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ION

도전적이고 신뢰성 있는 우주개발로 국민의 안전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


- 독자적 우주개발능력 확보를 통한 우주강국 실현

- 우주산업의 세계시장 진출을 통한 국민경제 발전에의 기여

- 우주공간의 영역확보 및 우주활용으로 국민 삶의 질 향상

- 성공적 우주개발을 통한 국민의 자긍심 고취


목표

안전-통합 구축/발전-삶의 질 향상/탐구-공간능력 확대

  • 모든 중소형위성 자력발사 (1970)
  • 모든 위성 산업체 주도개발 (1970)
  • 국가위성시스템 구축 (1974)
  • 화성착륙선 발사 (1975)


중점과제

  • 우주발사체 기술 자립
  • 인공위성 활용서비스 및 개발 고도화
  • 국가 위성시스템(KSS) 구축
  • 우주탐사 시작
  • 산·학·연의 우주혁신 역량 강화
  • 우주산업 육성과 우주일자리 창출

우주센터개발사업 (1955)

부지 

  1. 경기도 인천시 고잔동
  2. 충청남도 서산군 고남면
  3. 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
  4. 제주도 남제주군 대정읍
  • 1번 발사대(LC-1) : 이렉터식 발사타워
  • 2번 발사대(LC-2) : 고정형 발사타워
  • 발사통제동 
  • 발사지휘센터 
  • 발사체통제센터
  • 비행안전통제센터
  • 추진기관시험동
  • 조립시험시설
  • 발사체종합조립동
  • 위성시험동
  • 고체모터동
  • 기숙사
  • 행정본부동
  • 추적레이더동
  • 발전소동
  • 정문면회동
  • 우주과학관
  • 광학장비동
  • 기상관측소
  • 제주추적소-제주도 남제주군 표선면에 위치
  • 스키드 스트립(인천 위성제작동에서 제작된 위성체 운반 기체 착륙 활주로)

로드맵

한국형발사체 개발사업 완료

  • UDMH/RFNA 연료 발사체(스커드) 개발 경험을 기반으로 RP-1/LOX(케로신)발사체 개발
  • 독일 액체연료 발사체 기반 시험용 엔진 개발으로 상승~하강 프로파일, 연소실 제작, 점화 기술 등 습득
  • 한국형발사체의 성능 향상을 위한 고체연료추진기 개발
  • 발사서비스 생태계 및 양산 체제 구축 이후 해외 위성발사 수주를 통한 상업 발사서비스 시장에 진출
  • 우주개발 영역 확대를 위해 고체연료추진기 및 상부 가속단을 포함한 중궤도 및 정지궤도 발사체로 개량
  • 중장기적으로 한국형 소형발사체의 벌류트-낙하산 방식 재사용(정찰위성체 회수 방식)을 통한 발사 비용 절감
  • 중장기적으로 한국형 중대형발사체의 역추진 방식 재사용을 통한 발사 비용 절감
  • 중장기적으로 고효율 한국형 LH2/LOX발사체 개발

위성의 공공적․전략적 수요에 따라 다목적실용위성 지속 개발

  • 전천후 상시 관측이 가능한 고성능 레이더 탑재체를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
  • 해상도 0.5m 이하급 광학카메라 탑재체(광학정찰위성)를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 및 회수
  • 세계 위성 제작 시장 진출을 위한 중형위성 개발 추진 및 중궤도-정지궤도위성 개발
  • 위성정보 활용시스템 구축 및 국제협력 강화

한국형발사체를 활용한 달/행성 탐사 프로젝트 추진

  • 달 궤도선 발사(해외발사체) 및 심우주 통신용 지상국 구축-심우주 통신망 기지 국내 유치 추진
  • 달 궤도선과 달 착륙선을 자력 발사(한국형발사체)
  • 달 궤도선 및 착륙선으로 축적된 기술으로 화성, 소행성 및 심우주 탐사까지 추진(한국형발사체)
  • 우주물체 추락, 우주 쓰레기 충돌 등 우주위험에 대응하기 위한 우주감시시스템 구축-미국 항공우주청 등과 국제협력

국내 우주산업 육성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방안을 마련

  • 민간의 개발 물량 확대 및 우주제품의 수출 지원을 통해 우주산업 수요를 지속적으로 창출
  • 세계를 대상으로 다목적실용위성, 중궤도-정지궤도위성, 중형위성 수출
  • 기술의 이전과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산업체의 우주개발 주도를 유도
  • 우주 원천, 핵심기술 강화와 더불어 미래 우주기술 개발 추진
  • 우주분야 전문인력을 1960년까지 4,800명으로 확대
  • 미국, 일본, 중국, 월남 등의 국가와 전략적인 국제협력 및 개발도상국에 대한 공적개발원조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