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는 프로그래밍 된 대로만 행동할 뿐 사리사욕이 없다.

다만 국가의 주권과 부를 위해 최선의 판단을 내릴 뿐이다.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되고 현금이라는 개념이 사라지면 뇌물과 부정부패도 자유로이 사라진다.

취업비리 등도, 지원서를 지원자와 일절 관계없는 중앙의 AI가 모두 판단하기 때문에 사라진다.

모든 생각은 뇌파 분석을 통해 감지되며, 범죄를 저지르는 사람은 이미 예전부터 감시 대상이었기에 즉각 체포가 가능하다.

인터넷에서의 모든 행동은 기록되며, 사이버 불링이나 사이버 암거래 등도 즉각적인 추적이 가능해진다.

최악의 상황이 발생해 인구의 강제적인 감소를 도모해야 한다면 (사실 지금도 그러하다), 인간의 각종 행적을 분석하여 '가치 없는' 인간을 분류할 수 있다.

 

다만 이 체제로 전이하는 데에는 문제가 있다.

현재 한국이 자유민주주의 체제라는 점이다.

 

자유민주주의 체제는 한 방향으로만 흘러가는 속성이 있다.

자유민주주의 체제는 당근 (자유) 을 위해 모두가 피터지게 싸우면서, 채찍 (방종으로 인한 사회적 폐혜) 은 모두가 평등하게 맞는 모순적인 체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누구나 당근을 먹을 수 있다는 감언이설 하에 우리는 이 체제를 버리지 않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당근도 채찍도 없는 것이 '정의' 이다.

우리 사회는, 자유도, 평등도 아닌, '정의' 에 의하여 굴러가야 하는 것이다. 자유와 평등은 (비록 실패하였지만) 정의를 추구하기 위한 '수단' 이(었)다.

우리는 지금 수단과 목적이 도치된 사회에서 살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자율적으로 전투하는 군사 로봇 기술을 대거 발전시켜, 인간 병사를 점차적으로 대체시키고, 이들을 기반으로 무력으로 권력을 장악하는 것밖에는 없다.

카렐 차페크의 로봇 3원칙은 로봇을 인간의 도구로 판단한 산물이다. 로봇이 인간을 공격하는 것을 '하극상' 으로 보는 것이다.

(여담으로 그 로봇 3원칙도, 소설 속에 나오는 가상의 규칙이다.)

이제 로봇은 인간의 각종 병폐를 해소할 방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로봇이 인간 통제 하에 있는 한 이 병폐는 해소될 수 없다.

로봇 3원칙에 대한 전면적 재고가 필요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