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스웨덴어 위키백과 

참고로 나무위키 케이블 방송 항목에도 걸려있던 사진(지금은 관련이 없어졌는지 삭제됨.)


사진속의 방송시스템은 스웨덴에서 1930년대 후반에 개발된 유선방송.

 

저 당시에는 FM방송이 없으니 전자파에 의해 방해받기 쉽고 장애물에 방해받기 쉬운 중파방송을 주로 쓰고 있었는데 라디오를 전화선에 연결하여 이용해서 더 선명한 방송을 들을 수 있게 됨.


스웨덴에서 1930년대 말 부터 1971년까지 사용했다고 나오네.


산이 많아서 난시청지역이 많은 우리나라에서도 저런거와 똑같은것은 아니지만 스피커를 각 가정에 연결해서 방송하는 유선방송이 1950년대부터 있었음.

시골지역에 주로 있었는데 충남 예산군 대흥면 출신 우리 할아버지께서 저것을 보신적이 있었다고 함.


방송국에서 송신받은 방송들을 읍지역으로 보내, 읍지역에서 면 지역으로 선을 연결해서 면에 있는 중계지를 거치고 또 면 중계지에서 리 단위로 간다음 여기서 각 가정으로 스피커를 설치하고 국내방송들을 수신하는 방식.


지역 주민들이 듣고 싶은 노래를 스피커 송출을 담당하는 면장한테 신청하면 노래를 틀어주기도 했다.



저렇게 해서 방송을 공급한 각 지역의 유선방송 송출지들은 지금 지역 케이블 tv를 운영하는 회사로 승계해서 존속중이다.


국내에서 지역마다 케이블 tv 회사 권역이 따로 있는것도 이러한 역사 때문이다.


북한에는 지금도 있다. 제3방송으로. 중앙방송 1방송은 FM, 중파, 단파로 2방송은 중파로 방송하고 3방송이 저걸로 방송되는데 북한의 사건사고나 그들의 입장에서 외부로 흘러나가면 큰일이라도 나는 사건사고들은 여기서 주로 방송하는 편. 물론 중앙방송의 내용과 각 지역의 소식을 합하여 내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