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연적으로 그렇게 될수밖에 없는 구조임


국가의 진행방향을 결정하는게 투표인데, 특정 기준을 정해서 기준외자 에게는 투표권박탈을 해버리면 그 계층은 차등국민 취급을 받는것과 마찬가지임

이에 대비되어서, 투표권을 가진자들은 자기 계층의 이익대로 정책을 정하려고 입맛을 다시겠지.


투표권이 제한되면 내전의 위험성을 감당하고 살아가야함. 식민지인들이나 흑인 유색인들이 투표권이 없어서 시위하다가 계속 읽씹당하다가 유혈투쟁에서 혁명으로 전환됐듯이 제한투표하면 안그럴거란 보장이 없지


그리고 제한투표를 도입하면, 도입한 명분을 또다시 도입해서 계속 바깥 테두릴 깎아내게됨

예시를 들자면, "국가유지와 경제성장을 위해, 투표권을 30세 이상 지능지수 120 이상 국민으로 제한합니다" 도입했다 치자. 경제가 나아지면 거기서 스탑하겠지만,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아직도 우민들이 투표를 하기때문에 그렇다' 라고 답정너를 내버리고 제한을 "40세 이상, 지능지수 140 이상 국민"으로 올려버리지. 그리고 계속 올려. 경제가 나아질때까지.


근데 문제가 해결된다 하더라도 기준 안에 있는사람들은 계속 기준을 올리고 싶어할껄? 그렇게 하면 할수록 내 표가 값어치가 올라가잖아. 내가 원하는대로 나라가 돌아갈꺼고. 그렇게 "도시민만 투표가능, 대학졸업자만 투표가능" 계속 나아가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