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다시피 굵은 표시 부분이 변경된 부분임. 

 

상비군 부분 

 

상비군은 언제든지 병력을 유지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상비군은 1700년대 이전에는 인구가 아무리 많다고 해도, 3만 5천 명을 넘길 수 없습니다. 

1700년 이전까지는 모병제만 가능합니다. 

모병제

인구 100만 명 미만: 5천 명까지

인구 100만 명 이상 ~ 300만 명 미만 : 1만 명까지

인구 300만 명 이상 ~ 600만 명 미만 : 1만 5천 명까지 

인구 600만 명 이상 ~ 800만 명 미만 : 2만 5천 명까지

인구 900만 명 이상 ~ 1,000만 명 미만 : 3만 명까지 

인구 1,000만 명 이상 ~ : 3만 5천 명까지 

 

전쟁시 징병 가능 인구 

1700년 대 이전까지

전체 인구의 3%까지 징병할 수 있습니다. 이보다 더 많이 징집이 가능하지만, 전쟁 후 페널티는 더 심해집니다. 

 

훈련도는 기본 5에서 최대 100으로 설정한다.

기본적으로 1년에 0.1가 올라가고, 최대 30까지만 올라가지만, 추가적으로 10골드를 써서 개인당 1년에 1.4(+0.1)씩 올라가서 훈련도를 60까지 올릴 수 있다. 

기병은 기본적으로 0.2가 올라가고, 추가적으로  30골드를 써서 1.5(+0.2)씩 훈련도를 80까지 올릴 수 있다. 

해군은 기본적으로 0.2가 올라가고 추가적으로 40을 써서 개인당 1년에 2(+0.2)씩 올라가고 훈련도를 85까지 올릴 수 있다. 

근위대, 용병같은 특수 병종들은 50골드를 써서 훈련도를 100까지 올릴 수 있다. 

주력 병종은 30골드를 써서 훈련도를 70까지 올릴 수 있다. 

  • 주력 병종은 두 가지를 고를 수 있습니다. 

 

훈련도는 사기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전쟁 규칙

처음에 자신의 병력과 훈련도를 적는다. 

이동 속도는 필수로 지킬 것. 

보급(특히 식량!)에도 신경을 쓸 것. 

기습은, 병력이 크면 클 수록 들키기 쉬워진다. 만 단위까지 가면 들킬 가능성이 80%로 증가한다. 척후병을 풀어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당연히 막장은 금지.

관리자를 꼭 부른다. 

약탈은 당시 보급의 주요 수단 중 하나로, 그 지역의 경제에 비례하여 약탈 가능.

 

 

 

이동 속도

 

보병 (군장 20~30kg 기준, 궁병같은 모든 분야) -훈련도 20~60, 훈련도 100-

1분 당 평균 4~16km, 최대 44km 

기병 -훈련도 20~80, 훈련도 100-

1분당 30~60km. 최대 80km. 몽골제국의 최대 진군 속도는 151km

 

파발마

1분당 50~60km. 최대 96km. 몽골제국의 최대 파발마 속도는 352km

 

 

 

전쟁 후 페널티

 

인구의 전체적 변화에는 미미하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생깁니다. 모든 기간은 현실 시간 기준으로 적용합니다. 

 

  1. 약탈당한 마을은 6시간(최소)~12시간까지 폐허 상태로 남으며 하루 이상 마을 복구를 하지 않을 경우 유령 마을로 취급됩니다.
  2. 약탈당한 마을을 복구하는 방법은 약탈당한 비용의 2배 비용을 소모하며 제곱 킬로미터당 5분씩 걸립니다. 
  3. 청야전술을 시행한 마을은 2시간(최소)~6시간까지 자원이 부족한 상태로 남으며 12시간 이상 마을 복구를 하지 않을 경우 유령 마을로 취급됩니다.
  4. 청야전술을 시행한 마을을 복구하는 방법은 청야전술을 시행한 비용의 1.5배를 소모하여 복구하며 제곱 킬로미터당 3분씩 걸립니다. 
  5. 청야전술을 시행할 경우 백성(시민)들의 반발이 생기며 진격로 이외의 마을에서 청야전술을 시행할 경우에는 거부되며, 그래도 시행할 시에는 반란이 발생합니다. 

 

 

전술을 중요하게 여기세요. 

 

위 사항을 어기면 일정기간 전쟁 금지부터 차단까지 처벌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