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강화군 : 갑비고차(가ㅂ이곶)->갑곶/강곶(꽃)->강화(江花->華)
                      cf. 갑곶이란 이름도 여전히 남아 있음(갑곶돈대)

경기 파주시(+파평면) : 파해평리(吏를 史로 잘못 적어 '파해평사'라고도 함 / 바회베리 -> 바위와 벼랑의 땅) -> 파평 -> 파주
                      cf. 실제로 파평, 적성 일대는 임진강 물이 굽이쳐 흐르며 주변의 산세가 험악한 편
                           (이웃한 적성도 '난은별'(느른벼랑, 벼랑이 늘어서 있음)->늛/닓(읿)->칠(七)->칠중성(七重城)->일곱번 거듭 쌓은 성->積城)

- (보너스) 교하 : 어을매->어을(어울리다)+매(물)->交河 (한강과 임진강의 두 물이 어울리는 곳)

경북 성주군(+벽진면) : 벽진(성산)가야/벽진국('별들'->음차하여 벽진, 훈차하여 星)

충남 논산시 연산면 : 황산벌(黃山 -> 누르뫼/느르뫼 -> 늘뫼 : 산이 늘어서 있음 -> 連山)

경북 경산시(+압량읍) : 압량국/압독국(押梁/押督) -> 누르들/돌 -> 노르/노루 -> 장산(獐山) -> 장산(章山) -> 고려 충선왕 때 왕의 이름인 璋과 음이 같아 피휘하고자 慶으로 바꾸어 慶山이 됨

경기 개성시 : 동비홀(듧골->열려 있어 드나드는 성->開城)
                      cf. 부소갑/부소압(扶蘇 -> ㅄㅗ(ㅂ소) -> 소(솔) -> 松 / 甲, 岬, 狎 -> 嶽) -> 송악

전북 남원시 아영면 : 모산성(母, 어미) -> 아모/아막(阿暮/阿莫) -> 아영(阿英, 莫을 英으로 잘못 적은 게 굳어짐)

경북 상주시 공검면 : 고령가야(함창 고을의 기원으로, 고령군과는 다름. 고령군은 高靈(대가야), 고령가야는 古寧) -> 공가라 -> 공갈(공갈못) -> 공검(공검지)

경북 포항시 연일읍(+옛 영일군), 오천읍 : 근기국(勤耆/斤耆) -> 도기(도끼, 斤)/도기야(都祈野)/근오지(斤烏支)/연오(延烏) -> 도지 -> (해)돋이 -> 延日/迎日
                     cf. '연오랑 세오녀'의 '연오(延烏/延日)'가 바로 이것이며, '오천(烏川)'의 '오' 역시 여기서 딴 것
                          (실제로 신라~고려 초기에 연일현의 읍치가 오천읍에 있었음)

강원 춘천시 우두동 : 소모리(牛頭) -> 솟주/쇳주/소모리주(수약주 首若州/삭주 朔州/우수주 牛首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