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산시 지도]

강원도의 시

金剛山市 / Geumgangsan City

시청 소재지: 금강산로 120 (말휘동)

광역단체: 강원도

하위 행정구역: 23법정동

인구: 52,421명

면적: 501.42km²

인구 밀도: 70.64명/km²


1. 개요

강원도의 시. 고성군(高城郡)과 함께 금강산 관광으로 유명한 지역으로, 백두산직할시와 함께 국립공원을 통해 얻는 수익의 비중이 매우 높은 도시이다.


2. 역사

19??년: 회양군 장양면(長楊面)이 내금강면으로 개칭되었다.

1972년: 내금강면이 금강산읍으로 승격되었다.

1981년: 금강산읍이 금강산시로 승격되었다.


3. 경제

한민족의 명산 금강산을 끼고 있는 도시인 만큼 금강산 관광을 통해 얻는 수익이 시의 재정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4. 교통

4.1. 철도

[금강산시 철도 지도]

4.1.1. 일반철도

 * 금강산선: (현리역) - 말휘역 - 병무역 - 내금강역 - (시종점)

4.2. 도로

[금강산시 도로 지도]

4.2.1. 국도

 * 31번 국도


5. 국립공원

지리산, 백두산과 함께 3대 국립공원으로 손꼽히는 금강산국립공원이 있다.

금강산은 1956년 대한민국 최초로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산으로, 전술한 지리산, 백두산과 함께 한민족의 명산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사의 역대 문인들과 외국인인 스웨덴의 국왕 구스타프 6세 아돌프가 예찬을 하였을 정도로 최고의 경치를 자랑하는 산으로, 평창의 오대산과 함께 강원도의 불교 문화의 성지로 알려져 있다. 또한 금강초롱을 비롯한 금강산에서만 자라는 식물과 사향노루, 산양, 반달가슴곰과 같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동물들이 서식하고 있어 생태계의 보고(寶庫)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금강산국립공원은 2007년에 세계복합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시내에는 말휘동과 유동, 병이무지동, 상북점동, 정양동, 장연동을 중심으로 호텔과 맨션이 모여있고, 해마다 예약 전화가 끊이지 않을 정도로 시의 재정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엄청난 관광 수익을 내고 있다. 즉, 금강산 관광 수익이 끊어지면 금강산시의 재정이 악화되어 최악의 상황에 빠질 수 있다고 할 정도이다. 하지만 오버투어리즘으로 인한 환경 파괴와 문화재 훼손, 맨션을 짓기 위한 무분별한 개발,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바가지 요금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6. 하위 행정구역

[금강산시 법정동 지도]

일반구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 관할 법정동: 말휘(末輝), 금강원(金剛院), 속사(束沙), 병이무지(竝伊武只), 봉현(蓬峴), 삼덕(三德), 상북점(上北占), 상소곤(上小坤), 상신원(上新院), 상현(上縣), 상회이(上檜耳), 순갑(順甲), 신풍(新豊), 온정(溫井), 유(柳), 장연(長淵), 정양(正陽), 추(楸), 하북점(下北占), 하소곤(下小坤), 하신원(下新院), 하현(下縣), 하회이(下檜耳)

시청이 위치하고 시청을 중심으로 시가지를 이루고 있는 말휘동과 유동, 호텔과 맨션이 즐비한 병이무지동, 상북점동, 정양동, 장연동을 중심으로 인구가 집중되어 있다.

금강산국립공원은 금강산시에서 장연동, 신풍동에 걸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