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담 기록 채널

<경전선 신선 전선개통 이후를 가정한 가상노선입니다>

 

신쾌속-남해는 ITX-남해보다 하위 등급으로 2017년의 무궁화호에 상당하는 등급이다.

 

1. 동대구~진주

무궁화호 동대구~진주 노선을 계승한 운행계통이다.

동대구 - 경산 - (남성현) - 청도 - (상동) - 밀양 - 한림정 - 진영 - (진례)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

 

2. 부전~순천/목포 (광주송정 경유)

무궁화호 부전~순천, 부전~목포 노선을 계승한 운행계통이다. 부전~목포는 이미 ITX-남해 부전~광주송정 노선이 다수 편성되었기 때문에 무궁화호 시절처럼 일 1회만 운행한다.

부전 - 사상 - 김해공항 - 장유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 - 완사 - 북천 - 횡천 - 하동 - 진상 - 광양 - 순천 - (벌교 - 조성 - 예당 - 득량 - 보성 - 이양 - 동나주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임성리 - 목포)

 

3. 여수~광주송정

무궁화호 서부경전선 구간열차를 계승한 운행계통으로, 광려선의 역사를 다시 잇기 위해 여수까지 연장하였다. 경전선 열차로 간주되므로 열차번호상 여수 방향이 상행이다.

여수EXPO - 여천 - 순천 - 벌교 - 조성 - 예당 - 득량 - 보성 - 이양 - 동나주 - 광주송정

 

4. 여수~목포

서남해안선 개통에 따라 목포~순천 간을 서남해안선 경유 루트로 잇는 노선을 만들 필요성이 있어 개설되었다.

여수EXPO - 여천 - 순천 - 벌교 - 조성 - 예당 - 득량 - 보성 - 장동 - 장흥 - 강진 - 북해남 - 독천 - 임성리 - 목포

 

5. 부전~목포 (서남해안선 경유)

서남해안선 개통에 따라 기존 부전~목포 노선도 현행 직행버스 노선과 비슷하게 가는 노선으로 새로 개통되었다. ITX-남해는 서남해안선을 경유하지 않으므로 일 2회 운행하며, 속달형과 완행형으로 1회씩 나눠 운행한다.

부전 - (사상) - 김해공항 - (장유)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 - (완사) - (북천) - (횡천) - 하동 - (진상) - (광양) - 순천 - (벌교) - (조성) - (예당) - (득량) - 보성 - (장동) - 장흥 - 강진 - (북해남) - (독천) - (임성리) - 목포

 

6. 부전 ~ 마산 (삼랑진 경유)

경전선 신선 개통으로 창원중앙~삼랑진 사이에서 부산으로 직통하는 열차가 사라진 바, 1일 1회 삼랑진, 한림정 쪽을 지원운행하는 열차가 운행 시작했다. 다만 추후 폐선 가능성이 크다.

부전 - 사상 - 구포 - 화명 - 물금 - 원동 - 삼랑진 - 한림정 - 진영 - 진례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