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하고 대화하다가 교수님께서 고등학교 지리 부도 교과서가 사라질 수도 있다고 걱정하시면서

나보고도 교육부에 의견서를 내라는 일종의 하청 업무를 받음 ㅋㅋ

그래서 만들었던 지리 부도 존치 의견서임


https://arca.live/b/city/64337220

사실 이거 뒷이야기임




1. ‘지리 부도’는 지리과에서만 활용 가능한 교과서가 아닙니다.

 지리 교과서의 부록으로 나오는 지리 부도는 이름에 지리가 있기에 지리에서만 사용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그 내용을 다른 과목에 접목시킨다면 여러 용도로 사용 가능합니다.


1) 사회과와 역사과에서의 활용

 - 고등학교 한국사와 정치에는 지방자치제가 언급되며, 지방자치제는 민주국가의 국민으로서 살아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지방자치는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로 이루어지는데,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우리나라 지도로 위치 이해가 수반되어야 합니다.

 - 우리가 역사를 배우는 것은 과거만 배우는 것이 아닙니다. 역사를 바탕으로 현재의 상황을 이해하는 것은 통합적인 사회과 사고력을 기를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현재 상황을 담은 지리 부도가 필요합니다. 학생들은 세계사와 동아시아사 역사 기행(2022 개정 교육과정 역사과 일반선택과목과 진로선택과목)을 통해 배운 지식을 지리 부도를 통해 융합적으로 사고할 수 있습니다.


2022 개정 교육과정 시안 고등학교 정치 성취 기준 중 지방자치

고등학교 정치와법 교과서(천재교육) 중 지방자치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동아출판) 중 지방자치



2) 과학과에서의 활용

 - 현재 고등학교 지구과학Ⅰ과 지구과학Ⅱ에 나오는 내용 중 엘니뇨와 라니냐, 대기대순환, 한반도의 지질, 해수의 순환 등의 내용들은 지리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 엘니뇨와 라니냐에서는 지리의 동경과 서경 개념을 이해하지 못할 경우, E과 W만 보고 동쪽과 서쪽을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이 있으며, 이때 지리 부도는 유용한 보조 교과서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한반도의 지층은 우리나라의 지명을 딴 경우가 많으며, 지층별 분포 양상은 필연적으로 우리나라의 지도가 수반됩니다. 또한, 대기대순환과 해수의 순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세계의 지명을 딴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내용 학습에는 세계지도가 수반됩니다. 따라서 지구과학에서도 지리 부도를 수업에 활용할 경우, 학습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줄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2022 개정 교육과정 시안 고등학교 지구과학 성취 기준 중 엘니뇨와 라니냐

2022 개정 교육과정 시안 고등학교 지구과학 성취 기준 중 한반도의 지질

고등학교 지구과학Ⅰ 교과서(천재교육) 중 엘니뇨와 라니냐

고등학교 지구과학Ⅱ 교과서(천재교육) 중 한반도의 지질

고등학교 지구과학Ⅱ 교과서(천재교육) 중 해수의 순환



이상 XX대학교 지리교육과 4학년 의견서


암튼 이렇게 써서 교육부에 보내봤음 ㅋㅋㅋㅋ

의견서 읽어보신 교수님 평으로는 학부생 수준은 아니었다는 평...