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리세 관련


리세 관련해서 제대로 설명하면 너무 길고 루즈해져 읽기 귀찮은 공략집이 되어버리니 다른 리세관련 공략글을 참고하거나 질문글로 챈에 상시 거주하는 할배들한테 나온 사도풀 올려서 질문하는것을 추천



2. 이벤트, 메인 스테이지


이벤트 스테이지는 일일 최소 20회를 도는것을 기본으로 함

(일일퀘 지정 수치가 20회이기 때문)


이벤트 스테이지 남은 기한에 맞춰 상점템을 싹쓸이 하는것을 목표로 할 것


중요도는 황크(황금 크레파스)가 제일 높지만 시작한지 하루 이틀 되었다면 장비의 정석을 먼저 사는게 좋을 수 있음

(장비의 정석은 장비 제작을 위한 1랭 장비 혹은 도면을 대신할 수 있는 아이템임)



3. 사탕(스태미너) 충전


이 부분은 성향 차이지만 최대 효율의 성장을 원한다면 초반에는 눈물을 머금고서라도 스태미너를 풀로 충전하는것을 추천


본인 생각에 적당한 성취를 이뤘다고 판단된다면 사탕(왕사탕, 별사탕) 을 (10, 3), (8, 3), (5, 3), (3, 3) 등 취향것 충전하면 됨

(참고로 여기서 별사탕은 풀충하는것이 기본임) (별사탕은 고오오급 한정 스태미너이니 반드시 풀충할 것)


초반에는 약하니 별사탕을 사용하는 던전에서 특정 재화를 수급하려 하기보다는 이런저런 길을 뚫어놓는 것을 추천함



4. 장비 관련


메인스토리의 순한맛은 1별이 나오더라도 밀수있는 곳까지 미는것이 효율적임


순한맛 스테이지는 초회 클리어 한정으로 완제품 장비를 주는데 이게 있냐 없냐에 따라 스펙이 확 달라짐


그리고 트릭컬의 장비 시스템은 랭크와 강화로 이루어져 있음


한 사도의 장비 파츠(총 6개)를 모두 맞추게 되면 랭크업이 가능하고, 랭크업 시 더 높은 수준의 장비 파츠 6개를 맞출 수 있게 됨


강화는 특정 장비 파츠의 성능을 끌어올리는 역할을 함


강화된 장비는 랭크업시 소실되고 강화에 사용했던 재화는 일부 반환되는 시스템을 지니고 있음


5랭(5랭크 장비)까지는 가능한 장비 강화에 손을 대지 말고 장비 강화석을 모으는 것이 좋지만 스토리가 너무 뚫기 힘들다면 메인딜러는 공 수치가 가장 높은 장비를 탱커는 체력 수치가 가장 높은 장비를 약간씩 강화해주면 좋음


6랭장비는 위와 같은 기준으로 대략 3강 정도씩 해서 밀어주는 수월함


7랭장비는 물리 방어력, 마법 방어력 옵션을 가진 장비를 제외하고 풀강을 쳐주면 됨


6랭장비는 42렙부터 7랭장비는 56렙부터 장착이 가능하니 랭크업하기 이전에 이를 반드시 확인하셈

(랭크업 했는데 레벨부족으로 장비 못끼면 진짜 게임 피곤해질꺼임)



5. 호루라기, 보드, 스킬


호루라기는 대충 필요한 옵션에 타협해서 낑겨넣어주면 됨 (조금 해보면 바로 이거 어떤 시스템인지 감이 올꺼임)


보드에는 흔히 똥크(똥색), 파크(파란색), 보크(보라색), 황크(황금색)의 4가지 크레파스가 있는데 이것들을 사용해서 특정 사도의 능력치를 향상시킬 수 있음


덱의 메인 캐릭터의 주요 옵션들은 똥크와 파크로 가능한 전부 칠해주되 보크는 가능한 아끼는 편이 좋음

(보크는 스펙업 수단보다는 나중에 황크를 가로막는것을 칠할때 필요함)


황크는 보유 사도들 중에서 치명타% 라는 보드들부터 전부 점령하고 시작함


이후 물공덱(물리 공격력 주력 덱)은 물공%, 마공덱(마법 공격력 주력 덱)은 마공% 보드들을 쭉 칠해 주다가 사도들이 뭐 하기도 전에 픽픽 쓰러지면 중간중간 체력% 보드들을 칠해주면 됨

(황금 보드는 모든 사도 전체 적용이니 아무 사도나 필요한 옵션이라면 찍어주면 됨)


참고로 초반에 2관(대충 50만 골드가 들어가는 문)을 여는것은 돈낭비 그 자체니 절대로 하지 말것


스킬은 초반에 메인딜러의 메인스킬에 적당히 투자해주면 좋음(대충 5렙 ~ 8렙 정도)



6. 엘베(엘레베이터), 대충돌(차원 대충돌), 단속반(단기 속성반), 던전


엘베는 빛, 다른곳에 눈 두지 말고 빛 엘레베이터만 돌리면 됨


대충돌은 주기적으로 진행되는 보스 레이드라고 생각하면 됨 (대충 최선을 다해서 치면 됨)


단속반은 장비의 정석 아이템을 주는 특수 컨텐츠이고, 매일 이용가능 횟수가 리필되는 방식이니 매일 모든 횟수를 소모해주면 됨


던전은  1~2일차에는 그냥 이것저것 길뚫는데 집중하고 대충 마쉬멜로 7~8지(stage) 이상 돌아간다 싶으면 주력 메인딜러를 위한 스킬작을 조금 진행하면 됨 (이건 위의 스킬과 연계되는 내용)


대충 메인딜러 메인스킬 스작이 되면 이후로는 크레용 던전만 주구장창 돌면 됨 


크레용 던전의 주 목적은 황크를 얻는 것인데 약간 도박성 느낌이 있어 안전한 스펙업을 원한다면 마쉬멜로 던전을 돌아서 사도들의 스킬작을 해주면 됨


그러다 골드, 모카롱 부족하면 gta나 빵집을 돌아서 보충해주면 됨


클론 팩토리는 일명 클팩은 핵심 명함이 필요할때만 도는것을 추천


트릭컬은 성작을 통한 스펙업이 꽤 낮은편이니 클론 팩토리로 성작하는것은 매우매우 비추천


황금보드를 찍기 위한 명함 획득도 사도풀 부족한 뉴비님들에게는 비추천

(나중에 모집하다가 중복이 뜨면 상당한 수준의 손해이기 때문)



7. 대충 추가 팁


상점에서 사야 할 품목을 대충 정리하겠음

           데일리 상점) 광고 3종 세트, 카라멜 팝콘, MUSIM 칩, 똥크(극초반에만)

           잡화 상점) 2~3성 럭키 모집권, 황크(잘했어요 도장), 보크(똥크), 황크(똥크)

           배틀젬 상점) 교단 증명서, 호루라기, (필요한 경우 마시멜로)

           교단 증명서 상점) 사용하는 덱의 핵심 주력캐를 우선적으로 성작해줌

           엘시드 상점) 명함 획득 혹은 엘다인 사도의 성작을 위한 상점. 절대로 일반 사도 성작용으로 사용하지 말것

           추천 상점) 골드로 구매 가능한 (장비 도안, 장비 조각, 기본 연성카드, 교단 증명서)


이외에는 그냥 사지 마셈. 특히 특히 모카롱은 데일리든 추천 상점이든 혐사 그 자체니 절대로 사지 말것


스펠, 아이템은 "해당 효과는 중첩되지 않습니다" 같은 문구가 없다면 거의 대부분 중복적용 된다고 생각하면 됨


스토리를 밀다가 갑자기 적한테 딜이 너무 안박히면 공격력 수치나 치명관련 수치가 기준치에 약간 부족한 것이니 스펠 혹은 아티팩트를 통해 보충하거나 장비를 적당히 강화하셈 (자세한 이유가 궁금하면 딜캡 관련된 글들을 읽으셈)


연회장 음식은 덱의 탱커, 딜러에게 몰아주면 됨 (선호 음식은 공략글을 뒤져보면 테이블이 나오니 참고하면 좋음)


다른 여타 게임과 비슷하게 패스와 월정액은 상대적으로 혜자에 속하는 상품이니 무자본이 아니라면 구매해주면 됨




이상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