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偏差値가 뭐냐 하면,




전문용어로 설명하면, 데이터 수치를 평균 50, 표준편차 10의 데이터로 변환(정규화)하면 위처럼 볼록한 그래프가 나타나게 되는데 이게 偏差値(편사치)이다(수능 등급분포율과 비슷하다고 보면 됨).

보통 학교 성적을 바탕으로 학생의 수준이 어느 정도 위치에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알기 쉽게 나타낼 때 이 偏差値가 많이 쓰인다. 

偏差値가 높을수록 오른쪽에 위치하고, 偏差値가 낮을수록 왼쪽에 위치한다. 

偏差値가 적다는 건, 그만큼 학교성적이 떨어진다는 걸 의미한다.

즉, 偏差値ない者 = 꼴통새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