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담 기록 채널

모두 디스코드로 떠나고 공허하던 남라에 변화의 바람이 불기 시작하였다.

2018.06.01 운영자의 등판. 채널 통합

2018.06.02 하루만에 246글이 쓰임. 획기적인 글리젠 상승.

2018.06.06 현충일. 위키채널(현 잡담채널) 하루 430글 달성

2018.06.09 현충일 이후 처음 맞는 토요일. '지도 땅따먹기' 떡밥의 영향으로, 하루 783글 달성

2018.06.18 하루 97글.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의 개설로 침체기.

2018.06.25 잡담챈 하루 26글.

2018.06.26 잡담챈 하루 24글. 5월 후반 이후로 아마도 가장 낮은 글리젠.

2018.07 대략 4~5페이지(80~100글)당 1일의 글리젠 유지.

2018.07.27 비회원 추천 기능 추가. 대략 이 시기에 사회 채널에 정치 극단주의적 사람들이 유입. (이 변화는 나무라이브의 글리젠 중심을 잡담 채널에서 사회 채널로 이동시킴.)

2018.07.31 사설 채널 기능 추가. 게시판을 만들 수 있음. '도시지리 채널'이 탄생.

2018.08.02 나무위키의 나무라이브 노출을 이용해 자신의 사설 채널을 홍보 가능.

2018.08.03 한때 나무라이브 글리젠의 80%를 책임지게 되는 '가상국가 채널'의 탄생.

2018.08 중반 대략 이 시기부터 가상국가 채널의 글리젠이 사회 채널, 잡담 채널을 추월해 나무라이브의 주를 이루게 됨.

2018.08.14 사설채널 관리, 공지글 쓰기가 가능하게 됨.

2018.08 중반 포인트를 거는 확률 게임인 '나무게임' 기능 추가.

2018.08.21 최초 1천만 포인트 계정 탄생.

2018.08.29 부국장, 댓글 수정 기능 추가. 여러 공식 채널(잡담, 사회, 취미 등등)의 경매 진행. 비슷한 시기에 '포인트 게임 채널'과 '도시지리 채널'은 공식채널로 승격.

2018.09 잡담채널에서 위키 관련 떡밥 조성. 가상국가 채널이 여전히 글리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운데 취미채널 등도 서서히 발전하게 됨.

2018.10.21 자체 로그인 시스템의 추가.

2018.12.05 퀴즈채널에 퀴즈 기능 추가.

2018.12 후반 운영자 *ㅇㅇ의 소식으로 인해 나무라이브 잡담채널의 인원이 카카오톡 오픈채팅방, 디스코드 등으로 대량 이주를 감행. 타 채널도 침체를 겪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