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8.13.)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8/13/2020081300768.html?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렘데시비르 600배 효능” 나파모스타트 韓 연구, 국제학술지 게재

한국파스퇴르연구소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 중인 약물 ‘나파모스타트’의 효능 연구논문이 국제학술지 ‘바이러스학 저널(JMV)’에 지난 7일(현지시각) 발표된 것으로 13일 확인됐다. 앞서 연구진은 길리어드사이언스의 렘데시비르보다 효능이 600배 높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해 주목받은 바 있다.
~

(2020.08.13.)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081309203235384
삼성? 삼성! 만든 기술, 시스템반도체서도 '세계 최초' 일냈다

삼성전자가 업계 최초로 7나노 EUV(극자외선) 시스템반도체에 3차원 적층 패키지 기술인 'X-Cube(eXtended-Cube)'를 적용한 테스트칩 생산에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최첨단 EUV 초미세 전(前)공정뿐 아니라 후(後)공정에서도 첨단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게 되면서 2030년까지 시스템반도체 분야에서도 세계 1위에 올라서겠다는 '반도체 비전 2030'을 향한 디딤돌을 마련한 것으로 보인다.

~

(2020.08.13.)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8/13/2020081301593.html?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KAIST, 고성능 그래핀 섬유 개발… “마스크 필터에 활용”

~
노즐을 납작한 단면으로 바꾼 후 만든 그래핀 섬유는 기존 원형 단면 구조일 때보다 전기전도성이 1.5배, 단단함이 3.2배 높아졌다. 납작한 만큼 쉽게 구부러져 웨어러블 기기의 소자로 활용할 수 있다.
~

(2020.08.13.) https://www.mk.co.kr/news/it/view/2020/08/835429/
LG도 코로나백신 개발…연내 인체 투여 임상

LG화학이 코로나19 예방 백신 개발을 위한 인체 임상1상을 연내에 개시한다. 손지웅 LG화학 생명과학사업본부장(부사장·57)은 매일경제신문과 인터뷰하면서 "지난 2월부터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착수해 현재 동물 효력 시험을 하고 있다"며 "연내 임상 1상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
코로나19 백신을 자체 개발하는 한편 전 세계적으로 백신을 신속히 공급할 수 있도록 국내외 다른 회사가 개발하고 있는 코로나19 백신도 위탁생산(CMO)한다는 방침이다. 손 본부장은 "그동안 다양한 백신과 당뇨병 치료제 '제미글로' 등을 출시하면서 축적한 LG화학만의 생산 공정 역량을 갖추고 있다"며 "외국 업체가 코로나19 백신을 상업화하는 과정에서 우리가 CMO 업체로 참여해 글로벌 백신 생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2020.08.13.) http://www.inews24.com/view/1290495
"세계의 공장 '중국시대'는 끝나다"

~
애플인사이더 등의 주요외신들에 따르면 애플기기 위탁생산업체 폭스콘의 영류 회장은 12일(현지시간) 중국이 세계공장이란 강점을 잃어감에 따라 앞으로 더 많은 공장을 중국밖으로 이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과 마찰로 중국산 제품이 수입금지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인도나 동남아시아, 아메리카에 관계없이 중국 이외의 지역으로 공장을 옮길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2020.08.13.)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008134768i
합병 발표 소문에 급등한 셀트리온 3총사…"당장 계획 없어" [한경 팩트체크]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 셀트리온제약 3사의 합병 발표가 임박했다는 소문에 셀트리온그룹 상장사들의 주가가 급등하고 있다. 하지만 셀트리온 측은 “3사 합병을 검토 중이고, 3~4분기에 합병 방안을 제시할 계획이지만 (시장 소문과 같이)발표가 임박한 건 아니다”고 설명했다.
~


(2020.08.13.) https://www.etnews.com/20200813000280
삼성, EUV 시스템반도체용 '3D 패키징' 기술 첫 개발

삼성전자가 7나노 극자외선(EUV) 공정으로 만든 칩을 여러 번 쌓아올려 하나의 반도체로 만드는 패키징 기술을 업계 최초로 개발했다. 평면으로 다이(die)를 배열할 때보다 반도체 크기를 줄이고, 전력 효율 향상까지 모색할 수 있게 됐다. 삼성은 이 기술을 기반으로 파운드리 사업 초격차 확보와 함께 '2030년 시스템반도체 1위' 비전 달성에 나선다.
~

(2020.08.13.) https://news.joins.com/article/23848303
미·중 갈등 최고조 속 中 양제츠 다음주 방한할 듯…中, 한국 압박하나

양제츠(杨洁篪) 중국 공산당 정치국원 겸 중앙외사공작위원회판공실 주임이 다음 주 중 방한하는 일정을 한·중 외교 당국이 조율 중이라고 여권 핵심 관계자가 13일 밝혔다.
~

(2020.08.13.) https://www.fnnews.com/news/202008130811368088
"메르스 백신 살짝 바꿔 코로나 백신 만들었다" 러시아의 이실직고

러시아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논란이 더 가열될 전망이다. 러시아가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백신을 살짝 바꿔 코로나 백신을 만들었다고 밝히면서다. 그럼에도 러시아는 코로나 백신이 올 11월까지는 출시될 것으로 예상했다.
~

(2020.08.13.) https://news.joins.com/article/23848404
시진핑 "음식, 그만 좀 버려"…잘나가던 '中먹방' 제동 걸렸다

~
시 주석이 직접 나서 음식 낭비를 강하게 질책한 것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와 홍수 피해, 미중 갈등 등의 여파로 옥수수와 돼지고기 가격이 폭등하면서 중국인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온다.
~

(2020.08.13.)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00813/102442013/1
20대·진보층도 이탈…文대통령 지지율 43.3%, 하락세 원인은?

(2020.08.13.)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964575
[영상] 중국에서 북한으로…트럭들이 넘어간 까닭은?

~
JTBC가 입수한 영상엔 대북 민간단체인 남북경제협력연구소와 경기도가 오늘 코로나19 방역물품 10억 원 어치를 북한으로 들여보내는 모습이 담겼습니다.

방호복과 손 소독제, 코로나19 진단을 위한 유전자 증폭 장비와 열화상 카메라가 포함됐습니다.
~

(2020.08.13.)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4906616&code=61111111&cp=nv
‘이남자·이여자·호남’도 여당에 등돌린다…부동산 치명타된 민주당

(2020.08.13.) https://news.joins.com/article/23848036
"세 아이 아빠도 쫓겨났다"…47명 해고에 꼬이는 인국공 사태

(2020.08.13.) https://www.etnews.com/20200813000206?mc=em_006_0003
코로나19에 막힌 엔지니어링 현장교육, VR로 극복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김종남)은 박정호 플랫폼연구실 선임연구원팀이 인플루전과 협업해 실제 플랜트를 경험하는 것과 같이 생생하고 현실감 있는 '엔지니어링 전문 교육용 VR 스마트 솔루션'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

(2020.08.13.) http://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008111503204960105027&lcode=00&page=2&svccode=00
세아제강, '그린뉴딜'로 날개 달까

풍력발전 등 신재생에너지 정책이 전세계적으로 강화하는 것도 세아제강에게 호재다. 세아제강의 또다른 주력제품으로는 후육관이 꼽힌다. 후육관은 두께 20~140mm의 철강제품으로 해상 풍력발전의 하부구조물의 소재로 쓰인다. 이 제품은 고객 요구에 따라 다품종 소량생산 방식으로만 생산돼 전세계에서도 제조기업이 손에 꼽힌다.
~

(2020.08.13.) http://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008111439440560104157&lcode=00&page=3&svccode=00
'선택과 집중' 하나머티리얼즈 전략 통했다

~
올해 초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의 국내 주요 고객사들이 EUV(극자외선) 관련 설비 투자를 확대하고, 낸드플래시 생산량을 늘린 것도 하나머티리얼즈 실적개선에 영향을 끼쳤다. 하나머티리얼즈는 반도체 식각 장비(Etcher)에 소모품으로 사용되는 실리콘(Si) 파츠를 주력으로 생산한다. 전략적 파트너이자 2대 주주인 도쿄일렉트론(TEL) 등의 장비사를 통해 엔드유저(삼성전자 등)에 납품되는 구조다.
~

(2020.08.13.) http://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008121634045960106085&lcode=00&page=1&svccode=00
크래프톤, 줄잇는 스톡옵션 행사…IPO 잭팟 기대감

크래프톤 임직원들이 최근 적극적으로 스톡옵션 행사에 나서고 있다. 기업공개(IPO)가 임박했다는 신호 중 하나로 풀이된다.

IPO는 그야말로 일확천금 기회다.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스톡옵션을 행사한 임직원의 경우 1000만원 어치만 행사해도 현재 장외가 기준만으로 지분가치가 48억원에 이른다. 최대 40조원으로 거론되는 IPO밸류 기준으론 200억원으로 수직상승한다.
~

(2020.08.13.) http://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008130955135560107642&lcode=00&page=1&svccode=00
제놀루션, 숨겨진 진단 수혜…'RNA 추출' 50% 과점

제놀루션이 독보적인 RNA 추출 기술력으로 진단 업계 숨은 수혜주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으로 진단 시장이 급성장했는데 진단 키트에 필요한 RNA 추출 시장에서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국내 수요의 절반 이상을 제놀루션이 소화한 것으로 확인된다. 로슈나 카이젠 등 쟁쟁한 글로벌 빅파마들이 선점한 진단 추출 시장에서 거둔 성과다.

1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까지 150만 건에 달하는 국내 코로나19 진단 과정 중 절반을 넘는 75만건 이상에서 제놀루션의 RNA 추출 기술을 채택된 제품이 사용됐다. 제놀루션은 DNA 및 RNA 추출 전문 업체다
~

(2020.08.13.) http://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7016
유럽발 배터리 투자 본격화…국내 장비사 공략 시작

유럽 각국이 배터리 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전기차(EV) 핵심부품인 배터리를 한국, 중국, 일본에만 의존할 수 없다는 게 이유다. 양산 경험이 풍부한 국내 배터리 장비 업계에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전망이다.

7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배터리 장비업체들이 유럽 배터리 업체 공략을 본격화했다. 피엔티, 씨아이에스, 제일기공, 티에스아이, 엠플러스, 하나기술, 에스에프에이, 피앤이솔루션, 갑진 등 10여개에 달한다. 지사나 연락 사무소를 세우고 현지 에이전트를 동원해 적극적인 영업 활동을 진행 중이다.
~

(2020.08.13.) https://www.lawissue.co.kr/view.php?ud=202008131545435628204ead0791_12
한국유나이티드제약, ‘NASH’ 치료제 개발

~
한국유나이티드제약은 2016년 금(金) 제제 유효성분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치료제 관련 기술을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으로부터 이전 받아 연구를 진행해왔다. 최근 식약처로부터 IND 승인을 받아 8월 중 임상 2상에 착수할 예정이다.

연구 개발 중인 치료제 ‘오라노핀(Auranofin)’은 금 제제 중 하나로, 체내의 면역기능을 담당하는 대식세포의 M2 형질전환 촉진과 TREM-2라는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은 현재까지 마땅한 치료제가 없다. 한국유나이티드제약은 글로벌 진출을 위해 국내 특허 및 미국, 일본 특허를 차례로 등록 받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