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담 기록 채널

쿵쿵따니 3글자 단어 한정.

 

죽는 단어

 

1. 정전둬, 원이둬

끄투 같은 부사허용 룰에서는 둬둬둬(돼지를 몰거나 쫓을 때 내는 소리)라는 단어가 있어서 쓴 사람이 죽음

 

2. 셔틀콕, 핀치콕, 험수콕, 히치콕

콕 3글자 콕시듐밖에 없음

 

3. 장징궈

상대가 궈모뤄를 쓰면 뤄푸산, 뤄허강, 뤄전위밖에 없기 때문에 산기슭, 산역꾼, 강기슭, 강경꾼, 위조꾼 등으로 죽음

 

이기는 단어

 

1. 궈모뤄

위에서 설명했듯 뤄푸산 - 산기슭/산역꾼, 뤄허강 - 강기슭/강경꾼, 뤄전위 - 위조꾼으로 받아치면 이김

 

2. OO값

값어치 - 치부꾼/치성꾼/치경꾼. 북한어 허용 룰에선 값전자도 있지만 자비꾼 또는 자리낏(방언 허용룰 한정)으로 끝내면 됨

 

3. 밥주걱(방언 비허용 룰 한정)

걱 3글자 '걱정기'밖에 없음. 기별꾼 등으로 끝내면 됨. 그러나 방언에 걱대쉬가 있기 때문에 표준어 명사 룰에 한정.

 

4. OO슴

슴샛과 - 과방꾼, 과거꾼.(북한어 부사 중 슴슴히라는 것이 존재하긴 함)

 

5. OO름, 눈가늠, 물가늠, 발가늠, 손가늠(, 참비늠, 해가늠)

부사 비허용 쿵쿵따에선 한방임.

 

6. OO것(방언, 옛말 비허용 룰 한정)

방언/옛말 비허용 룰에선 한방임. 방언에서도 것거풀 - 풀매듭, 것고지 - 지름똠/지게꾼/지로꾼, 것구리/것보리 - 이터븀/이리듐/이트륨/이지렁, 것뛰기 - 기별꾼/기동돓으로 대처되지만 것쟈락이라는 단어가 있으므로 주의.

 

7. OO곶

상대는 곶리도밖에 할 게 없음. 도비꾼/도망꾼/도박꾼/도굴꾼/도벌꾼/도부꾼 등등으로 이기면 됨

 

8. 뜰항긋, 코ㅅ긋

'코ㅅ긋'에 ㅅ 있는건 오타가 아니라 진짜 있는거임.

긋 3글자 명사가 '긋기새', 옛말인 '긋그제'밖에 없는데, 긋기새 - 새벽녘, 긋그제 - 제라늄으로 끝내면 됨

 

9. OO긔(옛말 허용 룰 한정)

긔로 끝나는 3글자 명사는 모두 옛말이라서 옛말 허용 룰에서만 쓸 수 있음.

긔로 시작하는 3글자 명사는 긔구무, 긔ㅅ대 밖에 없는데, 긔구무 - 무식꾼/무고꾼/무릎쏴, 긔ㅅ대 - 대여꾼/대차꾼/대푼쭝 하면 이김.

 

10. 하이넥, 보틀넥, 브이넥, 터틀넥

상대가 넥타이를 하든 넥타르를 하든 이리듐/이트륨/이터븀/이지렁/르브룅으로 끝낼 수 있음.

 

11. OO넨

넨젯간밖에 없으므로 간그릇으로 끝내면 됨.

 

12. OO넬

넬슨강밖에 없으므로 강경꾼으로 끝내면 됨.

 

13. OO놈(OO롬 제외)

놈놀이, 놈팡이, 놈팽이(놈팡이의 잘못된 말이나 국어사전에 등재됨)는 이리듐/이트륨/이터븀/이지렁으로 끝낼 수 있고, 놈의우는 우라늄/우창숴/우로봐 등으로 끝낼 수 있음.

 

14. OO즙

즙합어, 즙먹이, 즙내기가 있는데 특히 즙합어는 어름꾼/어성꾼 등으로 끝낼 수 있음.

 

15. 물림몫, 미분몫, 노느몫(, 노늠몫, 나눔몫, 우대몫)

부사 비허용 룰에서 몫자리밖에 없고, 부사를 허용해도 몫몫이를 쓸 수 있을 뿐임.

 

16. OO룩, O벼룩, O얼룩, 겉수눅, 게레눅, 안수눅

룩소르, 눅거리, 눅손이, 눅은목이 있는데 특히 눅은목은 목도꾼 등으로 끝낼 수 있음.

 

17. OO듸

옛말을 비허용할 경우 한방이고, 옛말을 허용해도 듸굴이밖에 없음.

 

18. OO럼

럼퍼드에서 드난꾼(, 드롭샷)으로 끝내면 됨.

 

19. OO럭

럭비공 - 공진값 한뒤 꾼 써서 끝낼 수 있고, 럭스계는 계그릇이 있음.

 

20. 돌버슷(방언 허용 룰 한정)

돌버슷 자체가 방언이지만, 슷이 슷스리밖에 없기에 끝낼 수 있음.

 

----

 

힘드니 여기서 마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