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e 채널

■ 통치 체제의 정비 - 흥선 대원군

정치 : 안동 김씨 축출, 비변사 축소

경제 : 양전 실시, 호포제와 사창제 실시

기타 : 서원 철폐, 경복궁 중건


■ 통상 수교 거부 정책

- 병인양요 (1866)

병인박해를 원인으로 프랑스가 강화도에 쳐들어왔으며 문수산성(한성근)과 정족산성(양헌수)에서 승리를 거둬서 프랑스군은 물러났으나 외규장각의 서적들을 약탈당함.

- 오페르트 도굴 사건 (1868)

독일인 오페르트가 남연군의 묘를 도굴하다 발각.

- 신미양요 (1871)

제너럴 셔먼 호 사건을 원인으로 미국이 강화도에 쳐들어왔으면 광성보(어재연)에서 승리를 거둠.

- 척화비

위의 세 사건을 이유로 전국에 서양을 멀리하자는 척화비를 건립.


■ 임오군란 (1882)

별기군과의 차별 대우로 구식 군인에 하층민이 합세해 일본 공사관을 습격, 흥선 대원군이 재집권하고 청이 개입하게 됨. 이 이후 제물포 조약(1883, 조-일)을 맺게 됨.


■ 갑신정변 (1884)

청의 과한 간섭, 더딘 개화 등을 이유로 김옥균, 박영효 등 급진 개화파가 일으킨 변. 14개조 정강이 있었으나 망했고, 청의 간섭은 심화. 이 이후 한성 조약(조-일)과 톈진 조약(중-일)을 맺음.


■ 갑오개혁

- 1차 (1894)

군국 기무처를 설립. 과거제, 신분제, 연좌제 폐지, 재가 허용, 탁지아문 설치.

- 2차

군국 기무처 폐지 및 홍범 14조 반포.

- 특

일본의 간섭이 있었고 군사 제도와 토지 제도의 개혁이 없었으나 갑신정변과 동학 농민 운동이 바라는 바가 일부 반영 되고 근대적 제도가 도입됐다.


■ 독립 협회 (1896)

서재필이 설립함. 독립문을 세우고 독립 신문을 간행, 만민 공동회를 개최해 이권 수호 운동과 자유 민권 운동 전개. 또한 근대적 의회 설립 추진. 추후 애국 계몽 운동이 계승.


■ 대한 제국 (1897) / 광무 개혁 (1899)

덕수궁으로 환궁, 구본신참의 원칙에 따라 대한국 국제 반포.


■ 을사 조약 (1905)

외교권 박탈, 통감 설치

- 저항

민영환 자결

황성신문의 시일야방성대곡

나철과 오기호 : 오적 암살단 조직

이재명 : 이완용 살해 시도

전명운과 장인환 : 스티븐스 살해

안중근 : 이토 히로부미 사살.


■ 일제의 국권 강탈

- 헤이그 특사

이를 빌미로 일본이 고종 강제 퇴위.

- 정미 7조약 (1907)

행정권, 군사권 박탈

- 경술국치 (1910)

국권 강탈


■ 국채 보상 운동 (1907)

대구에서 시작함. 대한 매일 신보가 서포트.




■ 무단 통치 (1910년대)

조선 총독부 설치, 헌병 경찰의 즉결 처분권 행사, 한국인의 정치권, 언출집결1)의 자유 박탈, 토지 조사 사업 실시, 회사령 실시.

- 민족 운동

대한 광복회(국내), 독립 의군부(국내), 경학사(삼원보), 신흥 무관 학교(삼원보), 서전서숙(북간도), 명동 학교(북간도), 신한촌(연해주), 대한인국민회(미주)


■ 3.1운동 (1919)

윌슨의 민족 자결주의, 상하이의 신한 청년당, 파리 강화 회의의 김규식, 만주의 대한독립선언서, 도쿄의 2.8 독립 선언


■ 문화 통치 (1920년대)

보통 경찰제, 문관 총독 임명 가능, 언출집결 자유 허용, 교육 확대, 산미 증식 계획, 회사령 폐지(신고제로 변경)

- 실력 양성 운동

물산 장려 운동, 민립 대학 설립 운동

- 사회 운동

소작 쟁의 : 농민, 암태도 쟁의

노동 쟁의 : 노동, 원산 총파업

소년 운동 : 천도교의 방정환 주도, 어린이날 제정

형평 운동 : 차별 폐지 요구


■ 6.10 만세 운동 (1926) / 광주 학생 항일 운동 (1929)

학생이 전개.

- 6.10

치안 유지법 공포 이후.

- 광주 학생

광주에서 시작. 한일 학생 간 충돌에 대한 경찰의 편파적 대응으로 민족 차별 중지, 식민지 교육 제도 철폐, 일제 타도 등 주장.


■ 의열단

김원봉 : 지린 성에서 조직 (1919)

박제혁 : 부산 경찰서에 폭탄 투척 (1920)

김익상 : 조선 총독부에 폭탄 투척 (1921)

김상옥 : 종로 경찰서에 폭탄 투척 (1923)

김지섭 : 도쿄 궁성에 폭탄 투척 (1924)

나석주 : 동양척식주식회사, 식산은행에 폭탄 투척 (1926)


■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대첩 (1920) / 그리고 독립군의 시련과 3부의 성립

봉오동 : 홍범도

청산리 : 김좌진

간도 참변 (1920) : 일제

자유시 참변 (1921) : 러시아

3부 성립 :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

3부 통합 : 혁신 의회(한국 독립군), 국민부(조선 혁명군)로 재편.


■ 한인 애국단 (1931)

김구 : 결성. (1931)

이봉창 : 도쿄에서 국왕 처단 시도. (1932)

윤봉길 : 상하이 훙커우 공원 점령 기념식장에 폭탄 투척, 고위 관료 처단. (1933)


■ 무장 독립운동과 한국 광복군

- 조선 의용대 (1938)

김원봉이 조직.

-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개편과 한국 광복군

충칭 정착 -> 삼균 주의 배경 건국 강령 발표 -> 한국 광복군 창설

- 한국 광복군 (1940)

연합군으로 참전 / 중국과 대일 전쟁 / 인도ᆞ미얀마 전선 / 특수 요원 훈련

- 조선 의용군 (1942)

- 조선 독립 동맹과 조선 건국 동맹


■ 한국사 연구와 한글 연구

민족 주의 사학 : 신채호, 박은식

사회 경제 사학 : 백남운

실증 사학 : 이병도, 손진태 (진단 학회)

- 조선어 연구회 (1921)

가갸날 제정, 잡지 <한글> 발간

- 조선어 학회 (1931)

한글 강습회, 맞춤법 통일안 및 표준어 제정, 우리말 큰사전


■ 종교계의 민족 운동

천도교 : 3.1운동 주도, 농촌 계몽 운동 및 소년 운동 전개, 잡지 간행

원불교 : 새 생활 운동 및 저축 운동 전개, 개간 사업 실시

대종교 : 중광단(북로군정서) - 항일 무장 투쟁 전개

천주교 : 사회 사업 및 민중 계몽 운동 전개

개신교 : 신사 참배 거부, 교육ᆞ의료 사업 전개

불교 : 한용운 등이 통제에 저항.




■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친일파 청산 노력, 농지 개혁

- 5.10 총선 (1948)

남한만, 최초의 보통 선거

- 제헌 국회

국호 '대한민국', 제헌 헌법, 공화정 채택, 이승만 선출

- 반민족 행위 처벌법

- 농지 개혁 (1949)


■ 4.19 (1960)

3.15 부정 선거를 이유로 마산에서 김주열 학생의 시신이 발견, 전국으로 전파. 이승만 하야, 자유당 정권 붕괴.


■ 5.18 (1980)

유신세력 처벌 및 신군부 퇴진 주장, 계엄령 확대, 광주에서 시위 발생, 무력으로 진압.


■ 6월 (1987)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직선제 요구, 4.13 호헌, 전국 확산, 6.29 선언(5년 단임, 직선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