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호선 - 종로선 (영문표기: J)

솔직히 뭘로 할지 몰라서 가장 유명한 구간인 종로선을 따서 지었음

2호선 - 순환선 (영문표기: C)

대한민국의 현재 유일한 순환선. C는 영어 Circle에서 따옴.

3호선 - 도남선 (영문표기: D)

원도심과 강남을 가장 빨리 이어주는 선이라서 도심강남선을 줄여서 도강선

4호선 - 북동선 (영문표기: B)

4호선이 서울 북동부의 핵심선이고 그쪽이 수요가 가장 많으니까 그렇게 지음. 동북선은 벌써 경전철 노선 지어지니까 북동선으로 함

5호선 - 동서선 (영문표기: E)

서울 지하철 중에서 가장 처음으로 동서로 연결해주는 노선이니까 토자이선과 같은 느낌으로 동서선으로 함. 영문표기는 동서선의 영어인 East-west Line의 첫글자를 사용함 (D는 벌써 사용되었으니까)

6호선 - 월드컵선 (영문표기: W)

6호선 자체가 월드컵 대비를 위해서 지어진 지하철이니까 월드컵선

7호선 - 노중선 (영문표기: N)

이 노선의 핵심인 역할 두개가 노원구 수요분산과 부천 중동신도시 수요분산이니까 노원중동을 두글자로 줄임

8호선: 동남선 (영문표기: S)

8호선이 서울 동남부의 핵심이니까 동남선. 영문표기는 Southeast에서 옴..

9호선: 부도심선 (영문표기: U)

후쿠토신선과 비슷한 개념임. 급행도 있고 원도심을 하나도 안 지나가는 선임 (서울은 종로구/중구, 도쿄는 치요다구). 대신 대표적인 부도심을 지나감 (서울은 여의도/서초/강남, 도쿄는 이케부쿠로/신주쿠/하라주쿠/시부야). 그래서 부도심선. 영문은 딱히 할게 없어서 부도심을 영문으로 쓰고 두번째글자인 u를 가져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