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vod.kbs.co.kr/index.html?source=episode&sname=vod&stype=vod&program_code=T2000-0107&program_id=PS-0000742581-01-000§ion_code=05&broadcast_complete_yn=Y&local_station_code=00


2003년 방영된 KBS 역사스페셜 - 박정희 행정수도 이전 프로젝트 편 ㅇㅇ

오늘날 세종시 장군면(당시 공주군 장기면)을 중심으로 계획했던 행정수도 이전 백지계획을 다뤘음


영상 자체도 재미있지만 시간관계상 못보거나 귀차니즘(?)을 위해 요약하자면 -

1. 박정희가 실무자들에게 지시한 행정수도 입지기준

 1) 휴전선에서 70km 이상 떨어질 것(북한 남침 대비)

 2) 서울에서 80~200km 이내일 것(서울과 너무 가깝지도, 너무 멀지도 않은 적당한 거리)

 3) 서해안에서 40km 이상 떨어질 것(북한 무장공비 해안침투 대비)

 4) 1970년대 당시 인구/면적/산업 각각의 국토 무게중심으로부터 반지름 80km 이내일 것(국토균형발전 고려)

=> 사실상 '충청도 안에서 골라라'라는 의미

2. 실무단이 선정한 10개 기초 후보지 및 3개 유력 후보지(★), 최종 후보지

1) 충주 주덕, 대소원(당시 중원군, 현 충주기업도시 일대와 비슷)

2) 진천(현 충북혁신도시 일대와 비슷)

3) 천안 목천(당시 천원군, 현 독립기념관 일대) ★유력후보 1(천원지구)

4) 공주(현 공주 신관동, 의당면 일대)

5) 세종 대평(당시 연기군, 현 행정중심복합도시와 거의 일치) ★유력후보 2(공주+대평을 합쳐 '장기지구'로 통합)

6) 세종 부강(당시 청원군, 대덕군 신탄진, 구즉 일대까지 포함) 

7) 논산 노성(현 호남고속철 공주역 일대 포함(...)) ★유력후보 3(논산지구)

8) 금산

9) 보은

10) 옥천

3. 교통망 : 도시 내 지하철, 도시 서쪽에 고속철도, 도시 동쪽에 간선철도 건설 등

4. 도시계획

 1) 현 장군면 소재지 일대에 행정/입법/사법부 건물과 대규모 광장 등 도심기능 배치

 2) 현 공주 신관동, 의당면과 세종 한솔동, 새롬동, 다정동, 나성동, 대평동, 보람동, 소담동 일대에 주거지역 배치

등등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