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부평구- 시가지가 부천 중상동과 완벽히 연담화되어있음. 지하철 1,7호선과 경인고속도로 그리고 각종 대로들로 연결되어있으며 상권 왕래도 많음. 특히 부평구 동부(삼산,부개) 는 부천 중상동의 상권에 자주 왕래하는듯.


2. 구로구- 1,7호선이 구로구 온수역에서 부천을 거쳐 인천으로 들어감. 부천에서 전철로 서울가려면 지금으로서는 구로를 거치는수밖에 없는듯. 그리고 온수역 쪽은 부천이랑 서울 경계를 못찾을만큼 연담화되어있음. 부천쪽으로 많이들어간 모양의 항동지구도 역곡의 영향을 주로받음


공동3. 북시흥, 강서구, 양천구 신월동

북시흥- 서해선으로 연결되어있으며, 예전부터 북시흥쪽에선 상권, 교육 등 이유로 부천역쪽으로 왕래가 잦았다고함.

강서, 신월- 의외로 부천과 많은 부분이 접한 곳이 강서구임. 부천 북쪽경계는 전부 강서구와 접한 수준. 하지만 그쪽은 대장동 논밭인관계로 주 교류 경로는 봉오대로-화곡로 인듯. 특히 고강동 쪽은 까치울역으로 향하는 버스와 화곡역으로 향하는 버스가 둘다 절찬리에 운행중.


4. 계양구- 부평 부천과함께 부평권의 일원이지만 부천과 직접 접하는곳은 굴포천이 흐르는 미개발지/공업지대인 관계로 부평구를 경유하는 간접 교류가 활성화되어 있음.


5. 양천구(신정동, 목동)- 아직 직접 연결되는 지하철노선은 없고, 인천 서구부터 부평부천을 이어주는도로인 길주로(7호선이 이밑을 지남)를 통한 교류가 좀 있는듯. 부천에서 목동까지 거리가 꽤 가까워서, 교육목적으로 자가용/700번버스 등을 이용해 목동학원가로 통학하는 경우도 적게 있는듯


6. 광명- 부천이랑 붙어있긴.. 하지만 붙어있는부분이 남동쪽 옥길지구 동쪽경계로 한정된 탓에 직접교류는 옥길, 역곡쪽으로 한정되어있음. 7호선이 두 도시를 이어주긴 하지만 부천에서 탄 사람의 대다수가 광명 넘어서 가산디지털단지나 대림 2호선환승으로 하차하는듯..


그외 부천이랑 직접 접하진 않지만 교류가 적당히 있는곳

남동구- 송도나 논현지구에서 출발한 광역버스 일부가 부천 중상동을 경유함. 또한 남동구 북부 만수동 주민들은 송내역으로 버스타고와서 환승하기도 함

고양시- 두 도시를 이어주는 광역버스도 있는거보면 중동-일산 통근수요가 좀 있는듯?

영등포, 금천, 동작, 관악등 서울 서부권과 마포구- 접해있지만 않을뿐 꾸준한 교류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