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apple.news/AZoRRI2xZQOq_q4my81UnCw

세계 최고의 투자자로 불리는 짐 사이먼스가 86세로 타계했습니다. 그는 혁신적인 양적 투자 기법으로 월가에 큰 족적을 남겼습니다.


😇 부고(Obituary): 대수학자 출신 투자자 짐 사이먼스의 별세는 월가에 큰 충격을 던져주었습니다. 동료 AQR의 CEO인 클리포드 애스니스는 그를 "기라성 같은 최고의 펀드매니저(GOAT)"라며 "그만한 사람은 찾아볼 수 없었다"고 추모했습니다.

  • 사이먼스의 르네상스 테크놀로지 펀드는 30년간 무려 $1,000억 달러의 거래 수익을 올렸으며 연평균 수익률은 66%에 달했습니다.
  • 동시대 그 어떤 대형 펀드도 이런 성과에 근접하지 못했습니다.


👨‍🏫 배경 설명(Context): 사이먼스는 23세에 UC 버클리에서 수학 박사학위를 받고 기하학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국가안보국(NSA) 암호해독 부서에서 일했으나 베트남전 반대로 해고되었습니다. 이후 스토니브룩 대학 수학과 학과장으로 재직하며 이 학과를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렸습니다.


📊 숫자로 보는 현황(By the numbers): 사이먼스는 1978년 르네상스 테크놀로지를 설립하면서 월스트리트 출신 인재 대신 학계의 뛰어난 과학자들을 영입했습니다.

  • 그는 2000년 한 인터뷰에서 "월가 출신은 뽑지 않습니다. 우리는 훌륭한 과학 업적을 낸 사람들을 뽑죠"라고 밝혔습니다.
  • 이후 이런 방식이 다른 헤지펀드에도 널리 퍼지긴 했지만, 사이먼스가 선구자였습니다.


🔍 행간을 보면(Between the lines): 사이먼스는 기존의 펀더멘털 중심 투자에서 벗어나 거대한 데이터를 탐색하며 거래 시그널을 찾아내는 양적 투자의 창시자로 꼽힙니다.

  • 초기에는 거래 시그널에 대한 설명이 필요했지만, 점차 설명 불가능한 시그널도 받아들이게 되었습니다.
  • 일각에서는 르네상스가 가장 먼저 현대적 머신러닝 기법을 도입했을 것이라고 추측하지만, 정확한 공식은 비밀에 부쳐져 있습니다.


📈 앞으로의 전망(What's next): 오늘날 양적 펀드는 월가 자금의 1/3 가량을 차지하지만 르네상스의 눈부신 성과에는 한참 못 미칩니다.

  • 하루 수십만 건 단타 매매 방식은 한계가 있습니다. 규모가 커질수록 수익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 2003년 메달리온 펀드는 외부 투자자를 추방하고 직원과 동문들의 자금만으로 운용 중입니다. 외부 투자자를 위한 새 펀드들은 다소 부진한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 현실 점검(Reality check): 그러나 메달리온은 여전히 장점이 있습니다.

  • 대부분의 트레이딩 회사가 서로 경쟁하는 전략 팀을 운영하는 반면, 사이먼스는 하나의 모델과 하나의 팀으로 운용했습니다.
  • 그는 수학과 분위기의 협업 문화를 장려했습니다.
  • 전통적인 성과보수 체계가 유지되어 부를 신참 직원에게 분배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때문에 평균 근속연수가 14년에 달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재능있는 이들이 사이먼스와 함께 일하고 싶어했던 것도 큰 이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