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덤 우주정거장의 최종 구상도.

중앙 용골 (기본 뼈대)의 하단의 5개의 모듈 위쪽에 관절로 연결된 태양 전지 패널을 설치하는 것과 더불어, 서비스 베이(위성 등의 조립 및 정비를 하는 시설)의 설치가 계획되었다. 이번 발사는 우주정거장 계획에 대한 기반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임무이다. WFSA는 우주정거장의 미해결 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 연구팀을 가동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245톤급의 정거장을 만드는 것이 목표이다.

 


스카이랩(스페이스랩)과 같은 우주정거장에 단계적으로 이중 용골 구조를 제작해 나갈 계획이며 아폴로-새턴을 이용한 보수의 비효율성을 감안하여 이번 우주정거장은 상당 부분 우주에서 보수가 가능하도록 제작했다. 

 

@air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