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D500, UH-1, 60, AH-1, 64, 66, C-130, CH-46, 47를 모두 대체하는 사업으로 최소 5천대 이상의 헬리콥터, 1300대 이상의 수송기가 생산될 예정.


예상 목표

경량급 헬리콥터 800기 이상

준경량급 헬리콥터 800기 이상

중형급 헬리콥터 3000기 이상

중량급 헬리콥터 1000기 이상

초중량급 헬리콥터 1800기 이상


조건

수평 비행속도는 최소 430km/h 이상

12명 이상의 완전무장 병력을 공수 가능

고도 1,800m, 35도 이상의 고온 상황에서도 424km 이상의 전투 행동반경을 지니고 있어야함.

무급유 항속거리는 최소 850km

완전 자율비행능력을 탑재할 수 있어야함

위와 같은 성능을 초과해야함 (즉, 추후 개량으로 인한 성능저하를 원천 차단)

다양한 플랫폼으로 사용될 수 있어야함 (경량급 헬리콥터라 해도 병력 수송뿐만 아니라 부상병 이송, 대잠능력, 기뢰 소해등 능력을 개조 시 수행할 수 있어야함)

호버링 능력이 뛰어나야함


JMR 사업 과정

JMR Block I: 실용기 성능의 75% 이상의 프로토타입(목업x) 실증기를 비행.

JMR Block II: 실용기 하드웨어성능의 90%, 소프트웨어 35% 이상의 프로토타입 실증기를 비행 및 채택.

JMR Block III: 실용기 하드웨어 성능의 100%, 소프트웨어 80% 이상의 실용기를 비행 및 훈련기 양산.

JMR Block IV: 실전배치.


선정될 시 부과 혜택

연구비 1억 4500만달러 지급

사후관리 우선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