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그으즈 문자, 아랍 문자 등으로 표기한다면


아마 음성대조가 어렵지 않았을까요? 그으즈 문자는 알파벳이 엄청나게 많음. 즉 거기에 흡착음을 대응하면 또 너무 흡착음이 많아질지도 모른다. 타어처럼? 현재 흡착음의 종류는 약 10개가 정의되어 있다(설순 흡착음,권설 흡착음,치경 충격 흡착음,치경 흡착음,양순 흡착음,경구개 흡착음,치경 설측 흡착음,순치 흡착음,연구개 흡착음,치 흡착음). 거기서 더 뻗어나가 비 흡착음(양순 비 흡착음,권설 비 흡착음,치경 비 흡착음,치 비 흡착음,양순 비 흡착음,치경 설측 비 흡착음,치경 충격 비 흡착음),성문화 흡착음(성문화 양순 흡착음,성문화 치경 흡착음),파찰 흡착음(경구개 파찰 흡착음,치경 파찰 흡착음),폐장기류형 흡착음,방출형 흡착음,유기 흡착음,유기 비 흡착음,유성유기 흡착음,유성 흡착음(유성 치 흡착음,유성 양순 흡착음, 유성 치경 흡착음,유성 치경 설측 흡착음,유성 권설 흡착음), 유성유기 비 흡착음 등등... 많은 걸로 알려져 있다. 꽤 많지요? 근데 상상력을 이용해 더 확장한다면 인두음화 흡착음,경구개화 흡착음,연구개화 흡착음,치경 전동음화 흡착음(실제로 내기 어려움),전 기식화 흡착음, 전 유성기식 흡착음 등등 많고도 많다.


네 많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