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2. 생물과 환경


<단원 배경지식>

*분해자 

죽은 생물의 몸이나 배출물을 분해하여 생태계 안에서 물질의 순환을 가능하게 하는 생물을 분해자라고 한다.

생산자, 소비자와 함꼐 생태계를 구성하는 생물 요소이다.

생물의 사체나 배출물에 들어있는 유기물분해자인 세균이나 곰팡이같은 생물 무기물로 분해한다.

따라서 분해자는 소비자와 마찬가지로 다른 생물에서 영양분을 얻는 종속 영양 생물이다.

분해자는 주로 땅에서는 흙 속에서, 물 속에서는 바닥의 침전물 속에서 생활한다.

유기물의 분해가 활발하게 일어나려면 적당한 습기가 있어야 한다.


*분해자

식물, 조류, 일부 세균(남세균) 등의 생산자가 햇빛을 이용하여 살아가는데 필요한 양분을 스스로 만드는 일을 광합성이라고 한다.

광합성은 식물의 잎 속에 있는 엽록체라는 세포 소기관에서 일어난다.

이곳에서는 빛을 흡수하는 엽록소와 진토필, 카로틴과 같은 색소가 있다.

식물은 엽록소에서 받아들인 태양 에너지뿌리에서 흡수한 물공기 중의 이산화탄소포도당을 만든다.

광합성으로 만들어진 포도당은 세포가 활동하거나 녹말 같은 다른 물질을 만드는 데 쓰인다.



[1차시] 생태 빙고 놀이하기

-학교 주변에서 살아 있는 것 살아 있지 않은 것 관찰하고 느껴 보기


[2차시] 생태계란 무엇일까요?

-생태계

① 어떤 장소에서 서로 영향을 받는 생물 요소와 비생물 요소를 생태계라고 한다.

(T : 살아있는 것과 살아있지 않은 것을 뭐라고 부를까요? => S : 생물 요소 / 비생물 요소)

*양분 => 탄소를 포함한 유기 화합물


[3차시] 생태계의 구성 요소 분류하기

-양분을 얻는 방법에 따라 생물 요소 분류하기



양분을 얻는 방법생물 요소 예시
생산자햇빛 등을 이용하여 양분을 스스로 만든다.감나무, 느티나무, 민들레 등
소비자다른 생물먹이로 하여 양분을 얻는다.
공벌레, 개미, 참새, 비둘기 등
분해자죽은 생물이나 배출물하여 양분을 얻는다.곰팡이, 세균, 버섯 등

cf) 버섯 : 죽은 생물(나무)을 분해. 흙을 기름지게 한다


-생산자나 분해자가 없어질 경우

생산자가 없어질 경우 :

생산자를 먹는 소비자는 먹이가 없어서 죽게 되고, 그 다음 단계의 소비자도 먹이가 없어서 죽게 될 것이다.

결국 생태계에는 어떤 생물 요소도 살아남지 못하며 모든 생물이 멸종될 것이다.

분해자가 없어질 경우 :

죽은 생물과 생물의 배출물이 분해되지 않아서 우리 주변이 죽은 생물과 생물의 배출물로 가득 차게 될 것이다.


[4차시] 생태계를 구성하는 생물은 어떤 먹이 관계를 맺고 있을까요?

-생물의 먹이 관계

먹이 사슬먹이 그물
생태계에서 생물의 먹이 관계가 사슬처럼 연결되어 있는 것생태계에서 여러 개의 먹이 사슬이 얽혀 그물처럼 연결되어 있는 것


-먹이 사슬과 먹이 그물의 공통점과 차이점


먹이 사슬먹이 그물
차이점한 방향으로만 연결된다.
먹을 수 있는 먹이가 하나밖에 없다.
여러 방향으로 연결된다.
생물의 먹고 먹히는 관계가 여러 방향이기 때문에 다양하게 먹을 수 있다.


[5차시] 생태계는 어떻게 유지될까요?

-생태계 평형 알아보기

① 생태계 평형 : 어떤 지역에 살고 있는 생물의 종류와 수 또는 양이 균형을 이루며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② 특정 생물의 수나 양이 늘어나거나 줄어들면 생태계 평형이 깨지기도 한다.

③ 생태계 평형이 깨지는 원인 :

가뭄, 홍수, 산불과 같은 자연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댐, 도로, 건물 건설과 같은 인위적인 요인도 있다.


-생태 피라미드에서 생태계 구성 요소의 수나 양이 변하였을 때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현상

1차 소비자의 수나 양이 갑자기 늘어났을 때 나타나는 변화

- 1차 소비자의 먹이가 되는 생산자의 수나 양이 줄어든다.

- 1차 소비자를 먹는 2차 소비자의 수나 양은 1차 소비자의 증가로 늘어난다.

- 2차 소비자가 늘어나면 2차 소비자를 먹는 최종 소비자의 수나 양도 늘어난다.


2차 소비자의 수나 양이 갑자기 줄어들었을 때 나타나는 변화

- 2차 소비자가 줄어들면 2차 소비자의 먹이가 되는 1차 소비자의 수나 양은 늘어난다.

- 2차 소비자를 먹는 최종 소비자의 수나 양은 먹이의 감소로 줄어든다.


③생태계 구성 요소의 수나 양이 일시적으로 변하였더라도 오랜 시간이 지나면 생태계는 다시 평행을 되찾는다.


[6차시] 비생물 요소는 생물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

-햇빛과 물이 콩나물의 자람에 미치는 영향 알아보기

*햇빛을 받은 콩나물은 떡잎의 색깔이 초록색이고, 햇빛을 받지 못한 콩나물은 떡잎의 색깔이 노란색이다.
*을 준 콩나물은 길쭉하게 자라고 물을 주지 않은 콩나물은 시들었다.
*알게 된 점 : 햇빛이 잘 드는 곳에서 물을 준 콩나물이 가장 잘 자란다.
콩나물이 자라는 데 햇빛이 영향을 준다.


-비생물 요소가 생물에 미치는 영향

온도동물의 털갈이, 철새의 이동 등에 영향을 준다.
식물의 잎에 단풍이 들고, 낙엽이 진다.
햇빛식물 양분을 만드는 데 필요하고, 꽃이 피는 시기에 영향을 준다.
동물이 물체를 보는 데 필요하고, 동물의 번식 시기(일조 시간이 동물의 성 호르몬 분해, 난소에 영향)에도 영향을 준다.
생물이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하다.
물이 부족한 사막에서 사는 생물은 물의 손실을 최소화하며 살아간다.
공기사람이 숨을 쉬는 데 필요하다.
식물이 자라는 데 필요하다.


<온도물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물질 대사는 생물체 내에서 일어나는 물질의 분해나 합성과 같은 모든 화학변화를 의미한다.

온도는 생물의 물질 대사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중요한 비생물 요소이다.

0℃에 가까운 온도에서 물질대사를 활발하게 할 수 있는 생물은 없다.


너무 높은 온도 또한 생물의 물질 대사에 악영향을 미친다.

45℃이상의 온도에서는 대부분의 효소가 파괴되기 때문이다.


[7차시] 생물은 환경에 어떻게 적응될까요?

-환경에 적응된 여우 가족

① 생물이 살아가는 곳을 서식지라고 한다.

② 여우 가족은 서식지 환경과 털 색깔이 비슷한 곳에서 살아남기에 유리하다.

특정한 서식지에서 오랜 기간에 걸쳐 살아남기에 유리한 특징이 자손에게 전달된 것을 적응이라고 한다.


-다양한 환경에 적응된 생물의 예

선인장철새
굵은 줄기와 뾰족한 가시는 건조한 환경에서
생물이 적응된 결과이다.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행동은 계절별 온도 차가
큰 환경에서 생물이 적응된 결과이다.


대벌레밤송이
가늘고 길쭉한 생김새를 통해 나뭇가지가 많은 환경에서
적으로부터 몸을 숨기기에 유리하다.
가시를 통해 밤을 먹으려고 하는 적으로부터
밤을 보호하기 유리하게 적응되었다.


다람쥐공벌레
겨울잠을 자는 행동을 통해 몸에 저장된 양분을 천천히 사용함으로써 추운 겨울을 지내기 유리하게 적응되었다.오므리는 행동을 통해 적의 공격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유리하게
적응되었다.



5-1-5. 다양한 생물과 우리 생활


[1차시] 우리 주변의 다양한 생물 알아보기


종류
동물까치, 토끼, 붕어 등
식물검정말, 토끼풀, 강아지풀 등
동물과 식물로 분류되지 않는 생물버섯, 곰팡이, 짚신벌레, 해캄, 세균 등


[2차시] 곰팡이와 버섯에는 어떤 특징이 있을까요?

☆곰팡이를 만지거나 먹거나 하지 않는다. 맨눈으로만 관찰하도록 지도한다.

*곰팡이를 돋보기로 보았을 때 :

먼지가 얹어있는 모양 위로 가는 선이 보이고 작은 알갱이들이 있지만 자세히 알 수는 없다.


실체 현미경 각 부분의 이름과 하는 일 

: 살아있는 소형 생물 관찰 적합 : 곰팡이와 균 관찰

cf) 광학 현미경 - 운동과 에너지 [볼록 렌즈]


접안렌즈눈으로 보는 렌즈
회전판대물렌즈의 배율을 조절하는 나사
대물렌즈물체의 상을 확대해주는 렌즈
초점 조절 나사대상에 초점을 정확히 맞출 때 사용하는 나사
재물대관찰 대상을 올려놓는 곳
조명 조절 나사조명을 켜고 끄며 밝기를 조절하는 나사(2개)
조명


[4~5차시] 짚신벌레와 해캄에는 어떤 특징이 있을까요?

-짚신벌레 영구 표본과 해캄을 맨눈과 돋보기로 관찰한 결과


짚신벌레 영구 표본해캄
맨눈색깔이 있는 점이 보이는데 정확히 무엇인지 알 수 없다.색깔은 초록색이고 가늘고 길다.
돋보기점이 여러 개 보이는데 짚신벌레의 자세한 생김새는 보이지 않는다.여러 가닥의 해캄이 뭉쳐있고 머리카락 같은 모양이다.


광학 현미경 각 부분의 이름과 하는 일

회전판대물렌즈의 배율을 조절하는 나사 
재물대관찰 대상을 올려놓는 곳
조리개빛의 양을 조절할 때 사용
조명빛을 관찰 대상에 비추는 곳
조명 조절 나사조명의 밝기를 조절하는 나사
접안렌즈눈으로 보는 렌즈
대물렌즈물체의 상을 확대해주는 렌즈
조동 나사표본의 상에 대한 대강의 초점을 맞출 때 사용하는 나사
미동 나사표본의 상에 대해 정확한 초점을 맞출 때 사용하는 나사


*짚신벌레 영구 표본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짚신벌레는 길쭉한 모양이고 바깥쪽에 가는 털이 있다.

-짚신벌레 안쪽에는 여러가지 다른 모양이 보인다.

-짚신과 모양이 비슷하다.


*해캄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대나무와 같이 마디로 나누어져 있다.

-여러 개의 가는 선이 보이며 크기가 작고, 둥근 알갱이가 있다.

-둥근 알갱이의 색깔은 초록색이다.



<수업 지도안>

[2~3차시] 곰팡이와 버섯에는 어떤 특징이 있을까요? - 순환학습 모형

탐색*곰팡이와 버섯 관찰하기
-맨눈 & 돋보기

개념 도입*곰팡이와 버섯의 공통점 찾기
-곰팡이와 버섯은 몸 전체가 실과 같은 균사로 이루어져 있다.
*곰팡이, 버섯과 같은 생물을 균류라고 합니다. 균류는 몸 전체가 균사로 이루어져 있고 포자로 번식합니다. 곰팡이와 버섯의 특징을 찾아 발표해봅시다.

* 균류는 전체가 균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균사는 세포들이 사슬처럼 연결된 하나의 가닥을 말한다.
 균사들이 그물망처럼 연결되어 만들어진 덩어리를 균사체라고 한다.
실체 균류의 균사는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있는 지상부 뿐만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도 넓게 퍼져있다.
개념 적용*균류의 특징을 식물과 비교하기

균류식물
차이점-포자로 번식한다.
-균사로 이루어져 있다.
-다른 생물이나 죽은 생물에서 양분을 얻는다.
-햇빛을 좋아하지 않는다.
-보통 로 번식한다.
-보통 뿌리, 줄기, 잎, 꽃 등의 기관이 있다.
-햇빛으로 광합성을 해 스스로 영양분을 생산한다. 
공통점 :
-번식을 한다.
-양분을 흡수하여 성장하고 필요한 구조를 만든다.

*곰팡이와 버섯 같은 균류가 주로 따뜻하고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 잘 자란다.
*균류는 유성 생식과 무성 생식으로 번식하지만 초등학교 5~6학년 수준에서 균류는 포자로 번식한다는 수준으로만 지도한다.



--


문제집 풀다가 정신나갈것 같아서 왔읍니다.

물론 정신이 나갈 것 같아도 진짜 정신이 나가는 건 아니니까 계속 해야겠죠! 잠깐 머리 식힐겸 올려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