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8년 7월 17일. 대민국은 혼돈의 상태에 접어들었다. 임채문 대통령이 현재 합의 중인 통일 조항을 공개한 것이다. 80년대부터 추진해온 대민 - 대복 간 양국 통일 추진이 공개되었었고, 장경의 문서 유출과 98사태로 인해 삼국통일을 추진 중이라는 사실은 전 국민이 알고 있었으나 완벽히 구체적인 내용이 공개된 것은 그 때가 처음이였다. 당시 합의하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새로 출범할 국가는 민복반도에서 이름을 따온 민복국이라 한다.'

'현 대복국 황제를 민복국 왕으로 삼아 입헌군주국을 수립하고, 의회에서 선출된 의원들이 총리를 뽑는 의원 내각제를 정치 체제로 한다.'

'수도는 장경으로 정하고, 장경의 도시명을 순우리말 한빛으로 바꾼다.'


이와 같은 내용이 사실상 합의되었음이 밝혀지자, 대민국에서는 기존에 거의 없었던 통일 반대 여론이 들끓었다. 대민국 주요지역에서 새빛보다 거리가 먼 장경이 수도로 추진되고 있다는 점도 문제가 될 수 있었겠지만, 가장 큰 문제는 다름아닌 입헌군주국 체계였다.


일향제국 치하 민주화를 이루기 위해 노력했던 열사들의 투쟁과 1936년 4년만에 폐지된 황제를 옹립하려는 친왕파에 맞서 독립한 것이 통일하면서 입헌군주국이 되어버리면 무용지물이 되기 때문이다. 이를 잘 알고 자유를 사랑했던 대민국 국민들은 통일 반대를 극렬하게 지지했고, 지지율 90%대에 육박하던 민족통합당 1당 우위 체제는 빠르게 무너지기 시작했다.


이렇던 7월 19일 민족통합당에서 탈당한 김명흠 의원을 필두로 한 '통일결사반대 비상국민행동'이라는 단체가 설립되었으며 이들은 22일 19시 대민국 단화국민광장에서의 집단 시위를 계획했다. 이들은 평화적인 방법으로 촛불을 들고 집회하는 것을 택했으며, 끝나는 시기는 임채문 대통령과 민족통합당 대표가 하야하고 입헌군주국 무산이 결정되는 그 순간까지로 정했다.


약속했던 7월 22일의 19시가 되자, 집회 주최측 추산 190만명의 사람들이 구름처럼 몰려들어 단화국민광장 인근부터 주변 도로까지 사람들로 가득했고, 전 대통령이나 김명흠 의원, 국민MC 송재석과 같은 유명 인사들이 연사를 남겼다. 여론조사 기관 민심의 답에서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96.8%의 국민들이 입헌군주국에 반대했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였다. 특히 대민국의 인구가 그리 많지 않다는 것을 감안하면 이는 놀라운 성과였다.


이러한 7.22 촛불집회의 성공에 위기감을 느낀 정부와 민족통합당은 집회 진행 15시간째인 23일 오전 10시경 민족통합당 대표를 비롯한 총사퇴를 발표했고, 곧이어 임채문 대통령은 내각 대거 교체 및 김명흠 의원 부통령으로 임명 등을 발표했다. 또한 무슨 수를 써서라도 통일국가 민복국이 입헌군주국이 되는 것을 막겠다는 의지를 표현하며 대국민 사과를 진행했다. 


이에 23일 오후 1시 임채문 대통령의 하야는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목표를 거의 이뤘다고 생각한 집회 주최 측은 해산하며 촛불집회는 하루만에 끝이 났다. 이렇게 어수선한 5일 간의 사회 분위기는 다시 정상으로 돌어왔고, 온 국민이 새로 통일될 민족민주국가 민복국에 대한 희망으로 부풀어 차 있었다. 이런 분위기는 통일까지 계속 이어져 통일에 큰 역할을 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