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은행의 차세대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에 국산 소프트웨어(SW)가 원천 배제 됐다는 주장이 나왔다.

18일 오전 티맥스소프트웨어는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KB국민은행의 차세대 시스템 사업에서 국산 SW가 원천 배제됐다”며 “4차 산업혁명시대에 성장을 도모해야 할 국산 SW가 역차별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티맥스스포트웨어가 문제 삼은 프로젝트는 KB국민은행의 차세대 시스템 구축 사업인 ‘더케이프로젝트’다. 이 프로젝트는 사업규모만 3000~4000억원에 달하는 사업으로 수십년간 사용하던 탈 IBM선언을 시작한다는 의미에서 IT업계의 관심이 쏠렸다.

이 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는 지난 10월 선정된 SK C&C다. SK C&C는 국민은행 측에 제품의 기술과 가격 등을 종합 검토해 미들웨어에 티맥스소프트웨어의 ‘제우스’, DBMS 솔루션에 티맥스데이터 ‘티베로’와 한국IBM의 DB2를 제안했다. 2안은 미들웨어에 한국오라클 웹로직과 DBMS에 오라클DBMS였다.

티맥스소프트 측은 “KB국민은행은 이 과정에서 SK C&C의 제안과 달리 한국IBM과 오라클 등 외산 SW제품만 검토 중이다”고 주장했다. 

티맥스소프트 측은 KB국민은행이 유독 외산 SW를 많이 사용한다고 지적했다. 2000년대 초반부터 국내 대부분의 은행들이 외산 SW에서 탈피하고자 오픈환경으로 시스템을 전환하기 시작했지만 유독 KB국민은행만은 IBM 등 외산 제품을 선호한다고 꼬집었다.

김 대표는 “공정한 경쟁환경에서는 국산 SW의 도입 가능성이 높을 수 밖에 없음에도 KB국민은행은 공정한 절차를 모두 무시했다”며 “이번 사안으로 서울지방법원에 가처분신청을 접수했고 공정거래위원회에도 심의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http://dolwe.me/t5m96u4gs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