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에서 보는 것을 추천하며, part 1을 먼저 읽고 오세요 https://arca.live/b/organism/21136931?p=1)

part. 1에서는 신경의 기능과 분류를 알았으니, 이번엔 각 뇌신경이 어떤 기능을 갖고 있는지를 조금 자세히 알아보자.

각 신경의 기능과, 성분과, 통과하는 중요 구조물 위주로 설명하려 한다.

(다 나열하기에 너무 길어지는 부분은 임의로 생략했다)


1번 뇌신경. 후각신경(후신경 olfactory nerve)

후각신경은 후각을 담당한다.

후각신경의 특수내장들신경섬유(SVA)는 뇌로 후각 정보를 전달한다.

후각신경은 코천장 부분을 이루고 있는 벌집뼈체판(cribriform plate of ethmoid bone)을 통과한다.



2번 뇌신경. 시각신경(시신경 optic nerve)

시각신경은 시각을 담당한다.

시각신경의 특수몸들신경섬유(SSA)는 뇌로 시각 정보를 전달한다.

시각신경은 눈 뒤쪽의 시각신경관(optic canal)을 통과한다.


* 참고로 눈신경ophthalmic nerve과는 완전히 다른 신경이다.



3번 뇌신경. 눈돌림신경(oculomotor nerve)

눈돌림신경은 안구의 움직임을 담당하고 홍채의 크기를 조절한다.

눈돌림신경의 일반몸날신경섬유(GSE)는 눈꺼풀올림근(levator palpevrae superioris m.), 위곧은근(superior rectus m.), 아래곧은근(medial rectus m.), 안쪽곧은근(medial rectus m.), 아래빗근(inferior oblique m.)을 담당한다.

눈돌림신경의 일반내장날신경섬유(GVE)는 부교감신경으로, 가까운 곳을 볼 때에 수정체를 두껍게 조절하는 섬모체근(ciliary m.)를 담당한다.

눈돌림신경은 눈 뒤쪽의 위눈확틈새(superior orbital fissure)를 통과한다.


* 안구를 움직이는 근육은 크게 6가지인데 그 중 넷을 3번 뇌신경이, 하나를 4번 뇌신경이, 나머지 하나를 6번 뇌신경이 담당한다.



4번 뇌신경. 도르래신경(trochlear nerve)

도르래신경은 안구의 움직임 일부를 담당한다.

도르래신경의 일반몸날신경섬유(GSE)는 위빗근(superior oblique m.)을 담당한다.

도르래신경은 눈 뒤쪽의 위눈확틈새(superior orbital fissure)를 통과한다.



5번 뇌신경. 삼차신경(trigeminal nerve)

삼차신경은 얼굴 넓은 부분의 일반감각(촉각)과 아래턱의 운동을 담당한다.

삼차신경의 일반몸들신경섬유(GSA)는 얼굴과 두피의 앞쪽 절반, 입안과 코안 등등의 일반감각을 담당한다.

삼차신경의 특수내장날신경섬유(SVE)는 씹기근육(저작근 m. of mastication) 등의 근육에 분포하여 아래턱의 운동을 담당한다.

삼차신경은 삼차신경절(trigeminal gamglion)을 지나서 다음 세 개의 가지로 나뉘어진다.


     5-1 눈신경(안신경 ophthalmic nerve)

     눈신경은 눈, 코안, 콧등, 이마, 정수리 앞부분 등등 넓은 범위의 일반감각을 담당한다.

     눈신경은 위눈확틈새(superior orbital fissure)를 통과한다.


     5-2 위턱신경(상악신경 maxillary nerve)

     위턱신경은 눈 아래, 코안, 입천장, 윗니, 뺨, 윗입술 등등 넓은 범위의 일반감각을 담당한다.

     위턱신경은 원형구멍(foramen rotundum)을 통과해 날개입천장오목(pterygopalatine fossa)로 들어간다.


     5-3 아래턱신경(하악신경(mandibular nerve)

     아래턱신경은 뺨, 아랫입술, 혀의 앞쪽 2/3, 아랫니, 아래턱, 귀 앞부분 등등 넓은 범위의 일반감각을 담당한다.

     또한 씹기근육(저작근 m. of mastication) 등의 근육들에 분포하여 아래턱 운동을 담당한다.

     아래턱신경은 난형구멍(foramen ovale)을 통과한다.


     * 씹기근육은 관자근(측두근 temporalis m.) 깨물근(교근 masseter m.) 안쪽날개근(내측익돌근 medial pterygoid m.) 가쪽날개근(외측익돌근 lateral pterygoid m.)으로 이루어져있다.



6번 뇌신경. 갓돌림신경(외전신경 abducent nerve)

갓돌림신경은 안구의 움직임 일부를 담당한다.

갓돌림신경의 일반몸날신경섬유(GSE)는 가쪽곧은근(lateral rectus m.)을 담당한다.

갓돌림신경은 위눈확틈새(superior orbital fissure)를 통과한다.



7번 뇌신경. 얼굴신경(안면신경 facial nerve)

얼굴신경은 귀쪽 일부의 일반감각과 얼굴의 표정근육과, 미각과, 눈물샘과 턱밑샘과 혀밑샘, 코와 입의 점막 등을 담당한다.

얼굴신경의 일반몸들신경섬유(GSA)는 외이도와 귀 뒤쪽 피부의 일반감각을 담당한다.

얼굴신경의 특수내장들신경섬유(SVA)는 혀 앞 2/3의 미각을 담당한다.

얼굴신경의 일반내장날신경섬유(GVE)는 부교감신경으로, 눈물샘에서 눈물을, 턱밑샘(악하선 submandibular gland)과 혀밑샘(설하선 sublingual gland)에서 침을, 코와 입천장의 점막에서 점액을 분비시킨다.

얼굴신경의 특수내장날신경섬유(SVE)는 표정을 짓는 데 관여하는 얼굴근육 등 여러가지 근육을 지배한다.

얼굴신경은 속귀길(내이도 internal acoustic meatus)로 들어가서 붓꼭지구멍(stylomastoid foramen)을 통해 나온다.


* 다른 특수감각과는 다르게 미각은 7, 9, 10번 뇌신경이 나눠서 담당하고 있다.



8번 뇌신경. 속귀신경(전정와우신경 vestibulocochlear nerve)

속귀신경은 청각과 평형감각을 담당한다.

속귀신경의 특수몸들신경섬유(SSA)는 두 갈래로 나뉘어 각각 청각과 평형감각을 뇌로 전달한다.

속귀신경은 속귀길(내이도 internal acoustic meatus)로 들어간다.



9번 뇌신경. 혀인두신경(설인신경 glossopharyngeal nerve)

혀인두신경은 혀 뒷부분의 일반감각, 미각, 목동맥의 감각, 귀밑샘, 붓인두근을 지배한다.

혀인두신경의 일반몸들신경성분(GSA)은 혀 뒤와 목 등의 일반감각을 담당한다.

혀인두신경의 일반내장들신경성분(GVA)은 목동맥의 감각을 담당한다.

혀인두신경의 특수내장들신경성분(SVA)은 혀 뒤 1/3의 미각을 담당한다.

혀인두신경의 일반내장날신경성분(GVE)은 부교감신경으로 귀밑샘(이하선 parotid gland)에서 침을 분비하게 한다.

혀인두신경의 특수내장날신경성분(SVE)은 붓인두근(stylopharyngeus m.)에 분포한다.

9번 뇌신경은 목정맥구멍(jugular foramen)을 통과한다.



10번 뇌신경. 미주신경(vagus nerve)

미주신경은 미각, 몸통의 부교감신경과 내장감각, 혀 뒤와 인두의 근육 등을 담당한다.

미주신경의 일반몸들신경섬유(GSA)는 귀 뒤쪽과 후두 쪽의 일반감각을 담당한다.

미주신경의 일반내장들신경섬유(GVA)는 대동맥의 감각과 몸통의 내장감각을 담당한다.

미주신경의 특수내장들신경섬유(SVA)는 후두개와 인두의 미각을 담당한다.

미주신경의 일반내장날신경섬유(GVE)는 몸통의 부교감신경으로서 인두, 후두, 심장, 창자 등의 민무늬근육과 샘에 넓게 분포한다.

미주신경의 특수내장날신경섬유(SVE)는 혀와 인두의 근육에 분포한다.

미주신경은 목정맥구멍(jugular foramen)을 통과한다.



11번 뇌신경. 더부신경(부신경 accessory nerve)

더부신경은 목빗근과 등세모근을 담당한다.

더부신경의 일반몸날신경섬유(GSE)는 목빗근(흉쇄유돌근 sternocleidomastoid m.)과 등세모근(승모근 trapezius m.)에 분포한다.

더부신경의 뇌뿌리는 미주신경의 일부로 간주되며, 더부신경의 척수뿌리는 목신경 C1~C5에서부터 신경뿌리가 일어나는 독특한 뇌신경으로, 큰구멍(foramen magnum)을 통해 머리 안으로 들어왔다가 목정맥구멍(jugular foramen)으로 나간다.



12번 뇌신경. 혀밑신경(설하신경 hypoglossal nerve)

혀밑신경은 혀의 근육을 담당한다.

혀밑신경의 일반몸날신경섬유(GSE)는 속혀근과 바깥혀근에 분포한다.

혀밑신경은 혀밑신경관(hypoglossal canal)을 통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