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 며칠 사이로 논문을 어디서 어떻게 찾냐는 질문이 왕왕 올라와서, 내가 잘한다는 건 아니고, 그냥 업계에 있는 사람은 이렇게 한다는 식으로 방법을 알려주려고 짧게 글을 써보려 한다. 물리 채널에 학부 또는 대학원에 소속된 사람도 있고, 아닌 사람도 오니까, 되도록 오픈 소스, 그러니까 돈 안 들이고도 검색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1. arxiv.org

아카이브. 물리, 수학, 전자, 전산 전공자들이 다른 저널에 제출 직전인 거의 완성된 논문 공짜로 올리는 곳이다. 전문 피어리뷰 저널의 심사과정을 통과하지는 않아서 공신력은 좀 떨어지지만, 현재 사람들이 무엇에 많이 관심을 가지나 라는 업계동향 파악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검색 기능도 있어서 관심 있는 저자 이름 (주로 성, 이름 말고), 관심 있는 물질, 또는 실험 또는 계산 기법 키워드를 검색 엔진에 넣으면 결과도 잘 나온다.  내 경우에는 그냥 아침 근무 시작하면 여기 들어가서 내 전공분야 (Condensed Matter - Strongly Correlated Electrons) 섹션 들어가서 어제 오늘 새로 올라온 논문들 제목 슥 훑고, 내가 공부하는 세부 분야에 맞는 제목 보이면 클릭해서 초록 더 자세히 읽어보는 식으로 신문 읽는 기분으로 체크한다. 


2. scholar.google.com

구글 스콜라는 논문을 직접 출판 또는 저장하는 것은 아니라 단순히 검색엔진이다. 검색창에 역시 아카이브 검색할 때처럼, 관심 저자 이름, 관심 물질 이름, 또는 관심 실험기법, 또는 계산방법 이름을 잘 조합해서 검색하면 된다. 검색 자체는 특별할 게 없지만, 구글 스콜라에는 "알림(Alerts)" 기능이 있다. 구글 스콜라 메인페이지에서 좌측 상단의 메뉴바 열고, 알림(Alerts)에 들어간다. 거기서 네가 지속적으로 관심 있어할 만한 단어 (내 경우에는 antiferromagnetic, ultrafast demagnetization, spin dynamics 등등)를 저장해두면, 구글 스콜라에 해당 키워드를 가진 논문이 나타날 때, 너한테 몰아서 메일이 온다. 그러면 그렇게 온 메일 읽으며, 제목+초록 읽고 추가로 더 읽을지 그만둘지 판단하면 되고. 


3. www.webofknowledge.com

Web of Science. 유료라 연구소 또는 대학이 구독하고 있지 않으면 개인이 돈 지불하며 사용할 일은 없는 검색엔진이다. 대신 돈 처받는 만큼 검색 기능은 잘 되어 있다. 키워드, 저자, 출판 저널, 연도 등등 논문관련 지표 다 세부조정 가능하고, 광범위한 단어로 먼저 검색한 이후에, 검색 결과 내에서 추가로 단어 더 추가해서 세부적으로 더 추려내는 것도 가능하다. 검색 결과에 제목만 보여주는 게 좀 거시기하지만, 클릭해서 들어가면 초록도 따로 나온다. 만약 초록까지 읽어서 네가 제대로 읽어야할 논문이다 싶으면, 해당 논문 페이지로 바로 링크 탈 수 있는 버튼도 다 제공한다. 만약 버튼이 작동하지 않는다면, 네 IP로는 해당 논문이 실린 저널을 구독하고 있지 않다는 뜻이니까, 다른 대학 또는 연구소에 있는 친구한테 물어보고 부탁하자.


학부생 중에 논문 검색을 힘들어하는 경우가 있다고 들었고, 나도 그랬다. 전공하는 사람의 경우, 자기가 어떤 테크닉에 관심 있는지, 어떤 물질에 대해 검색하고 있는지 어렴풋이 잘 알고 있으니 이런 일이 잘 없겠다마는, 학부생의 경우 자기가 알고 싶은 특정 물리량의 영어단어를 구글 스콜라에 바로 꼬라 박아서 검색하는 경우를 왕왕 봤고, 나도 그런 적이 많다. 그런데 저자들이 논문에 그런 물리량의 숫자를 검색엔진이 쉽게 찾을만큼 명쾌하게 적지 않기 때문에 추천하지 않는다. 먼저 검색어를 광범위하게 설정하고, 차근차근 검색 결과의 초록을 훑으면서 네가 원하는 논문을 찾는 게 더 낫다. 초록을 읽으며 어려워 보이는 말을 조금이라도 읽으며 해당 논문이 네 관심사와 관련이 있는지 없는지 판단하는 그 과정조차도 공부의 일환이기 때문에, 지겨워하지 말고, 차근차근 연습 잘 하길 바란다.


당연한 말이지만, 이외에도 좋은 방법 아는 사람은 댓글로 부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