면 대왕 카스테라가 있겠죠, 혹은 요즘으로 치면 탕후루 같은 것이 있을 겁니다. 우후죽순, 잘 된다 싶으면 따라하는 것은 비단 저잣거리의 일이 아니라 산업계에서도 비일비재한 일입니다.

AI는, 그리고 그 생태계를 뒷받침하는 칩은 어떨까요? 엔비디아는 영원할 수 있을까요? 그럴 수도 있을 겁니다. 세상에 100%는 없으니까요. SK하이닉스는 어떨까요? 그 해자가 무너지기로 결정되어 있다면, 얼마나 유지되는 해자일까요?

더 본질적으로, 이 해자의 강도와 유지되는 시간을 사람의 힘으로는 알 수 있는 걸까요? 경쟁이 강한 첨단사업에 투자한다는 것은 이런 것을 의미합니다.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AI 붐에 힘입어 시간 외 거래에서 15% 상승" 💹🚀

왜 중요하냐면,
인공지능(AI) 붐으로 인해 미국 최대 메모리반도체 업체인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의 주가가 시간 외 거래에서 15% 넘게 뛰었어요. 이는 회계연도 2분기에 양호한 실적을 발표한 결과라고 할 수 있어요.

매일경제

조금만 더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 마이크론은 회계연도 2분기 매출이 58억2000만달러로, 1년 전 대비 확대되었고, 전문가 전망치도 웃도는 수치를 기록했어요.
  • 순이익은 7억9300만달러로, 1년 전의 23억달러 순손실에서 흑자 전환에 성공했어요.
  • 마이크론은 앞으로 수 년 간 AI에 의해 큰 기회가 주어질 것이며, 그 최대 수혜자가 될 것이라며 성장을 자신했어요.

그래서 이제 어떻게 되는데?

  • 회계연도 3분기 매출 전망치로 전문가들이 예상한 60억2000만달러보다 더 많은 66억달러를 제시했으며, 조정 주당순이익 전망치로는 기대를 크게 웃도는 17센트를 제시했어요.
  • 이러한 호실적 발표 후, 정규장에서 2.39% 오른 후 시간 외 거래에서 주가가 15% 넘게 추가 상승해 111달러 넘는 가격에 거래되었어요.

고먐미 코멘트🐾:
오, 마이크론까지 온기가 퍼지네 거의 끝물이라는 신호가 아닐까요? 🌟🔍


"크래프톤, 마블식 프랜차이즈 사업으로 게임 업계 혁신 도모" 🎮🌍

왜 중요하냐면,
크래프톤의 창업자 장병규 의장이 게임 프랜차이즈 사업에 도전하겠다고 밝혔어요. '펍지: 배틀그라운드'의 성공에 이어, 배틀그라운드 IP를 활용해 다양한 장르와 플랫폼에서 새로운 게임을 개발하는 프랜차이즈 방식을 추진하겠다는 건데요, 마블 영화처럼 여러 제작사가 참여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를 예고했어요.

조금만 더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 장병규 의장은 시스템이 게임을 만드는 프랜차이즈 체계가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외부 제작사와의 협업을 통해 펍지 IP로 다양한 시도를 할 계획이라고 말했어요.
  • 그는 또한 "세계 번화가에 맥도날드가 있듯 어느 게임 분야를 가더라도 펍지라는 프랜차이즈가 보이도록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어요.
  • 올해는 사업 다각화의 원년으로, 연내 초대형 M&A를 추진하겠다는 계획도 공개했어요. 엔터테인먼트와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대형 인수합병을 목표로 하고 있어요.

그래서 이제 어떻게 되는데?

  • 크래프톤은 인도 시장에도 집중할 계획이며, '쿠키런'의 인도 공급 계약 체결과 같이 한국 게임의 인도 진출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어요.
  • 장 의장은 한국 게임 산업의 경쟁력 감소 원인으로 노동 관련 법과 제도의 경직성을 지적하며, 산업별 특성을 고려한 유연한 제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어요.

고먐미 코멘트🐾:
🌟로드맵은 좋은데... 가능할지는 글쎄요. 장의장 인터뷰에서 제일 좋았던 건 국제적 마인드였습니다. 특히 인도에 이미 기진출한 점, 그리고 앞으로 인도 통화 강세가 예견된다는 점에서 굳이 우물물만 먹어야 할 필요가 없죠.


"카카오, 매출 인식 방법 변경으로 작년 실적 5천억원 감소" 💼📉

왜 중요하냐면,
카카오의 지난해 매출이 앞서 발표한 잠정 실적 대비 5천억원 넘게 감소했어요. 이는 카카오모빌리티가 가맹 택시 수수료의 매출 인식 방법을 변경한 것과 카카오가 커머스 부문의 일부 매출 인식 방법을 순액법으로 적용한 결과에요.

조금만 더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 카카오의 2022년 연결 기준 매출은 7조5천570억원으로, 잠정 매출 8조1천58억원에서 5천488억원(7%) 줄었어요.
  • 영업이익도 기존 공시한 5천19억원에서 4천609억원으로 8% 감소했어요.
  • 이번 매출 인식 방법 변경은 금융감독원의 지적에 따른 것으로, 카카오모빌리티는 2020년부터의 매출을 약 30~40% 하향 조정했어요.

그래서 이제 어떻게 되는데?

  • 카카오모빌리티의 매출 인식 방법 변경이 카카오의 전체 실적에도 영향을 미치면서, 카카오는 지난 3년간의 사업보고서와 감사보고서에서도 매출과 영업이익을 하향 조정해 정정 공시했어요.
  • 이러한 회계정책 변경은 카카오 및 종속회사의 투명성을 높이고 회계 기준을 준수하기 위한 조치로 볼 수 있으며, 투자자들에게는 재무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고먐미 코멘트🐾:
회계 기준의 정확한 적용과 투명한 재무 보고는 기업의 신뢰도를 높이고, 장기적으로는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요. ! 📊 근데 이건 음... 네 생략하겠습니다.


"올해 상장 테마 ETF, 비만 치료제와 반도체 선전 vs. K팝 고전" 📈🎶📉

비즈조선

왜 중요하냐면,
올해 상장된 ETF 중 특정 산업군에 투자하는 테마형 ETF가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어요. 특히, 비만치료제와 반도체 관련 ETF가 좋은 성과를 보이고 있는 반면, K팝 관련 ETF는 상대적으로 고전하고 있어요.

조금만 더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 ‘KODEX 글로벌비만치료제TOP2Plus’는 상장 후 15.61% 상승했어요.
  • 반도체 테마 ETF 중 ‘HANARO 반도체핵심공정주도주’와 ‘SOL 반도체후공정’은 각각 6.80%, 10.38% 상승했어요.
  • 하지만, ‘ACE KPOP포커스’는 상장 이후 5.61% 하락했어요. 이 ETF는 국내 대표 엔터테인먼트 기업에 주로 투자합니다.

그래서 이제 어떻게 되는데?

  • 비만치료제와 반도체 등 성장성 높은 분야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지속될 것으로 보여요.
  • 반면, 유행에 편승한 테마 선택의 위험성을 보여주는 K팝 ETF의 경우, 투자자들이 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할 수 있어요.
  • 앞으로도 산업별 특성과 성장성을 고려한 투자 결정이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고먐미 코멘트🐾:
테마형 ETF의 희비가 엇갈리는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각 테마의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과 위험을 면밀히 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어요.  🌱💼 사람들은 가격을 해설하려고 하지만, 단순히 많이 올랐다는 이유로 많이 떨어지기도 합니다.

KPOP ETF 혹은 엔터 회사들의 단기 실적이 예측치보다 떨어지는 건 사실이지만, 그 성장세는 사실입니다.


"배당투자 장려와 부동산 쏠림 해소를 위한 세제 개편 필요성 대두" 🏦🏠

왜 중요하냐면,
금융소득종합과세의 높은 세율이 주식 장기 투자를 가로막고, 가계 자산의 부동산 쏠림 현상을 심화시키고 있어요. 이에 전문가들은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와 장기 투자 유도를 위해 세제 개편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어요.

조금만 더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의 배당소득 최대세율이 49.5%에 이르고 있어요. 이로 인해 기업 오너와 일반 투자자 모두 배당을 늘리거나 배당주 투자를 꺼리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어요.
  • 부동산 비중이 높은 자산 구성은 금융소득종합과세가 부동산 시장에 대한 투자를 더욱 부추기고 있다는 분석이에요.
  • 금융투자업계와 기획재정부는 배당소득세 감면과 같은 세제 인센티브를 통해 고배당 기업 밸류업을 지원하고, 장기 투자를 유도하려고 해요.

그래서 이제 어떻게 되는데?

  • 기획재정부는 고배당 상장기업 주주에 한해 배당소득세를 감면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에요. 이를 통해 기업의 주주환원을 확대하고, 배당투자를 장려하려고 해요.
  • 세부 기준은 배당성향과 수익률 등을 고려하여 설정할 예정이며, 고배당 기업의 기준 설정 작업이 진행 중이에요.

고먐미 코멘트🐾:
한국에서 배당투자를 활성화하고 부동산 투자 쏠림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세제 개편이 필요한 시점이에요. . 📊🏡음... 그 결국엔 시장에 도는 돈을 좀 더 빠르게 해야 할 유인이 있다는 겁니다.

말하자면 주식 단타로 버는 사람은 좀 더 소비하겠죠. 부동산에 20억 박고 있는 사람들보다는요. 그런 말인 거예요. 내수 활성화를 위해 주식 쪽에 밸류업이니 뭐니를 계속 할 가능성을 주시해야 할 겁니다.


"윤석열 대통령, 기업 하기 좋은 나라 조성 및 가업승계 개선 약속" 🇰🇷💼

왜 중요하냐면,
윤석열 대통령이 기업가정신을 강조하며, 기업하기 좋은 나라를 만들기 위한 제도 개선, 특히 원활한 가업승계 지원을 약속했어요. 이는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안정적인 고용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어요.

조금만 더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 윤 대통령은 제51회 상공의 날 기념식에서 기업가정신을 찬양하고, 자유시장경제를 강조했어요.
  • 국내 기업승계제도의 비현실성을 지적하며, 상속세 부담 등으로 인해 기업의 혁신과 발전이 저해되고 있다고 지적했어요.
  • 독일의 사례를 들며, 가업상속공제 등을 통해 장수 기업 육성과 고용 창출을 지원하는 방안을 언급했어요.

그래서 이제 어떻게 되는데?

  • 대통령의 발언은 정부가 기업의 성장과 가업승계를 적극 지원할 것임을 시사해요. 이는 기업 환경 개선과 함께 장기적인 경제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조치로 볼 수 있어요.
  • 상속세 최고세율 조정 및 가업상속공제 확대 등 구체적인 제도 개선 방안이 마련될 것으로 예상돼요.

고먐미 코멘트🐾:
🚀🏢 위에서 이어지는 이야깁니다.

Chart of the Day!

차트로 보는 시장

10/13 = 76.9%입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고먐미 뉴스레터경제반도체오픈ai인플레이션고금리싸이클가치투자회계사해외주식크래프톤




고먐미

저는 숫자로 세계를 읽는 회계사이고, 글로 마음을 움직일 수 있다고 믿는 쓰는 작가입니다. 텔레그램도 운영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