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nIj9JsDdKCs?si=U7EA5NW14C3I0H6q




🛒 코로나19 이후 물가 상승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실질 구매력이 감소하면서 경제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민간 소비가 부진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 이 소식의 중요성(Why it matters): 소비 회복이 지연되면서 경제 성장에 제동이 걸릴 수 있습니다.

  • 2022-2023년 소비자 물가는 연평균 3.9% 상승한 반면, 실질 구매력 증가율은 0%에 그쳤습니다.
  • 전체 근로자의 실질 임금도 2022년 0.5% 증가에 그쳤고, 2023년에는 오히려 0.9% 감소했습니다.


💸 자세히 보기(Zoom in): 실질 구매력은 소비자 물가와 GDP 디플레이터의 상대 가격에 영향을 받습니다.

  •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GDP 디플레이터 상승률보다 높으면 실질 구매력은 감소합니다.
  • 반대로 GDP 디플레이터 상승률이 소비자 물가 상승률보다 높으면 실질 구매력이 개선됩니다.


🌍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Factors at play): 국제 유가와 반도체 가격이 실질 구매력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으로 분석되었습니다.

  • 국제 유가 상승률이 낮아지면 소비자 물가 안정으로 이어져 상대 가격 상승에 긍정적 영향을 줍니다.
  • 우리나라 주요 수출품인 반도체 가격 상승은 GDP 상승으로 이어져 상대 가격 상승을 유도합니다.


📉 지난 상황 분석(Looking back): 2022년에는 국제 유가 급등과 반도체 가격 하락으로 상대 가격이 하락했습니다.

  • 2023년에는 국제 유가가 소폭 하락했지만, 반도체 가격 급락으로 상대 가격이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 전망(What's ahead): KDI 분석에 따르면 2024년 상대 가격은 0.1~0.8% 상승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경제성장률 확대와 반도체 가격 급등이 실질 구매력 개선을 이끌 것으로 보입니다.
  • 이에 따라 소비 여건도 나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 정책적 시사점(Policy implications): 현 상황에서 소비 부양을 위한 단기적 거시정책 필요성은 높지 않습니다.

  • 다만 고금리 장기화 등으로 민간 소비 회복이 지연될 가능성은 있습니다.
  • 중장기적으로는 경제 역동성을 높이고 소득 창출 능력을 강화하는 구조개혁 정책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