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는 도시재생의 최상위 법정계획인 대전 도시재생전략계획을 2035년을 목표로 수립·공고했다.

앞서 2016년 최초 수립 후 8년만에 정비했다.


이번 계획은 인구, 경제, 노후건축물 등 감소율이 높은 지역을 선별하고 문화·역사 등 지역자원과 역량을 고려해 도시재생 실현이 높은 지역을 분석해 38곳의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을 지정한 것이 핵심이다.

이 계획은 그동안 도시의 주인인 시민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해 주민설명회와 공청회를 거쳤으며, 관계전문가 자문회 실시 등 사회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했고, 시의회 의견 청취, 관련부서 협의를 거쳐 최종 도시재생위원회 심의를 통과했다.

새롭게 수립된 도시재생전략계획은 재생 사업지 내 부분적인 보존 방식이던 기존 도시재생의 개념을 소규모 정비 방식으로 거점 지역을 조성하는 정부 정책이 반영됐다.

또한, 도시재생을 통한 지역 활성화의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사업의 방향을 제시하는 선택과 집중 전략을 담았다.

이와함께 민선 8기 대전시의 주요 시책, 핵심·전략사업 등을 면밀하게 검토해 도시재생과의 연계 방안 마련했다.

이를 위해 도시기능 중심 거점과 도시재생 필요 지역 분석을 통해 도출한 6개 지역을 대상으로 '도시재생 생활권'개념을 전국 최초로 적용해, 대전시 도시공간의 세부적인 관리 수단으로서 도시재생을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다.

유성 도시재생생활권은 산학 연계형 스타트업 핵심 기능 강화와 온천관광특구 배후 상권 기능 회복에 나선다. 둔산 도시재생생활권은 신규 개발사업 배후의 주거/상업 기능을 강화하고 지역주민간 커뮤니티 회복을 유도한다.

대덕 도시재생생활권은 산단재생과 연계한 산업기능 재구조화와 함께 지역 특성을 고려한 주거환경 정비에 나선다.

동구 도시재생생활권은 역세권 중심의 연계 재생축 구축과 생활인프라 확충을 통한 정주여건 개선에 주안점을 둔다.

중구B도시재생생활권은 중심상권 배후의 골목상권 기능 분담과 지역특성을 고려한 주거환경 정비에 나선다. 중구A 도시재생생활권은 민관협력형 스포츠 특화거점 조성과 함께 지역자원 연계형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한다.

특히, 대전시는 중앙정부의 도시재생 지원 제도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거나 사업성이 현저히 낮아 민간 부문의 진입이 어려운 지역에 대해 공공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대전시 자체적으로 추진하는 '대전형 도시재생'의 기본방향을 제시했다.

이번 계획 수립으로 자치구에서는 도시재생활성화지역에 대해 매년 국토교통부에서 시행하는 신규 도시재생사업 공모에 신청할 수 있게 된다.


출처: 중도일보 - 대전시, 여건 변화 담아 도새재생 전략 새로 짰다 (joongdo.co.kr)

다른 기사: 대전 도시재생 필요 지역은 38곳...중구가 대부분 차지 - 비알뉴스 (b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