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편으로 미수복 경기, 강원 및 황해도를, 2편으로 평안도, 3편으로 함경도를 다루고자 함.


1. 미수복 경기도

 1.1. 장단군

  조선 초기 장단군 읍치 : 장도면 고읍리 일대

  조선 중기 이후~일제강점기 초기 장단군 읍치 : 군내면 읍내리 일대

  일제강점기 중반 이후~현 대한민국 이북5도 행정구역상 장단군청 소재지 : 장단면(구 진남면) 동장리, 도라산리 일대

  현 북한 행정구역상 장풍군 소재지 : 소남면 홍화리 일대


2. 미수복 강원도

 2.1. 회양군

  기존 읍치(군청소재지) : 회양면 읍내리 일대

  현 북한 행정구역상 회양군 소재지 : 하북면 초일리 일대(로 추정, 이 쪽 시가지가 더 큼 -> 회양면 읍내리와 하천 하나만 건너면 되는 동네이지만, 전남 장흥의 사례와 비슷하여 추가)

 2.2. 통천군

  기존 읍치(군청소재지) : 통천면

  현 북한 행정구역상 통천군 소재지 : 고저읍

 2.3. 고성군(북한)

  기존 읍치(군청소재지) : 고성읍

  현 북한 행정구역상 고성군 소재지 : 장전읍

 2.4. 철원군(북한)

  기존 읍치(군청소재지) : 철원읍(대한민국이 수복함)

  현 북한 행정구역상 철원군 소재지 : 이천군 안협면(옛 안협현)

 2.5. 김화군(북한)

  기존 읍치(군청소재지) : 김화읍(대한민국이 수복함)

  현 북한 행정구역상 김화군 소재지 : 금성면(옛 금성군)

 

3. 황해도

 3.1. 평산군

  조선~일제강점기 초기 평산군 읍치 : 군내면

  일제강점기 중반 이후~현 대한민국 이북5도 및 북한 행정구역상 평산군청 소재지 : 남천읍

 3.2. 서흥군

  조선~일제강점기 초기 서흥군 읍치 : 서흥면

  일제 말기 ~ 현 대한민국 이북5도 및 북한 행정구역상 서흥군청 소재지 : 신막읍

 3.3. 봉산군

  조선시대 봉산군 읍치 : 동선면 조양리, 기양리 일대

  일제강점기~현 대한민국 이북5도 행정구역상 봉산군청 소재지 : 사리원읍

  현 북한 행정구역상 봉산군 소재지 : 동선면 청룡리 일대(조양리, 기양리 일대는 아니지만 같은 동선면 지역으로 복귀)

 3.4. 수안군

  조선~일제강점기~현 대한민국 이북5도 행정구역상 수안군청 소재지 : 수안면

  현 북한 행정구역상 수안군 소재지 : 대오면 남정리 일대

 3.5. 옹진군

  조선시대 옹진군 읍치 : 북면

  일제강점기~현 대한민국 이북5도 및 북한 행정구역상 옹진군청 소재지 : 옹진읍(구 마산면, 부군면통폐합 전에는 해주목 땅)

  현 대한민국 실질 행정구역상 옹진군청 소재지 : 인천 미추홀구 용현동

 (3.6. 북한 행정구역상 토산군)

  옛 토산군 읍치 : 금천군 토산면

  현 북한 행정구역상 토산군 소재지 : 금천군 서천면(시변리 일대)

 (3.7. 북한 행정구역상 삼천군)

  옛 문화군 읍치 : 신천군 문화면

  현 북한 행정구역상 삼천군 소재지 : 신천군 궁흥면


오류 및 추가보완 사항 지적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