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바라트국의 군대 총합 396만 5천명

징병률 3.96%




바라트지상작전사령부 (시귀 제외 약 30만명)

  • 제 1 독립시귀여단 (약 1천의 시귀들과 일백기의 변이체로 이루어진 수하스 대통령의 직속 여단)

  • 군수지원사령부 (전역의 보급과 정비를 담당하는 병력, 약 30만명)





뭄바이방위및방호사령부 예하 사단 (도합 약 32만명)

  • 제 1 육군본부근무단 (약 5만명의 행정직원 및 중앙지원대)

  • 제 12 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5만명의 보병)

  • 제 13 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3만 5천명의 보병)

  • 제 20 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4만 5천명의 보병)

  • 제 21 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4만명의 보병)

  • 제 4 기동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3만 5천명의 쿠크리 기동대)

  • 제 1 경기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2만 5천명의 마라타 경기병)

  • 제 4 경기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2만명의 마라타 경기병)

  • 제 1 통신여단 (통신병과 전서구병을 포함한 2천명 규모)

  • 제 404 특공여단 (1만명의 칸다 중갑보병 및 특수병)

  • 수도포병여단 (약 5천명의 라지 고팔 중포병)






바라트특수전사령부 (도합 3만명)

  • 제 1 독립화학여단 (지원병을 위시한 2천 500명의 맹화유를 포함해 독성이 있는 유기화합물을 소지한 화학병)

  • 제 2 독립화학여단 (지원병을 위시한 2천 500명의 맹화유를 포함해 독성이 있는 유기화합물을 소지한 화학병)

  • 제 3 독립화학여단 (지원병을 위시한 2천 500명의 맹화유를 포함해 독성이 있는 유기화합물을 소지한 화학병)

  • 이하 총 7개 여단






제1군단 - 마하라슈트라 및 구자라트 주둔 (도합 약 30만명)

  • 제 1 군단 예하 제 2 육군근무단 (약 5만명의 행정직원 및 지원대)

  • 제 2 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5만 5천명의 보병)

  • 제 3 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5만 2천명의 보병)

  • 제 7 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3만 7천명의 보병)

  • 제 14 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4만 1천명의 보병)

  • 제 18 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5만명의 보병)

  • 제 1 중포병 여단 (1천명의 라지 고팔 중포병)

  • 제 3 통신여단 (통신병과 전서구병을 포함한 2천명 규모)

  • 제 1 군수지원여단 (7천명 규모의 보급여단)

  • 제 1 중기갑사단 (500기의 코끼리 및 5천의 쿠샨드라 중갑기병)






제 2군단 - 아프가니스탄 및 파키스탄 서부 페르시아 접경지대 주둔 (도합 약 36만명)

  • 제 2 군단 예하 제 3 육군근무단 (약 5만명의 행정직원 및 지원대)

  • 제 1 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8만명의 보병)

  • 제 6 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5만 5천명의 보병)

  • 제 8 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4만명의 보병)

  • 제 9 산악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2만명의 산악병)

  • 제 10 산악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2만명의 산악병)

  • 제 11 산악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2만명의 산악병)

  • 제 4 구르카특수산악여단 (지원병을 위시한 3천명의 히말라야 출신 산악병)

  • 제 6 구르카특수산악여단 (지원병을 위시한 2천명의 히말라야 출신 산악병)

  • 제 4 통신여단 (통신병과 전서구병을 포함한 2천명 규모)

  • 제 2 군수지원여단 (7천명 규모의 보급여단)

  • 제 18 투석여단 (1만명 규모의 바르바티 투석구병)






제 3군단 - 히말라야 및 티베트 국경지대 주둔 (도합 약 27만명)

  • 제 3 군단 예하 제 3 육군근무단 (약 5만명의 행정직원 및 지원대)

  • 제 15 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4만 5천명의 보병)

  • 제 19 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5만 5천명의 보병)

  • 제 5 산악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3만명의 산악병)

  • 제 16 산악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2만명의 산악병)

  • 제 17 산악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2만명의 산악병)

  • 제 22 산악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2만명의 산악병)

  • 제 1 구르카특수산악여단 (지원병을 포함한 5천명의 히말라야 출신 산악병)

  • 제 2 구르카특수산악여단 (지원병을 포함한 3천명의 히말라야 출신 산악병)

  • 제 3 구르카특수산악여단 (지원병을 포함한 2천명의 히말라야 출신 산악병)

  • 제 7 구르카특수산악여단 (지원병을 포함한 2천 5백명의 히말라야 출신 산악병)

  • 제 8 구르카특수산악여단 (지원병을 포함한 3천명의 히말라야 출신 산악병)

  • 제 10 구르카특수산악여단 (지원병을 포함한 2천 5백명의 히말라야 출신 산악병)

  • 제 11 구르카특수산악여단 (지원병을 포함한 2천명의 히말라야 출신 산악병)

  • 제 2 통신여단 (통신병과 전서구병을 포함한 3천명 규모)

  • 제 4 군수지원여단 (7천명 규모의 보급여단)

  • 제 15 투석여단 (1만명 규모의 바르바티 투석구병)

  • 제 16 투석여단 (1만명 규모의 바르바티 투석구병)

  • 제 17 투석여단 (1만명 규모의 바르바티 투석구병)







델리 방위사령부 예하 사단 (도합 약 20만명)

  • 델리 방위사령부 예하 제 3 육군근무단 (약 5만명의 행정직원 및 지원대)

  • 제 33 보병 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4만 5천명의 보병)

  • 제 34 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3만 5천명의 보병)

  • 제 37 기동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5만명의 쿠크리 기동대)

  • 제 11 통신여단 (통신병과 전서구병을 포함한 3천명 규모)

  • 제 15 군수지원여단 (7천명 규모의 보급여단)

  • 제 200 특공여단 (1만명의 칸다 중갑보병 및 특수병)







제 4군단 - 시킴 남부, 메갈라야 그리고 나갈랜드 북부 주둔 (도합 약 16만명)

  • 제 4 군단 예하 제 3 육군근무단 (약 5만명의 행정직원 및 지원대)

  • 제 23 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3만명의 보병)

  • 제 27 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3만 5천명의 보병)

  • 제 25 산악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1만 5천명의 산악병)

  • 제 5 구르카특수산악여단 (지원병을 포함한 3천명의 히말라야 출신 산악병)

  • 제 12 구르카특수산악여단 (지원병을 포함한 2천명의 히말라야 출신 산악병)

  • 제 9 시킴특수산악여단 (지원병을 포함한 5천명의 시킴 출신 산악병)

  • 제 15 시킴특수산악여단 (지원병을 포함한 5천명의 시킴 출신 산악병)

  • 제 8 통신여단 (통신병과 전서구병을 포함한 3천명 규모)

  • 제 3 군수지원여단 (7천명 규모의 보급여단)








제 5군단 - 방글라데시와 미조람, 매니푸르와 동남아 접경지대 주둔 (도합 약 24만명) 

  • 제 5 군단 예하 제 3 육군근무단 (약 5만명의 행정직원 및 지원대)

  • 제 24 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3만 3천명의 보병)

  • 제 26 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4만명의 보병)

  • 제 28 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3만 7천명의 보병)

  • 제 30 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5만명의 보병)

  • 제 3 정글수색여단 (수색병을 포함한 5천명 규모)

  • 제 4 정글수색여단 (수색병을 포함한 5천명 규모)

  • 제 5 정글수색여단 (수색병을 포함한 5천명 규모)

  • 제 7 통신여단 (통신병과 전서구병을 포함한 3천명 규모)

  • 제 6 군수지원여단 (7천명 규모의 보급여단)






 

제 6군단 - 파키스탄 남부 및 라지스탄 주둔 (도합 약 21만명)

  • 제 6 군단 예하 제 3 육군근무단 (약 5만명의 행정직원 및 지원대)

  • 제 29 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5만명의 보병)

  • 제 31 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5만명의 보병)

  • 제 2 경기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2만 5천명의 마라타 경기병)

  • 제 3 경기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2만 5천명의 마라타 경기병)

  • 제 6 통신여단 (통신병과 전서구병을 포함한 3천명 규모)

  • 제 9 군수지원여단 (7천명 규모의 보급여단)







후방작전사령부 - 전선이 아닌 후방, 즉 남부나 중부 주둔 (도합 약 37만 5천명)

  • 후방작전사령부 예하 제 3 육군근무단 (약 10만명의 행정직원 및 지원대)

  • 제 32 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2만명의 보병)

  • 제 35 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3만명의 보병)

  • 제 36 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3만명의 보병)

  • 제 39 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3만명의 보병)

  • 제 44 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3만 5천명의 보병)

  • 제 46 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2만 2천명의 보병)

  • 제 47 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3만명의 보병)

  • 제 48 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2만 3천명의 보병)

  • 제 10 , 11, 14 통신여단 (통신병과 전서구병을 포함한 1만명 규모)

  • 제 10 , 11, 12, 13 군수지원여단 (4만명 규모의 보급여단)

  • 후방포병여단 (5천명의 라지 고팔 중포병)








서부기동군단 - 서부전선의 긴급한 상황을 대비한 소방대 (도합 약 21만명)

  • 서부신속대응사단 (전차와 기마병과로 구성된 5만명의 신속대응군)

  • 제 51 기동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5만명의 쿠크리 기동대)

  • 제 52 산악기동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3만명의 산악쿠크리기동대)

  • 제 53 산악기동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3만명의 산악쿠크리기동대)

  • 제 9 경기병 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3만명의 마라타 기병)

  • 제 10 중기병 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2만명의 쿠샨드라 중기병)






동부기동군단 - 동부전선의 긴급한 상황을 대비한 소방대 (도합 약 21만명)

  • 동부신속대응사단 (전차와 기마병과로 구성된 5만명의 신속대응군)

  • 제 41 기동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5만명의 쿠크리 기동대)

  • 제 42 산악기동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3만명의 산악쿠크리기동대)

  • 제 43 산악기동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3만명의 산악쿠크리기동대)

  • 제 12 경기병 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3만명의 마라타 기병)

  • 제 8 중기병 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2만명의 쿠샨드라 중기병)







북부기동군단 - 북부전선의 긴급한 상황을 대비한 소방대 (도합 약 18만명)

  • 북부신속대응사단 (전차와 기마병과로 구성된 5만명의 신속대응군)

  • 제 45 기동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4만명의 쿠크리 기동대)

  • 제 49 산악기동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3만명의 산악쿠크리기동대)

  • 제 50 산악기동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3만명의 산악쿠크리기동대)

  • 제 6 경기병 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2만명의 마라타 기병)

  • 제 7 중기병 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1만명의 쿠샨드라 중기병)






남부기동군단 - 남부전선의 긴급한 상황을 대비한 소방대 (도합 약 15만명)

  • 남부신속대응사단 (전차와 기마병과로 구성된 5만명의 신속대응군)

  • 제 38 기동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3만명의 쿠크리 기동대)

  • 제 40 기동보병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3만명의 쿠크리 기동대)

  • 제 5 경기병 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3만명의 마라타 기병)

  • 제 11 중기병 사단 (지원병을 위시한 1만명의 쿠샨드라 중기병)






해안 방호 및 해병대 사령부 - 육군 군단이 주둔하지 않은 바라트의 남부 해안가 주둔 (도합 약 45만명)

  • 항만방어전대 (각 항구에 배치된 해병대 10만명)

  • 해병근무지원전대 (행정직원을 포함해 약 10만명)

  • 해병대 제 1 사단 (고아에 주둔한 5만명의 해병대)

  • 해병대 제 2 사단 (오디샤에 주둔한 3만명의 해병대)

  • 해병대 제 3 사단 (캘커타에 주둔한 3만명의 해병대)

  • 해병대 제 4 사단 (카라치에 주둔한 3만 5천명의 해병대)

  • 해병대 제 5 사단 (구자라트 해안가에 주둔한 2만 5천명의 해병대)

  • 해병대 군수단 (6만명 규모의 보급대)

  • 해병대 특수수색대대 (2만명 규모의 해안 수색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