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0/0002897698?sid=105



삼성디스플레이(대표 이동훈)은 저전력 OLED 기술 '어댑티브 프리퀀시(Adaptive Frequency)' 기술을 상용화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신기술은 사용 환경에 따라 디스플레이 주사율(초당 프레임 수)을 자동 조절해 전체 소비전력을 줄이는 것이 핵심이다. 기존 스마트폰 대비 패널 구동 전력을 최대 22% 낮출 수 있다.  


5G를 기준으로 빠른 화면 전환이 필요한 모바일 게임은 120㎐, 영화는 60㎐, 이메일 등 일반 텍스트 확인이나 입력에는 30㎐, 사진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 정지 이미지는 10㎐ 등 가변 주사율을 구현한다. 삼성전자가 최근 공개한 프리미엄 스마트폰 '갤럭시노트20 울트라'에 처음 적용됐다.


통상 스마트폰 패널에는 고정 주사율을 적용한다. 낮은 주사율로 전환하면 휘도가 변하면서 깜박임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자체 개발한 '백플레인' 기술을 활용, 저주사율 구동에 따른 깜박임 현상을 제어했다. 스마트폰 OLED 패널에서 10㎐ 주사율을 구현한 것은 처음이다.  


삼성디스플레이 관계자는 “120㎐ 구현 시 소비전력은 60Hz 패널 대비 약 30% 많아진다”면서 “사진, SNS 등 정지 이미지 사용 시 10㎐ 주사율로 패널 구동 전력을 기존 대비 최대 60% 줄였다”고 강조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앞으로 '어댑티브 프리퀀시'를 스마트폰을 포함한 다양한 정보기술(IT) 기기에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소비전력 절감 효과를 높이기 위해 소재 효율을 높이는 한편 구동 부품을 최적화하기 위한 기술 개발에도 착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