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 5월 3주차 리딩방

https://www.kcif.or.kr/annual/reportView?rpt_no=34420&mn=001002&skey=&sval=&pg=1&pp=10

👀 한국은행 브리핑 자료에 따르면, 이번 주 미국 금융시장에서는 연준의 금리인하 기대와 일부 연준 인사들의 매파적 발언 등이 혼재된 가운데 주가는 상승하고 달러화는 강세를 보였으며 금리는 하락했다.


🔍 이 소식의 중요성(Why it matters): 이번 주 미국 4월 소비자물가 발표가 예정되어 있는데, 전월에 비해 상승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어 시장에서 금리인하 기대가 높아질 수 있지만, 근원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여전히 인플레이션 목표치를 크게 상회하고 있어 실제 기대 증가는 제한적일 수 있다.

  • 블룸버그에 따르면 4월 헤드라인 CPI의 월간 및 연간 상승률은 각각 0.3%, 3.4%로 전월 대비 둔화 전망
  • 근원 CPI의 월간 및 연간 상승률도 각각 0.3%, 3.6%로 전월보다 낮을 것으로 추정
  • 다만 근원 CPI 상승률이 인플레이션 목표치인 2%를 크게 웃돌고 있어 금리인하 기대 제한 가능성


💬 전문가 의견(What they're saying): 연준 주요 인사들은 최근 금리인하를 고려하기에는 시기상조이며, 오히려 연준의 고금리 정책이 주택공급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고 언급했다.

  • 댈러스 연은 로건 총재는 인플레이션 결과가 실망스럽기에 금리인하 고려가 이르다고 평가
  • 미니애폴리스 연은 카시카리 총재는 고금리로 인해 주택공급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고 지적


🏦 Behind the scenes: 한편 연준의 보고서에 따르면 상업용 부동산 대출 연체율이 상승하면서 관련 은행들의 손실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글로벌 이슈(Global issues):

  • 이스라엘은 라파 동부지역에 추가 대피령을 내리며 공격을 강화하고 있어 지상전 우려가 증가. 미국은 이스라엘에 공격 중단을 지속 촉구
  • 중국의 4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상승세가 강화된 반면, 생산자물가지수는 하락세가 지속
  • 이라크는 다음 OPEC+ 회의에서 감산 연장에 동의하지 않겠다고 밝혀 합의 도출에 난항 예상


📈 시장동향(Market trends):

  • S&P500 지수는 금리인하 전망 강화, 기술주 매수세 등으로 1.85% 상승
  • 달러 인덱스는 연준 인사들의 매파적 발언 등으로 0.26% 상승
  • 미 10년물 국채금리는 30년물 입찰의 견조한 수요 등으로 1bp 하락한 4.50%


🔭 전망(What's next): 이번 주 발표될 4월 소비자물가와 소매판매 지표가 시장의 금리인하 기대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간 무력 충돌 심화 여부, 중국의 경기 부양책 지속 여부 등도 시장의 주요 관심사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